|
벼의 전파
④ 쌀농사의 시작
2. 철의 사용
① 철의 시작
② 농사에 쓰이는 연장
③ 우경
3. 조선시대의 벼농사
① 이앙법
② 이앙법의 장점
③ 이앙법의 단점
④ 정부에서 이앙법을 금지한 이유
⑤ 조선사회의 변화
4. 일제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14.05.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벼의 기원과 전래
1) 벼의기원
2) 벼의 전래
2. 벼농사 시작
1) 한국에 벼농사에 관한 최초의 기록
2) 근거
3) 벼농사의 시작
3. 조선시대의 토지제도
1) 과전법[1391]
2) 직전법[세조. 1466]
3) 관수관급제[성종]
4) 직전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14.05.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 물적자원 수탈
5. 제3공화국
1) 통일벼
2) 혼식 분식 장려운동
6. 1990년대
1) 우루과이 라운드
7. 2007년
1) FTA(Free Trade Agreement) 자유무역협정
2) 한국FTA현황
3) 한미FTA의 장단점
8. 벼농사가 중요한 이유
참고문헌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14.07.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수리 시설의 구축과 벼농사 농업기술
1. 신석기 시대
2. 청동기기대
3. 철기 삼국시대
4. 조선시대 Ⅰ
5. 조선시대 Ⅱ
6. 일제감정기
과학기술
1. 고대
2. 고려시대
3. 조선 전기
4. 조선 중·후기
5. 개항 이후 시기
6. 일제 강점기
|
- 페이지 20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5.06.29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조선시대 초에 연작상경이 이루어지면서 매년 경작할 수 있게 되었다. 이것은 시비술의 발전 및 제초작업이 활발해지면서 연작상경화가 가능해졌다고 볼 수 있다. 연작상경의 작부체계와 함께 『농사직설』에서 벼농사를 강조하였고, 경작
|
- 페이지 20페이지
- 가격 3,300원
- 등록일 2014.06.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