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U(Back Light Unit)의 전반적인 이해와 기술전망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BLU(Back Light Unit)의 전반적인 이해와 기술전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LP와 같은 독극물 처리법이 발표되었거나, CO2 저감을 위하여 저효율 콤팩트 형광램프 및 광원의 생산을 금지하였다. 일본에서는 그간의 추세를 볼때, 구미 각국의 이와 같은 행동에 따르는 유사 법안이 조마간 제정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발맞추어 국내에서도 자원의 순환을 고려한 환경친화적인 제품의 개발이 이어지고 있는 추세로 유해물질 특히, 수은(Hg)사용을 최소화 또는 저감을 적극적으로 수용한 광원 개발이 시급화하는 시점에서 미래원천 기술의 물질인 나노(Nano)를 이용한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 Tube:CNT)라는 신소재를 사용하여 무수은 고효율 박막 발광 광원에 더욱 절실해 지고 있는 실정이므로 이에 따른 국가 시책의 일환으로 적극적인 연구 지원 및 신규 개발에 더욱 가속화 되리라 전망되어진다.
4. 결론
소형 백라이트는 가장 많이 적용되고 있는 분야로 기술의 방향은 중형과 마찬가지로 부품 수를 최대한 줄이는 방향으로 전개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 소형에서는 광원으로 LED를 사용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변의 광학부품과 일치시켜야 하는 어려운 점이 있다. 그리고 사이즈가 작기 때문에 광학 패턴 등에서 수 마이크론 단위로 미세한 형상을 가공해야 하는 어려운 점이 있다. 최근 Micro Lens Array 등을 도광판에 직접 형성시키거나 회절격자를 형성시키는 방법, 홀로그램방법을 이용하는 등 기학광학을 이용하는 기술이 증가하고 있다. 가공방법으로는 Photolithography가 일반적이나 MEMS기술, Stamp기술, 금형 직가공 방법 등 다양한 가공 방법을 적용하고 있다. 이 중 일본 Omron사는 LED 한 개를 사용하여 도광판 코너에 위치시키고 Moth Eye 형태를 타원으로 배치시킨 것은 기술면에서 가장 앞서 있다고 말할 수 있겠다. 전체적으로 소형에서는 LED 광원과 부품들과의 Optical couping이 가장 이슈가 되고 있다고 보여 진다.
노트북 및 모니터를 중심으로 하는 중형 백라이트는 소형 백라이트와 마찬가지로 모든 부품들의 광학 기능을 도광판 안으로 집적화시키는 것이 관건이다. 이는 도광판이 최소한 mm의 부피를 가지고 있고 아크릴의 가공성이 우수하기 때문이라고 판단하고 있다. 도광판 안으로 내재화는 이론적으로 주변의 모든 시트들이 될 것이지만 사람의 시각성을 고려하면 확산 보호 등 최소 1~2장의 시크는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TV용 광원은 다른 것과 달리 그 규모나 기술면에서 관점을 달리하고 있기 때문에 TV용 광원 개발은 따로 분리하여 생각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TV용 점점 대형화 된다는 점, TV용 백라이트는 액정 모듈의 부품원가 구성에서 기존의 노트북이나 모니터에 비해 상당히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가격인하 압박을 상당히 받고 있다는 점, 규모가 큰 램프의 생산성을 높여 가격을 낮추어야 한다는 점, 그리고 친환경적 광원 개발의 필요하다는 점에서 TV에서는 새로운 개념의 백라이트를 개발해야 한다는 당위성이 대두되었다. 이를 반증하듯이 EEFL을 장착한 TV용 백라이트 출시, 광원 자체가 평판형인 FFL개발, 최근 LED를 이용한 백라이트 등 다 양한 형태의 광원이 개발되고 있다.
최근 가장 개발이 활발한 분야는 LED-BLU이다. LED는 다른 광원에서 가질 수 없는 강점을 가진 광원으로 차세대 백라이트로서 가장 각광을 받고 있다. LED 광원은 이미 휴대폰 등에 키패드용으로 칼라 LED를 사용하고 있고 LCD창의 백라이트로 백색LED를 사용하고 있다. LED의 강점인 우수한 색 재현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형광체를 사용하지 않고 RGB 각각의 단색 광원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많은 장점에도 불구하고 LED는 칩 가격이 비싸다는 것과 발광 효율이 낮기 때문에 발열문제가 심각하다는 것이다. 이 두 가지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많은 기관에서 연구 개발을 수행하고 있고 향후 2~3년 안에 극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된다.
CNT는 최근 1~2년 사이에 CNT를 Paste와 혼합하여 Screen Printing함으로서 대면적 제작이 용이해지면서 백라이트로 응용이 대두되었다. 그러나 FED에서 관건은 탐침의 산화를 방지할 수 있는 진공도를 유지하는 것이다. 또한 대면적에서 봉지 기술도 관건이 되고 있다. 따라서 CNT-BLU는 가능성은 있지만 여전히 형광체를 사용하고 있다는 점 등에서 타 기술에 비해 큰 강점은 없는 상황으로 기술 개선의 추세를 살피는 것이 좋다.
이렇듯 지금의 백라이트 기술은 더 이상 백라이트 업체 기술로만 해결할 수 없는 것들이 많이 있다. 예를 들면 동영상의 Motion blurring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 백라이트를 점등하는 기술 등은 액정의 구동과 연계되어 있기 때문에 백라이트 업체에서 접근하는 것보다 패널 업체와 연계하는 것이 효율적이라고 하겠다. 또한 새로운 광원인 EEFL, FFL, LED, CNT 개발은 많은 부분에서 램프 업체와 연계해야 하는 부분이 있고 램프 종류에 따른 구동기술 또한 조립을 주 업종으로 하는 백라이트 업계에서는 생소한 분야일 수 있다. 이런 기술 환경적 변화로 주변의 기술들과 인프라를 구축하면서 나아갈 수밖에 없는 것이다. 환경이 급속하게 변화할수록 협력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백라이트는 독자적인 기술우위를 확보할 수 있는 분야를 내재화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5. 참고문헌
- 장진, “TFT-LCD 산업 경쟁력 향상 방안” 한국정보디스플레이 학회지 제2권 제1호, 2001.2
- TFT-LCD Research Center, “TFT-LCD의 부품 및 재료기술, TFT-LCD의 설계 및 공정 기술”
- 김차연, “BLU 기술동향”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지 제2권 제1호, 2001.2
- “인포메이션 디스플레이”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지 제6권 제3호, 2005.6
- 전자신문 < http://www.etimesi.com>
- 기술연구소 Raygen “ Back Light의 이해”
- 박성묵, 김회근, 유대원 “ 백라이트 광원의 신기술 개발 동향”
- 금호전기(주) 기술 연구소
- 주식회사 이라이콤
  • 가격3,000
  • 페이지수31페이지
  • 등록일2010.01.16
  • 저작시기2009.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7500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