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허창회ㆍ민경덕(1992), 한반도 여름철 강수량의 장기예측, 한국기상학회지, 28
강원도 보건환경연구원 수질자료(2000)
허창회ㆍ강인식(1988), 한국 지역 강수의 변동성에 관한 연구, 한국기상학회지, 24
환경부, 물은 생명, 우리의 미래 - 21세기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1.10.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허창회, "한반도 여름철 강수량의 장기예측", 한국기상학회지, 제28권, 제3호, 1992.
건교부, "가뭄기록조사 보고서", 1995.
기상청, "엘니뇨 News Letter", 1998, 2월호, 5월호, 1998.
김미정, "엘니뇨 현상과 한국의 강수량", 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김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4.07.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허창회. “허리케인과 태풍, 항상 재앙인가?.” 『이슈투데이』 2005. <http://www.issuetoday.com/11_press/print_view.asp?pk_n4Bulletin=5...> 1.서론
2.본론
2.1. 지구온난화와 그로 인한 기후 변화
2.2 태풍의 발생 조건
2.3 태풍과 지구온난화의 관계성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5.11.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2nd
SLP of June
40N,0
0.57
SST of April
57N,162E
-0.53
SLP of January
32.5S,160E
-0.51
850mb GPH of August
35N,17.5W
0.56
3th
SST of May
23S,158W
-0.52
SLP of December
50N,85W
0.60
850mb GPH of April
47.5N,45E
0.49
SST of March
45S,78E
-0.54
Fig. 1 Scatter diagram of the observed and the predicted o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5.04.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서울대 허창회 교수도 “태풍이 강해진다는 주장에 일리가 있다. 최근에는 태풍이 점점 더 많은 비를 몰고 온다.”고 지적했다. 2000년대 들어 한국도 강력한 태풍을 맞아 큰 피해를 보기는 했지만 수퍼 태풍은 아니다. 2003년 9월 16일 한반도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0.02.24
- 파일종류 압축파일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