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on the bottom)
15.Up and down anchor
16.Anchor aweigh
17.Clear anchor
18.Up anchor
19.Foul hawse
20.open hawse(=clear hawse)
21.Foul anchor
22.Slipping anchor(사묘)
23.Sighting anchor(검묘)
24.Dragging anchor
25.Dredging anchor Chapter 4-3 선체의 설비 ? 투양묘 설비 (Anchoring equipm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22.04.18
- 파일종류 아크로벳(pdf)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anchor)의 위험이 있다.
5. Brake band를 적절히 활용해야 한다. 그렇지 않고 anchor chain이 한번에 let go 되면 그 가속력 때문에 deck machinery 파손 또는 해저면에 가지런히 놓일 수도 없다. Chapter 4-3 선체의 설비 ? 투양묘 설비 (Anchoring equipment)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22.04.18
- 파일종류 아크로벳(pdf)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해수가 침범하는 것을 막음
: Anchor chain을 보관하고 내어주는 장소로 anchor chain의 끝과 chain locker의 바닥은 slip hook 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비상 시, 절단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음 Chapter 4-3 선체의 설비 ? 투양묘 설비 (Anchoring equipment)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22.04.18
- 파일종류 아크로벳(pdf)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Swing현상이 발생한다. 단묘박 중에 수풍각 ???? 으로 바람을 받게 되면 그 풍압력 작용점 P에서 작용점 ???? 를 이루어 작용하게 된다.
이들의 관계식은 tan ???? = k ? tan ????로 표시 Chapter 4-3 선체의 설비 ? 투양묘 설비 (Anchoring equipment)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22.04.18
- 파일종류 아크로벳(pdf)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때
3. 중시 물표(Transit target) 및 정횡 물표(Abeam target)의 방위 변화
4. 주변 물표들과 Radar에서의 위치관계(상대방위 & 거리)
5. 주묘 순간 선체 경사 또는 rolling을 느끼는 경우가 있다. Chapter 4-3 선체의 설비 ? 투양묘 설비 (Anchoring equipment)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22.04.18
- 파일종류 아크로벳(pdf)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