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합검색
  • 대학레포트
  • 논문
  • 기업신용보고서
  • 취업자료
  • 파워포인트배경
  • 서식

전문지식 10건

한계() 에 를 대입한다. ∴ 액성한계() =45.0605 8. 고 찰 9. 사진 자료 ① 사발, 스패츌라, 캔 ② Atterberg ④ 분무기로 증류수를 가하여 스패츌러로 잘 혼합하는 장면 ③ 실험모습 ⑤ 실험을 하고 나서 흙을 퍼내는 장면 ⑥ 떼어낸 시료를 용기(Can)에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3,500원
  • 등록일 2010.06.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재의 적부판정 기준으로 소성지수를 사용하기도한다. 노 반 종 류 허용 소성지수 상 층 노 반 하 층 노 반 시멘트나 역청안정처리토의 노반 > 4 < 6 < 6 ③ 수축 한계 ( shrinkage limit / SL ) 유동상태에 있는 흙을 건조시키면 함수량의 감소에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10.04.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다. 함수비(%) = (물의 중량 ÷ 흙의 중량) × 100 (%) (2) 유동곡선을 그린다. 함수비를 세로축으로, 낙하횟수를 가로축(대수)에 취하여 반대지수상에 그리면 유동곡선이 되며 대략 직선으로 나타난다. (3) 유동지수와 액성한계 를 구한다. 유동곡선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14.04.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D-4943에는 노건조시킨 흙을 왁스가 녹은 통에 넣어서 코팅을 한 후 식게 되면 물에 넣어 부피를 측정한다. 그림 3에 의거하여 수축한계를 계산 할 수 있다. SL = → = 수축접시에 흙을 채웠을 때의 초기함수비 → △ = 변화된 함수비(초기함수비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5.10.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한계)에 도달되면 부스러진다. 이때의 함수비가 곧 소성한계가 된다. 1 - 4. 이론적 배경 Atterberg 한계란 점성토는 함수비에 때라 그 형상 및 성질이 달라진다. 이렇게 함수비에 따라 형상이 달라지는 것을 흙입자를 둘러싸고 있는 물 즉 흡착수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0.07.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