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양이온과 항시 자리바꿈을 하게 되는 양이온교환의 주체이다.
* 양이온 교환용량이 비옥도, 산도에 영향
양이온교환은 단위 질량(건조한 토양)에 대한 전하의 센티몰(cmol+/kg)이나 밀리당량(meq/100g)으로 그 크기(양이온교환용량,CEC)를 나타낸다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11.10.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량 (ppm) × 200) / (23)
자료출처
토양지구화학, 네이버(http://blog.naver.com/mirinaebae?Redirect=Log&logNo=5498799) 시약
방법
계산식
|
- 페이지 1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9.12.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양이온 치환용량: CEC)
⑥ 토양의 화학적 양상 2 (pH)
5. Materials & Apparatus
※ Filter paper (여과지)
6. Methods
1) 토양의 색 분석
2) 토양의 pH
3) 토양의 수분 함량 & 토양의 유기물 함량: soil organic matter
※ 실험 시 주의 사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8.07.14
- 파일종류 워드(doc)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양이온교환능력(Cation Exchange Capacity, CEC)
양이온교환능력이란 퇴비가 가지고 있는 치환성 양이온의 총량을 당량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이는 퇴비가 가지고 있는 음전하의 양과 같다. 일반적으로 CEC값은 고형물전체를 기준으로 표현되지만 유기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1.10.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CEC Brown법)
양이온치환용량(cation exchange capacity)는 일명 염기치환용량(base exchange capacity)라 한다. CEC는 토양이 갖는 음전하(negative charge)의 총량이라 한다. 양이온(Al3+, Ca2+, Mg2+, NH4+, K+, Na+, H+ 등)을 교환할 수 있는 최대량을 표시하는 것으로, 토양
|
- 페이지 19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06.09.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