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연구 목적 제시
● 미니멀리즘…………… 2
사례 연구 및 분석
● 디자인을 단순화한 성공 사례
디자인의 중요성이 부각된 배경
디자인도 차별화 시대
아이팟의 디자인 전략
초콜릿 폰의 디자인 전략
이제는 킬러 디자인
● 기능을 단순화한 성공 사례
구글
놈
카트라이더
● 마케팅을 단순화한 성공 사례
전략의 단순화
전달의 단순화
이미지, 브랜드의 단순화
연구 결과
● 미니멀리즘이 호응을 얻는 이유
사람들은 왜 심플함에 손을 들어줬는가
디자인과 기능의 단순함
차별화 전략으로 인한 성공
고객의 욕구 + α
● Think outside the Box
● 미니멀리즘…………… 2
사례 연구 및 분석
● 디자인을 단순화한 성공 사례
디자인의 중요성이 부각된 배경
디자인도 차별화 시대
아이팟의 디자인 전략
초콜릿 폰의 디자인 전략
이제는 킬러 디자인
● 기능을 단순화한 성공 사례
구글
놈
카트라이더
● 마케팅을 단순화한 성공 사례
전략의 단순화
전달의 단순화
이미지, 브랜드의 단순화
연구 결과
● 미니멀리즘이 호응을 얻는 이유
사람들은 왜 심플함에 손을 들어줬는가
디자인과 기능의 단순함
차별화 전략으로 인한 성공
고객의 욕구 + α
● Think outside the Box
본문내용
을 예로 들 수 있다.
즉 한 가지 기능에서라도 소비자를 100% 만족시킨 뒤에 부가적인 가치를 줄 수 있는 심플한 제품이 복잡한 기능이 합쳐져 50%이상의 죽은 기능을(사용하지 않는 기능) 만드는 제품보다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는 것이다.
● 고객의 욕구 + α
유행과 고객의 니즈는 항상 변화한다. 그것을 일시적인 것 일수도 있으며 다시 돌아오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한다. 컨버전스 속에서 빛을 밝힌 미니멀리즘. 그러나 컨버전스가 존재하였기에 미니멀리즘이 탄생할 수 있었으며, 서로 반대인 것처럼 보이는 이 두 요소는 공존 할 때 그 의미가 있다. 그러므로 미니멀리즘도 일종의 추세적인 면으로 보아야 하며 때문에 여기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해야 할 요소는 드러나 있는 + 감춰져 있는 고객의 욕구이다. 미니멀리즘의 화두격인 초컬릿폰도 1)프로슈머의 영향을 받음으로써 소비자들의 욕구를 적절히 반영할 수 있었다.
우리가 살고 있는 21세기에는 제품을 팔기 위해서는 떡하니 제품만 내놓을 뿐 아니라 그 제품에 이미지를 덫 붙이는 것이 효과적이다.
본문에 소개된 많은 다수의 제품들이 소비자의 욕구를 파악함과 더불어 감성에 호소하는 마케팅 전략을 써서 성공한 것을 볼 수 있다. 이것은 제품은 잘 만들어져야 하는 것은 물론이거니와 잘 만들어진 이미지에 감성적 코드를 갖추며 곱게 포장 되어야 한다
연구 결과
1)프로슈머
프로듀서(producer)와 소비자(consumer)의 합성어로 남들이 제작하거나 상업용으로 제작한 음악, 게임, 영화 등 콘텐츠를 즐기는 소비자인 동시에 스스로 전문가용 소프트웨어나 기기를 이용해 콘텐츠의 제작자가 되기도 하는 사람들을 지칭
연구 결과
는 것을 의미한다. 잘 만들어진 제품의 이미지는 기업의 엄청난 자산적 가치가 되며 그 산업의 독보적인 존재가 되는데 큰 역할을 한다. 이제는 제품만 팔아서도 안 되고 이미지만 팔아서도 안 된다. 스타의 이미지로 이끌어 가던 스타마케팅들도 이제는 호소력이 떨어진다. 한 가지만 잘 만들어져서는 오래 갈 수 없기 때문이다. 시대가 달라지고 있기 때문에 마케팅도 이제 소비자의 마음을 읽고 원하는 것을 제공하는 중요한 수단으로 작용하여야 한다. 최근 고객의 구매성향은 단순히 제품(product)의 특징이나 제품이 주는 편익(benefit)에 구매 성향이 좌우되지 않고, 제품에 담긴 이야기나 자신만의 감성을 자극하여 마음을 움직일 수 있는 감성중심의 제품이나 서비스에 관심을 가지고 구매를 하고 있다. 소비자들이 제품을 구매하도록 하는 가장 큰 동기는 논리적인 데이터(data)나 사실이 아니라 지극히 개인적인 감정과 경험이라고 할 수 있다. 소비자들은 본래 자신이 사고 싶은 대상에 편안함을 느낄 때, 왠지 모르게 신뢰가 갈 때, 모든 것이 기분 좋고 자연스러울 때 비로소 구매를 결정하기 때문이다. 감성중심의 상품개발과 마케팅 전개는 고객의 감성을 자극할 수 있는 다양한 비주얼을 반영할 수 있는 매스미디어의 발전과 차별화된 개개인의 개성이 강조되면서 이성적인 가격전략이나 제품이 지닌 유형의 상품 가치보다는 무형의 이미지(image)가 전달되는 경험이나 가치에 무의식적으로 반응하는 것이다.
즉 고객은 남들과 다른 제품 그러나 나의 마음을 움직일 수 있는 감성적인 그 무언가를 선택하는 것이다.
Think outside the Box
좋은 제품을 만들기 위해서는 역발상과 차별화가 필요하며, 앞서가는 디자인에 대한 끊임없는 연구와 노력이 필요하다. 기업의 욕구충족을 위한 매스 마케팅이 아닌 고객의 욕구를 반영한 타겟+고객밀착 마케팅을 펼쳐야 한다. 역사가 증명하듯(?) 사람에게 있어 만족은 순간의 평가, 감정일 뿐 영원으로 연결되기란 불가능하다. 감성 마케팅... 과연 미니멀리즘 추세는 언제까지 지속될까? 기업은 한 제품이 성공한 순간부터 또 다른 욕구 혹은 개척 되지 않은 블루오션을 찾아야 할 것이다.
연구 결과
첨 부
● 기술 지원
http://www.naver.com
http://www.htmsejong.ac.kr
http://www.gamevil.com
http://www.segye.com
http://www.kait.or.kr
http://www.daum.net
http://www.mic.go.kr
http://www.buyking.com
http://www.lgeri.com
http://www.seri.org
http://www.econote.co.kr
http://www.imaso.co.kr
http://www.mk.co.kr
http://www.lge.co.kr
http://www.sec.co.kr
http://www.google.com
http://www.dt.co.kr
http://www.pantech.co.kr
http://www.nexon.com
http://www.southwest.com
http://absolut.com
http://www.thefaceshop.com
http://www.kellogg.co.kr
http://www.cocacola.co.kr
http://www.phonescoop.com
http://www.hankyung.com
네이버
세종대학교 호텔관광경영
게임빌
세계일보
한국정보통신산업협회
다음
정보통신부
Buyking
LG경제연구원
삼성경제연구소
예병일의 경제노트
마이크로 소프트웨어
매일경제
LG전자
삼성전자
구글
디지털타임스
팬텍앤큐리텔
넥슨닷컴
사우스웨스트
엡솔루트
더페이스샵
켈로그
코카콜라
폰 스쿠프
한국경제
● 참고 문헌
지호준, 알기 쉽게 배우는 21세기 경영학, 법문사, 2000
최승복, 김상권 외, 광학기술 복합시대, 생각나무
신형암, 더욱 본질적이고 넓은 컨버젼스를 위해, 제일기획, 2004
Steven M. Cristol & Peter Sealey, Simplicity Marketing, Publisher
006년 주목할 만한 감성 마케팅 키워드, 주간경제 867호, 2006
LG경제연구소, 복잡한 환경 속에 단순함을 불어넣다, 주간경제 863호, 2005
디자인 경영 핵심 포인트 5, 주간경제 772호, 2004
홍성준, 차별화의 법칙, 새로운제안, 2005
즉 한 가지 기능에서라도 소비자를 100% 만족시킨 뒤에 부가적인 가치를 줄 수 있는 심플한 제품이 복잡한 기능이 합쳐져 50%이상의 죽은 기능을(사용하지 않는 기능) 만드는 제품보다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는 것이다.
● 고객의 욕구 + α
유행과 고객의 니즈는 항상 변화한다. 그것을 일시적인 것 일수도 있으며 다시 돌아오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한다. 컨버전스 속에서 빛을 밝힌 미니멀리즘. 그러나 컨버전스가 존재하였기에 미니멀리즘이 탄생할 수 있었으며, 서로 반대인 것처럼 보이는 이 두 요소는 공존 할 때 그 의미가 있다. 그러므로 미니멀리즘도 일종의 추세적인 면으로 보아야 하며 때문에 여기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해야 할 요소는 드러나 있는 + 감춰져 있는 고객의 욕구이다. 미니멀리즘의 화두격인 초컬릿폰도 1)프로슈머의 영향을 받음으로써 소비자들의 욕구를 적절히 반영할 수 있었다.
우리가 살고 있는 21세기에는 제품을 팔기 위해서는 떡하니 제품만 내놓을 뿐 아니라 그 제품에 이미지를 덫 붙이는 것이 효과적이다.
본문에 소개된 많은 다수의 제품들이 소비자의 욕구를 파악함과 더불어 감성에 호소하는 마케팅 전략을 써서 성공한 것을 볼 수 있다. 이것은 제품은 잘 만들어져야 하는 것은 물론이거니와 잘 만들어진 이미지에 감성적 코드를 갖추며 곱게 포장 되어야 한다
연구 결과
1)프로슈머
프로듀서(producer)와 소비자(consumer)의 합성어로 남들이 제작하거나 상업용으로 제작한 음악, 게임, 영화 등 콘텐츠를 즐기는 소비자인 동시에 스스로 전문가용 소프트웨어나 기기를 이용해 콘텐츠의 제작자가 되기도 하는 사람들을 지칭
연구 결과
는 것을 의미한다. 잘 만들어진 제품의 이미지는 기업의 엄청난 자산적 가치가 되며 그 산업의 독보적인 존재가 되는데 큰 역할을 한다. 이제는 제품만 팔아서도 안 되고 이미지만 팔아서도 안 된다. 스타의 이미지로 이끌어 가던 스타마케팅들도 이제는 호소력이 떨어진다. 한 가지만 잘 만들어져서는 오래 갈 수 없기 때문이다. 시대가 달라지고 있기 때문에 마케팅도 이제 소비자의 마음을 읽고 원하는 것을 제공하는 중요한 수단으로 작용하여야 한다. 최근 고객의 구매성향은 단순히 제품(product)의 특징이나 제품이 주는 편익(benefit)에 구매 성향이 좌우되지 않고, 제품에 담긴 이야기나 자신만의 감성을 자극하여 마음을 움직일 수 있는 감성중심의 제품이나 서비스에 관심을 가지고 구매를 하고 있다. 소비자들이 제품을 구매하도록 하는 가장 큰 동기는 논리적인 데이터(data)나 사실이 아니라 지극히 개인적인 감정과 경험이라고 할 수 있다. 소비자들은 본래 자신이 사고 싶은 대상에 편안함을 느낄 때, 왠지 모르게 신뢰가 갈 때, 모든 것이 기분 좋고 자연스러울 때 비로소 구매를 결정하기 때문이다. 감성중심의 상품개발과 마케팅 전개는 고객의 감성을 자극할 수 있는 다양한 비주얼을 반영할 수 있는 매스미디어의 발전과 차별화된 개개인의 개성이 강조되면서 이성적인 가격전략이나 제품이 지닌 유형의 상품 가치보다는 무형의 이미지(image)가 전달되는 경험이나 가치에 무의식적으로 반응하는 것이다.
즉 고객은 남들과 다른 제품 그러나 나의 마음을 움직일 수 있는 감성적인 그 무언가를 선택하는 것이다.
Think outside the Box
좋은 제품을 만들기 위해서는 역발상과 차별화가 필요하며, 앞서가는 디자인에 대한 끊임없는 연구와 노력이 필요하다. 기업의 욕구충족을 위한 매스 마케팅이 아닌 고객의 욕구를 반영한 타겟+고객밀착 마케팅을 펼쳐야 한다. 역사가 증명하듯(?) 사람에게 있어 만족은 순간의 평가, 감정일 뿐 영원으로 연결되기란 불가능하다. 감성 마케팅... 과연 미니멀리즘 추세는 언제까지 지속될까? 기업은 한 제품이 성공한 순간부터 또 다른 욕구 혹은 개척 되지 않은 블루오션을 찾아야 할 것이다.
연구 결과
첨 부
● 기술 지원
http://www.naver.com
http://www.htmsejong.ac.kr
http://www.gamevil.com
http://www.segye.com
http://www.kait.or.kr
http://www.daum.net
http://www.mic.go.kr
http://www.buyking.com
http://www.lgeri.com
http://www.seri.org
http://www.econote.co.kr
http://www.imaso.co.kr
http://www.mk.co.kr
http://www.lge.co.kr
http://www.sec.co.kr
http://www.google.com
http://www.dt.co.kr
http://www.pantech.co.kr
http://www.nexon.com
http://www.southwest.com
http://absolut.com
http://www.thefaceshop.com
http://www.kellogg.co.kr
http://www.cocacola.co.kr
http://www.phonescoop.com
http://www.hankyung.com
네이버
세종대학교 호텔관광경영
게임빌
세계일보
한국정보통신산업협회
다음
정보통신부
Buyking
LG경제연구원
삼성경제연구소
예병일의 경제노트
마이크로 소프트웨어
매일경제
LG전자
삼성전자
구글
디지털타임스
팬텍앤큐리텔
넥슨닷컴
사우스웨스트
엡솔루트
더페이스샵
켈로그
코카콜라
폰 스쿠프
한국경제
● 참고 문헌
지호준, 알기 쉽게 배우는 21세기 경영학, 법문사, 2000
최승복, 김상권 외, 광학기술 복합시대, 생각나무
신형암, 더욱 본질적이고 넓은 컨버젼스를 위해, 제일기획, 2004
Steven M. Cristol & Peter Sealey, Simplicity Marketing, Publisher
006년 주목할 만한 감성 마케팅 키워드, 주간경제 867호, 2006
LG경제연구소, 복잡한 환경 속에 단순함을 불어넣다, 주간경제 863호, 2005
디자인 경영 핵심 포인트 5, 주간경제 772호, 2004
홍성준, 차별화의 법칙, 새로운제안,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