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함수 형태가 다르다는 것이다.
Fourier series 는 주기적인 함수에 Fourier Transform 은 비 주기적인 함수에 적용하는 것이다. 그래서 Fourier series 는 연속(continuous) , 주기적인 시간함수
(periodic time-domain function)을 discrete frequency 에의 주파수 함수로 변환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8.06.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된다.
● Bread Board 결선도
● 실험조건
- 사용부품: 1/4W 저항 1㏀ (R1) , 10㏀ (R2) 각각 1개
OP AMP (uA741) 1개
- 사용장비 : 오실로스코프, 신호발생기(Function Generator), DC 파워서플라이어
멀티테스터(Digital Multi-meter) 각 1대
- 입력신호 : 200㎷,1Khz 정현파 (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10.03.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함수 제작시 부정확한 결과 파형 발생하며 0 의 출력값을 가짐
=> 실수와 정수의 data type 캐스팅 문제 해결
4. 삼각함수의 x축 이동에 있어서의 문제 발생
=>PC (32bit) 와 달리 int형이 16bit형으로 설정되어 있음을 확인
5. 기본 제공 함수와 AM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4,000원
- 등록일 2010.05.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발생기(Function generator)
-각각 다른 주파수와 진폭을 갖는 몇 가지 형태의 파형을 출력하는
장치.
-RANGE에서 주파수 단위버튼을 선택할 수 있다.
-다이얼을 이용하여 필요한 주파수크기를 설정할 수 있다.
-AMPLITUDE(진폭) 버튼을 이용하여 첨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0.02.24
- 파일종류 워드(doc)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오실로스코프의 기계오차를 말할 수 있다. 또 Function generator가 안정한 상태가 아니라 불안정한 상태이므로 오차를 발생시키기 쉽다. 또 불안정한 상태이다 보니 0.01kHz단위로 주파수가 조금씩 변하기도 하였는데 이 차이는 10Hz의 차이임으로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4.06.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오실로스코프(Oscilloscope) VS 스펙트럼 분석기(Spectrum Analyzer)
모든 전자파, 또한 모든 자연 현상은 시간이나 주파수 함수로 표현할 수 있다.
오실로스코프의 기본 동작은 전기 신호 현상에 대한 시간 특성을 표시해 주는 것이고, 스펙트럼 아날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5.05.3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오실로스코프들에 도입될 수 있다.
4. 논의
이번 실험은 RC Circuit를 구성하여 이 회로에 발생하는 Frequency Response를 고찰해보는 실험이다. 우리는 Oscilloscope를 준비하고, Lissajous Figure를 이용하여 φ를 측정한다. 또한 φ를 이론적으로 계산하여 실
|
- 페이지 19페이지
- 가격 7,500원
- 등록일 2011.04.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호를 나타내도록 오실로스코프에 함수 발생기를 다시 연결하고 수직채널의AC-GND-DC 결합 스위치를 GND에 전환하라. 효과는 무엇인가?
일직선으로 나타난다.
왜? 이 오실로스코프 기능은 어떻게 이용될 수 있는가?
0전위라서 기준점 맞추기 위해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1.06.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의 전압을 발생시켰을 때, 오실로스코프의 디스플레이에 주파수 : 999.998 Hz, 전압 : 약 AC 3V 의 결과가 나타났다.
주파수는 함수발생기의 설정값과 오실로스코프의 측정값에서 약 0.002 Hz의 오차가 발생하였고, 전압 또한 아주 근소한 차이가 발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24.01.3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함수발생기에 입력하는 사진을 나타낸다.
값을 입력하면 오실로스코프 Vs,Vc의 파형이 사진3-2와 같이 나타난다.
사진3-3에서 주기t=40㎲임을 확인하고 3-4에서 같은 위상에서의 차이가 2.4㎲임을
확인하여 로 위상차는 21.6이다.
21.6의 위상차를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9,660원
- 등록일 2013.12.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