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데이터로부터 시간에 따른 전류와 전압, 전류밀도 등에 관한 정보를 알 수 있다. 20sec부터 200sec까지의 시간에 따라 전류밀도와 Power가 증가하다가 200sec부근에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V의 경우 180sec에서부터 감소한다. 아래는 DMFC의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1.01.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0.441
0.441
0.441
0.00
240.15
1.587
317.370
0.592
118.330
0.373
0.373
0.373
0.00
260.05
2.511
502.170
0.615
122.980
0.245
0.245
0.245
0.00
280.05
0.000
0.000
0.000
0.000
0.021
0.021
0.020
0.00
그림. 3.1 P vs I.
위의 그림 3.1은 표 3.1의 DMFC측정 결과를 가지고 P vs I의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1.01.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 1.DMFC의 개발 배경
2. DMFC 기술개요
-DMFC의 원리
-DMFC의 구성요소
-DMFC 특징
3. 연구개발 동향
-연구개발 동향
-기업개발 현황
-기술적 과제
4. 전망 및 결론
|
- 페이지 30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4.12.12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DMFC에서는 메탄올이 고분자전해질 막을 통해 anode쪽에서 cathode쪽으로 이동되어 cathode의 과전압(overpotential)을 높이는 crossover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전해질은 수소이온 교환막이므로 막은 쉽게 메탄올을 흡수한다. 투과한 메탄올은 양극 근방
|
- 페이지 19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1.01.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DMFC
촉매 사용량
3~10 mg/cm2
3~20 mg/cm2
1 mg/cm2
MEA 출력밀도
(수동형/능동형)8
30 / 100 mW/cm2
20 / 100 mW/cm2
100/300 mW/cm2
메탄올 투과도
(나피온 대비)
30%
10%
< 5%
전해질막 이온전도도
0.1 S/cm2
0.1 S/cm2
0.1 S/cm2
스택 출력밀도
40W/L (수동형)
na
120W/L (수동형)
|
- 페이지 43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9.03.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