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Gerbner 등은 텔레비전은 현실세계에 대한 시청자들의 지각이나 해석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론을 내렸다. 이러한 일련의 연구들을 '문화지표연구'라고 부르며, 이 연구를 통해 Gerbner 등은 계발효과이론의 가정을 입증했고, 그 타당성을 주장했다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04.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Gerbner and L. Gross, "Living with Television", the Violence Profile, Journal of Communication, 26(2)(1976).
이윤선, “공영방송 드라마 특성화에 관한 연구”, <방송문화연구>, 1993.
이영희, “텔레비전 홈 드라마의 이상적 모델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신문방
|
- 페이지 27페이지
- 가격 1,900원
- 등록일 2008.11.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Gerbner, G. & Gross, L. (1976). Living with Television: The Violence Profile. Journal of Communication, Vol.26, No.2, 172-199.
Goldthorpe, J.H., Lockwood, D., Bechhofer, F. & Platt, J. (1968a), The Affluent Worker: Industrial Attitutes and Behaviour.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Goldthorpe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04.11.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Gerbner, G.1969. Instituional pressures on mass communicator, The Sociolog
y of Mass Communicators, Sociological Review Monograph 13.
Mcquail Dinis and Sven Windahl.2001. 커뮤니케이션 모델, 임상원 유종원 역,
서울: 나남출판.
《동아일보》(1964. 9. 10)
《조선일보》(1964. 7. 30 ~ 9. 11)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1.01.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Gerbner와 그에 의한 학문적 관심의 시작 - TV의 폭력프로그램의 효과연구에서 출발했다 폭력지수
(Violence Index)의 개발과 그것의 확대 문화지표연구를 통한 계발효과의 발견
2)문화계발효과이론의 기본가정과 그 이론적 배경
"텔레비젼은 미국사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900원
- 등록일 2004.02.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