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한 정치교육의 논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강한 정치교육의 논리

Ⅰ. 참여와 소통

Ⅱ. 구성주의 학습이론

Ⅲ. 사회구성주의 정치학습

* 참고문헌

본문내용

)
는 선험적으로 인정된 보편적 타당성을 지닌 지식이란 존재하지 않
으며(Burr, 1995: 3과),개인이 주로 사회문화적 배경을 지닌 기호 체
계로서의 언어에 의해서 중재된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하여 맥락적
의미를 지닌 지식을 구성한다는 논리를 편다. 이에 따르면, 사회과 수
업은 교사, 학습자, 교재, 수업 환경 사이의 의사소통 기회를 극대화
하여(Susan, 1996: 64) 개별적 적합성과 사회적 적합성을 동시에 달
성하게 해주어 의미 있는 지식을 구성하는 학습 활동이 된다. 이러한
사회과 교육방법으로서의 사회구성주의 패러다임은 다양한 사회문
화적 배경을 지닌 소비자로서의 수요자와 경영자, 그리고 상품을 생
산하는 사원들 사이의 대화 기회를 확대하여 다품종 소량생산주의를
지향해야 한다는 식의 정보사회의 주요 생활 담론과 일치하는 것이
다. 즉, 훨씬 더 분산적이고 다양하며, 복잡해진 사회 현상을 깊이 있
게 이해할 수 있는 구성적 접근법(Brooks & Brooks, 16)의 논리를 사
회구성주의가 제공하는 것이다.
사회구성주의에 따르면 학습자의 인지적 발달은 환경 내부에서
개인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기인한데(Dixon-Kiauss, 1996: 9). 그런데
학습이 이루어지는 사회적 상호작용의 핵심은 다양한 의사소통의 가
능 여부에 달려 있다. 즉, 학습자와 교사, 학습자와 동료 학습자, 학습
자와 교재, 학습자와 미디어 사이에 나타나는 의사소통이 가능해야 학
습의 기원을 형성하는 사회적 상호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사회구성주의의 이론적 성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Burr, 1995: 1-5
참조)
사회구성주의는 비판심리학, 담론 분석, 해체, 후기구조주의 등
의 다양한 흐름의 공통점을 반영하는 이론적 성격을 지니고 있다. 최
근 사회구성주의는 심리학, 사회학, 정치학, 교육학 등 제 사회과학과
인문과학에 비판적인 대안을 제시하고 있다.
첫째, 당연하게 여겨져 온 세계에 대한 이해 방식을 향하여 비판
적 입장을 가질 것을 주장한다. 사회구성주의는 현상의 본질이 측정
에 의해서 드러날 수 있으며, 존재하는 것은 존재하는 것 그대로 우리
가 인식할 수 있다는 실증주의 혹은 경험주의의 가정에 반대한다. 사
회구성주의는 어떻게 세계가 우리들에게 나타나는가에 대한 가정에
의심을가질 것을 권유한다.
둘째, 일상적으로 우리가 세상에 대해 이해하는 방식으로서 사
용되는 범주나 개념은 역사적으로 문화적으로 한정적이다. 현상에
대한 이해 방식은 특정한 문화와 역사상의 시기에 한정되어 있을 뿐
만 아니라 역사와 문화의 산물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어떤 문화에 기
초한 특정 지식의 형성은 인위적인 것이며, 따라서 현재의 이해 방식
이 어떤 다른 이해 방식보다 더 좋다는 투의 가정은 하지 말아야 한다.
셋째, 지식이 구성되는 것은 사회생활 과정에서 나타나는 사람
들 사이의 일상적인 상호작용을 통해서이다. 그러므로 모든 종류의
사회적 상호작용, 특히 언어는 사회구성주의자들에게는 상당한 관심
을 불러일으킨다. 진리란 현재의 우리들의 세상에 대한 이해방식으
로 여겨지는 것이다. 즉 진리로서 간주되는 것은 세계에 대한 객관적
관찰의 산물이 아니라 사람들 사이의 계속적인 상호작용과 사회 과
정의 산물이라는 것이다.
넷째, 이들 타협된 이해 방식은 아주 다양한 형식을 취하고 있다.
세상에 대한 사회적 구성은 수많은 가능성을 지니게 되는 것이다. 각
각의 다른 구성들은 각각의 다른 인간의 사회적 행동을 유발한다. 예
를 들어 술 취한 행동은 관용될 수도 있으나 범죄나 마약중독의 일종
으로 처리될 수도 있다. 결국 세상에 대한 구성이나 서술은 일정한 사
회적 행동 유형을 지니는 것이다.
이러한 사회구성주의 이론을 사회과의 강한 정치학습의 논리로
전환시켜 요약하면, 정치체계에 대한 비판적 이해방식과 정치지식의
문화적 한정성, 정치과정의 상호작용적 구성, 다양한 민주정치의 형
식으로 볼 수 있다. 먼저, 강한 정치학습은 정치체계를 주어진 그대로
이해하려 하지 않는다. 정치체계의 작동 양태에 대해 항상 관심을 기
울이며 여론 투입과 정책 산출, 체계내부의 결정 과정 등에 대해 비판
적 시각으로 관찰하며 분석하여 더 좋은 공공선을 실현하려고 노력
한다. 이것은 정치체계의 완벽성을 부인하면서 끊임없이 더 좋은 질
서를 모색하는 민주정치의 이상과 일치한다. 강한 정치학습의 목표
는 구성원들의 이해와 합치하는 정치체계 만들기에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강한 정치학습에서 다루는 내용 지식은 불변적인 것
이 아니다. 최초의 정치학 교육은 정부기구론을 의미했다. 제도와 법
규 중심의 지식이 정치교육의 내용이었던 것이다. 그러나 민주정치
가 심화되면서 제도를 움직이는 개인[정치엘리트]과 단체[정당, 노
존 시민단해에 강조점을 두게 되었고, 최근에는 정치가 운영되는 시
스템이 구성원에게 보장하는 거버넌스(governance)와 권력의 정당성
과 효율성 등이 중요한 정치지식으로 부상하였다. 강한 정치학습의
내용은 민주주의 정치문화의 발전 과정과 함께 변화되어 온 것이다.
또한, 강한 정치학습은 정치과정의 다양성과 그로 인한 정치형
식의 다차원성을 인정한다. 따라서 정치학습은 정치 참여자들의 이
념과 행동을 교육의 장에서 다루게 되며, 입법, 사법, 행정 등 권력분
립이 중앙과 지방, 마을에서 실행되는 형식의 복합성을 정치수업에
가져오게 되고, 온프프라인의 정치과정에도 관심을 가지게 된다. 이
것은 정치학습 방법의 다양성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제는 교실, 교과
서 중심의 전통적 정치학습만으로는 민주주의에 적합한 시민을 양성
하기 어렵다. 실천 가능한 시민성을 함양할 수 있는 실제적 정치학습
방법들이 사회과 정치교육에 적용되어야 한다.
* 참고문헌
- 이동신, 박기순(1996). 정치커뮤니케이션원론. 서울: 법문사
- 최정호 외(1995). 정보화사회와 우리. 서울. 소화
- 이수윤(1995). 정치철학. 서울: 법문사
- 김병렬 외(1985). 사회과교육. 서울: 한국방송통신대
- 김대환 외(1997). 참여민주주의와 한국사회. 서울: 창작과 비평사
- 전득주 외(1992). 현대민주시민교육론. 서울: 평민사

키워드

영향,   요인,   정의,   개념,   문제점,   배경,   방안,   현황

추천자료

  • 가격3,5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1.06.22
  • 저작시기2011.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8564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