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백과사전
미생물학 5판 1. gram staining
OBJECT
INTRODUCTION
MATERIAL & METHOD
RESULTS
DISCUSSION
REFERANCE
2. acid-fast staining
OBJECT
INTRODUCTION
MATERIAL & METHOD
RESULTS
DISCUSSION
REFERANCE
3. spore staining
OBJECT
INTRODUCTION
MATERIAL & METHOD
RESULTS
DISCUSSION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05.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staining – Use of single staining
Differential staining – Use of two contrasting stains
Gram staining
Acid-fast stainig
Flagella staining
Capsule staining
Spore staining
Nuclear staining
7. Methods:
1) Slide glass에 D.W 한 방울 위에 4주차에 배양한 토양미생물(세균)을 needle로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8.06.24
- 파일종류 워드(doc)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Gram staining)
3. 항산성염색(Acid - fast staining)
4. 아포염색(Spore staining)
5. 협막 염색(Capsule staining)
Ⅳ. 세균 배양
1. 선상도말배양법(streak plate culture)
2. 사면배지 도말배양법(nutrient agar slant culture)
3. 액체배지 배양법(nutrient broth culture)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07.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볼 수 있으나 아포, 협막과 같은 구조물은 염색되지 않는다. 1. Simple stain
- 목적
- 원리
- 결과 관찰
2. Gram Stain
- 목적
- 원리
- 결과관찰
3. Spore Staining
- 목적
- 원리
- 결과관찰
4. Capsule stain
- 목적
- 원리
- 결과관찰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1.10.31
- 파일종류 워드(doc)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gram positive bacteria와 gram negative bacteria의 색깔변화 관찰한다.
Ⅴ. 실험결과
1. Gram Positive
figure4. Gram Positive
2. Gram Negative
figure5. Gram Negative
Ⅵ. 결론
그램 양성균과 음성균의 염색차이 요인을 알아보면 지금까지 알려진 바로는 그람양성균의 CV-I 복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5.10.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