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외의 방들은 골풀로 엮은 자리를 깐 다다미(たたみ) 바닥이다. 다다미방은 낮에는 거실로 밤에는 침실로 쓸 수 있다. 전통가옥의 특징
기후와 일본 주택 형식의 특징
일본주택의 형태
실내&실내의 소도구
현재 일본의 주거 형태
후기
|
- 페이지 20페이지
- 가격 2,400원
- 등록일 2012.07.11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주택의 개발주체들도 건축가들을 일정거리의 밖에 두고 있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근자에 이르러서 집합주택에 대한 사회적인 요구가 변화해 가고 사회와 가족과 생활의 변화가 수반됨에 따라서 집합주택의 형식에 있어서 급격한 변화가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600원
- 등록일 2009.01.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어있습니다
※현대사회에는 대가족형태가 아닌 핵가족형태로 변화되면서 실외보다 실내를 많이 이용함으로써 구조변경이 이루어졌습니다
사진자료
한옥이었던 집을 주택형식의 주거형태로
변화시킨 한옥집들
기와같이 생긴 기와지붕 철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0.04.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주택(외관과 내용을 모두 일본식으로 하였지만 온돌구조가 방 한개는 반드시 해야했다)
#외래양식의 도입과 전통 주거문화와의 갈등
문화주택 → (일본) 관동대지진 이후 미국식 방갈로 주택형식
으로 지은 건물
전쟁 전후의 주거문화
#한국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12.06.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주택형식의 특징
1) 여름 형 주거
2) 비를 대비한 주거
3) 지진을 대비한 주거
4. 일본의 주택 구조
▶ 내부 구조
1) 겐칸玄關(げんかん)
2) 다타미 방(疊)
3) 오시이레(押し入れ)
4) 쇼지(障子しょじ)
5) 후스마(ふすま)
6) 도코노마(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8.12.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