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및 재료(Materials)
2. 실험 과정(Method)
IV. Results
1. Cell Counting
① Cell Density 및 Cell Viability
② 1×104cells/well을 분주하기 위해 하나의 well에 필요한 세포 현탁액의 volume
2. MTT assay
① Table and Graph of Assay
② 결과 해석
V. Discussion
VI. References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25.03.17
- 파일종류 아크로벳(pdf)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표준(2006),「유산균 검출 및 계수방법」
(식품미생물학실험)
실험보고서
- 생균수 측정 -
(Viable cell count)
담당교수님 : 교수님
제출일 : 2008. 04. 07.
제출자 : 식품공학과 1. Introduction
2. Materials & Method
3. Result & Discussion
4. Reference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9.01.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cell counting에서는 RBC가 5.07 M/mm3가 나와 정상 수치보다는 조금 낮았다. 백혈구 수치는 7400으로 정상수치가 나왔다. 그리고 Hematocrit과 Blood cell counting을 활용한 Mean Corpuscular Volume (MCV)은 94.28µm3가 나와 정상 수치보다 높았다.
Introduction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12.08.14
- 파일종류 워드(doc)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cell-derived factor1-alpha)
-stromal cell-derived factor1(SDF1)
-SDF1α의 기능
-SDF1α의 receptor
4)T cell migration
5) T migration assay의 principle(원리)
Ⅲ. Materials
Ⅳ. Assay protocol
1) CO2 incubator에서 자라고 있는 jurkat T cell을 harvest
2) cell counting과 분주
3) lower well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21.02.18
- 파일종류 워드(doc)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더 많다고 볼 수 있다.
실제로 incubator에서 배양 후 꺼냈을 때 세포 수가 많았던 A가 약간 검붉은 색을 띠었고 DMSO로 fomazom을 녹였을 때 A가 B보다 더 진한 보라색을 띠었다.
B를 100%로 보았을 때 A의 cell 생존율은 약65.64%라고 볼 수 있다.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3,360원
- 등록일 2013.07.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