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성리학의 특징과 역사적 기능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한국상고 및 삼국시대의 유교
2. 고려시대 유교 정치이념의 확립
3. 고려 말, 조선 초의 유교와 성리학
4. 6~17세기 성리학의 발달
5. 조선후기의 유교(18C 후반)

Ⅲ. 결론

본문내용

속에 그 빛을 조명, 개방시키는 근대적 세계로의 개운을 볼 수 있다.
▶조선후기의 유교(18C 후반)◀
조선 후기는 근대로 접어드는 시기로서 조선조의 마지막 단계에 해당하며, 밖으로부터 새로운 문물을 접하고 정치, 문화적으로 변화와 충격을 받게 되는 복잡한 시대였다. 즉, 병인양요, 신미양요,운요호사건등과 같이 외세와 내우로 얼마나 어려움을 경험했는 가를 알 수 있다. 난국에 처한 국운에 대처하여 당시의 지성들이 취하였던 길은 두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하나는 의리학파의 계통으로서, 주권수호를 위하여, 이념적, 정치적으로 외세를 배격하고자 하는 수구적, 주체적 보수파의 입장이며, 다른 하나는 재래의 실학적 맥락으로 연결시켜보기도 하는바, 국제문물을 받아들여 개혁과 자강을 도모하여야 한다는 개화파의 입장이다.
19세기의 조선은 전통적 기반 위에서 볼 때 밖으로부터 오는 두 방면의 위기에 처하여 있었다. 하나는 정치적인 것으로 멀리는 서양제국과, 가까이는 일본제국주의 세력이 나라의 심장부로 들어와서 외교적, 군사적 각축을 벌인 것이고, 다른 하나는 사상적 문제로 전통가치 체계와 상반되며 도전적이기도 하였던 서학(천주교)이 확대되어감에 따라 유교국가인 조선으로서는 이러한 상황을 매우 심중한 문제로 인식할 수 밖에 없었다. 더구나 그 규모나 내용에 있어서 과거와 같이 동양내부의 문제에 그치지 않고 국제적으로 동양과 서양이 만나고 부딪혔던 것이니, 이는 지난 시대와는 차원을 달리하는 양상으로 미증유의 변화와 전환을 예고하는 것이었다. 동서의 만남은 그 방식과 과정이 어떠하였거나간에 이미 역사의 필연이 되었다 할 수 있겠으나, 처음에는 서로를 잘 알지 못하였을 뿐 아니라, 외세라는 것이 정치적이거나 문화적인 것을 막론하고 반드시 선의인 것만도 아니고, 또 의도적이든 결과적이든, 침략이 아니었다고 할 수도 없는 까닭에, 이와같이 기존의 가치질서를 신봉하면서 살아온 사람들에게 가하여지는 외압과 충격은 당연히 경계하고 배척하여야 할 대상으로 간주되었던 것이다. 한편으로는 실학파가 새롭게 밀려오는 서양 및 일본의 발달된 문물을 받아들여 나라이 자강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외부로부터의 위압과 이들 개화파의 주장에 의하여 조선은 결국 문호를 개방하고 짧은 기간 동안에 일본 및 구미제국과의 외교관계를 맺었으며, 개국 이래 유지하여온 국가체제를 근대적으로 변경시키고 있었다. 그러나 일본 등 열강의 식민정책은 너무나도 명백하고 결정적인 것이었으니, 이는 역사에서 실증되었다.
최근세의 한국은 서양, 그리고 전통과 근대가 만나 소용돌이치는 변동의 시대였다. 이같이 중대한 시기를 당하여 조선 후기의 실학과 의리학, 그리고 근대의식이 단합된 역략으로 포용, 승화되었더라면 새로운 철학을 창출하고 나라 발전을 이룩하며 민족의 앞날을 개척할 수 있었을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소망은 성취되지 못한 채 역사는 흘렀으며, 이제 하나의 저력과 가능성으로서 후세인들이 풀어야 할 과제로 다가오고 있다.
이번 Report를 준비하면서 유교에 대해서 더 자세하게 알게 된 것 같다. 어렸을 적부터 우리 역사사실에 대해서 이야기를 들으면서 자랐고, 또 실질적인 역사교육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유교"를 생각하면 우선적으로 조선이 떠오른다. 즉, "조선의 정치이념이 유교이다"라는 생각이 지배적이어서 조선이 시작할 때 유교가 생겼다고 느꼈었다. 그러나 실제로 이번 숙제를 하면서 고대 상고시대때부터 우리의 문화속에서 유교가 함께 녹아있었다는 것을 알았다. 그리고 또한 여러 가지 자료를 읽으면서 역사라는 것이 무척이나 다양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느꼈다. 즉, 역사적으로 똑같은 사건임에도 불구하고 어떤 시각으로 바라보느냐에 따라서 내용이 달라지게 되고 유교도 시대의 지배사고 방식에 따라서 유교의 내용성격도 조금씩은 변화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기존의 분할적인 역사공부가 아니라 어떤 한 문제에 대해서 역사적으로 통합적, 체계적으로 살펴볼 수 있었다는 것이 도움이 되었다.
【참고문헌】
한영우,〈조선건국과 사대부〉,《한국사특강》,서울대출판부,1990
정옥자,〈유학과 경세론〉,《한국사특강》,서울대출판부,1990
윤사순,〈한국 성리학의 특징과 위치〉,《한국사 시민강좌》제4집,1989
이태진,〈조선 성리학의 역사적 기능〉,《조선유교사회사론》,지식산업사,1781
국사편찬위원회,《한국사》21,1996
한국정신문화연구원,《한국 민족문화 대백과 사전》16,웅진출판사,1992
한국역사연구회,《한국역사》,역사비평사,1993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6.10.21
  • 저작시기2005.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6798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