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체심입방격자의 중심에 있는 원자를 생각할 때 최근접원자는 격자의 각 꼭지점에 있는 원자들이 되며, 배위수는 8이 된다. 1)체심입방격자(Body-Centered Cubic lattice ; BCC)
2) 면심입방격자(Face-Centered Cubic lattice ; FCC)
3)Body Centered Tetragonal(BCT)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9.10.22
- 파일종류 워드(doc)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BCT →BCC(Fe)
-평형상(Non ferrous) - (표 13.1참고)
▷ 협동적 운동, 계면 속도와 무확산 특성
- 조직변화 : 원자의 협동적 운동으로 일어남
- 계면 이동 속도 : 10-4 sec 이내에 임계크기로 성장
선성장 속도는 -20℃ ~ -200℃에서 1015 ㎠/sec
- M상의 조성은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6.11.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거의 무시할 만큼의 양임으로 탄소가 결정구조의 변화에 큰 영향을 주지 못하므로 일반적인 서냉했을 때와 같이 오스테 나이트가 전부 페라이트로 변하고 결정구조도 FCC에서 마르텐 사이트 결정구조인 BCT가 아닌 BCC로 변할 것 같다.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11.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BCC 또는 BCT에의 전단변형(b)와 더불어 슬립변형(c) 또는 쌍정변형(d)등이 함께 일어난다. 이와 같은 변형의 증거로서 전위, 적층결함 또는 쌍정 결함이 전자현미경에 의해서 M정 내에 관찰되고 있다.
< 실험 예비 문제>
1.마르텐사이트가 실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0.05.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BCC격자 안에 갇혀서 생기는 현상으로 탄소의 과포화 페라이트 상이다. 매우 불안정한 상으로 격자가 찌그러짐에 따라 내부에 높은 전단응력이 생긴다. 탄소원자가 0.2%이상이 되면 BCC구조는 탄소원자의 영향으로 BCT구조로 찌그러진다. 내부에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5.09.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