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 항일독립운동사연구, 경인문화사 2006 (1) 한국 독립군의 창립
(2) 한국독립군의 투쟁 내역
1) 쌍성보 전투
2) 경박호 전투
3) 사도하자 전투
4) 동경성전투
5) 대전자령 전투
6) 동녕현성전투
7) 한국독립군의 해체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14.06.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때까지 항일투쟁을 계속하였다.
둘째, 사회주의운동의 영향력이 달랐다. 조선혁명군이 주로 활동했던 동변도 지방에는 1930년대 전반기까지도 한인뿐만 아니라 중국인 사회주의자들의 변변한 조직도 없었다. 반면에 한국독립군이 활동한 북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4.06.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한국독립운동사사전』, 1996, 520~522쪽
그러면 이상과 같은 특징을 보이면서 1930년대에 만주지역에서 투쟁한 독립군 등의 무장투쟁은 어떤 의의를 갖는다고 할 수 있을까?
첫째, 이 시기 무장투쟁은 1910년대와 20년대 각
|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7.06.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한국독립당을 결성하고 군사 조직인 한국독립군을 편성했다. 1931년 일제가 만주를 침략하여 점령하자, 한국독립군과 조선혁명군은 각각 중국측 만주의 무장 부대와 연합군을 결성하여 1930년대 중반까지 활발한 항일 투쟁을 전개했다.
중국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7.06.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편, 《한국사 48》, 2003
류승렬, 《뿌리깊은 한국사, 샘이 깊은 이야기》, 솔, 2004
박성수, 《이야기 독립운동사》, 교문사, 1996
한국민족운동사학회 편,《의열투쟁과 한국독립운동》, 국학자료원, 2003 1. 들어가며
2. 의열단
3. 한인애국단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13.10.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