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회간호학 작업성질환관리 A+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지역사회간호학 작업성질환관리 A+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 1


Ⅱ. 본론 ------------------------------------ 1



Ⅲ. 결론 ----------------------------------- 27




Ⅳ. 참고문헌 ------------------------------ 27

본문내용

, 5~49인(25명), 300~999인(22명)
감소
100~299인(-18명), 1,000인 이상(-12명)
② 규모
③ 질병유형
증가
진폐(30명), 특정화학물질 중독(7명), 유기용제 중독(3명)
감소
뇌심질환(-30명)
- 진폐 47.7%(409명), 뇌심질환 37.1%(318명), 직업성 암 5.7%(49명) 순으로 많이 발생
[질병자]
[질병사망자]
※ 기타는 직업성 암, 세균·바이러스, 정신질환 등임
【주요 특징】
- 질병자는 요통, 뇌심질환, 금속중금속 중독은 전년동기 대비 감소하였으나, 진폐, 난청, 유기용제 중독, 특정화학물질 중독, 신체부담작업은 증가
- 질병사망자는 뇌심질환은 전년동기 대비 감소하였으나, 진폐, 유기용제 중독, 특정화학물질 중독은 증가
<작업관련성 질환 실태 - 2014.12월 말>
<직업성 질환관리 사례>
1) 개요
근로자는 1996년 ~ 2009년 9월까지 약 15년간 공사현장에서 소음이 심한 할석 작업을 하였음. 2010년 양측 감각신경성 난청으로 진단받음
2) 작업환경
- 근로자는 초등학교 졸업 후 1990년까지 농사, 구멍가게 이삿짐 센터를 운영하였고, 그 후 목수로서 거푸집 작업을 4년간 함
- 이 후 1996년부터 2009년까지 할석공으로 근무함
- 과거 역학조사와 문헌리뷰를 통하여 할석 작업과정에서의 소음 노출 수준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음(핸드 브레이커 사용 시 최고 소음은 117.5 dB).
3) 의학적 소견
- 근로자는 4~5년 전부터(약 60세) 잘 안들리기 시작하였고 TV 볼륨을 높이는 현상이 나타나게 되었다고 함
- 그 후 이명이 발생하는 등 증상이 심해져서 2010년 5월 병원을 방문하여 양측의 ‘감각신경성 난청’을 진단받음
- 술은 일주일에 1~2회 정도 소주 1병씩 약 30년간 마셨고, 담배는 20대 초반부터 20년간 하루 한 개비 정도 폈고 1988년도에 금연하였음
- 2010년 병원에서 진폐증 의심된다는 이야기 들었고, 그 외 고혈압, 당뇨 등 특이 질병력은 없었음
4) 고찰 및 결론
근로자는 약 15년간 할석공으로 근무하였고, 할석 작업 시 최대 117.5 dB의 소음에 노출되었으므로 근로자의 감각신경성 난청은 소음이 원인일 것으로 판단하였음
1. 건설 할석 할석 : 공사 현장에서 콘크리트 작업 후 벽체, 바닥, 천정, 내장재 등 변형된 곳을 깨고 갈아내는 작업
공에서 발생한 소음성 난청 ( 남/67세, 할석공, 직업관련성 높음)
2. 물류생산팀 소속 근로자의 요추간판탈출증1) 개요
근로자는 제약업체에 2004년 3월에 입사하여 현재까지 물류팀과 생산부에서 작업을 하는 근로자로 2009년 4월 25일 ‘요추 제4-5번 중심성 추간판탈출증’으로 진단받음
2) 작업분석
- 근로자는 2004년 3월 29일 입사하여 2007년 8월까지 물류팀에서 근무하였고, 이후부터 2009년 4월까지 생산부 고형제(제품 형태가 고체상태인 농약) 파트에 근무함
- 물류팀에서 중량물 취급작업인 상하적재작업은 LI(Lift Index)가 1.33-2.03, 핸드카 운반작업에서 특히 경사로 당기기 작업은 2.64로 높은 위험도를 보이며, REBA(Rapid Entire Body Assessment, 작업자세 평가) 분석 결과에서도 허리부위의 부자연스러운 자세가 매우 높은 위험도를 보임
- 생산부 고형제 파트에서 수행한 작업에서 혼합 및 과립작업의 LI가 부원료 들기 4.54, 들통 들기 3.34로 즉시 개선을 요하는 작업으로, REBA 분석 결과에서도 부원료들기/투입동작의 위험수준이 매우 높은 위험도를 보임
3) 의학적 소견
- 고혈압, 당뇨, 결핵 등 만성질병력은 없었으며, 입원/수술력과 사고력 또한 없었음
- 2009년 4월부터 11월까지 요통으로 한의원과 정형외과에서 물리치료를 받아옴
- 2009년 4월 25일 모병원에서 MRT 판독결과 ‘요추 제4-5번 중심성 추간판탈출증’으로 진단받음
4) 고찰
허리 부위의 근골격계 질환은 들어올리기/중량물의 취급뿐만 아니라 전신진동 작업과 부적절한 작업자세 등도 관련성이 매우 큼
5) 결론
근로자는
- 요추 제4-5간 추간판탈출증으로 진단되었고,
- 물류팀 및 생산부 고형제 파트에서의 상당수 작업이 부자연스런 자세 및 중량물취급비율이 높고 REBA 분석결과 이들 작업의 허리위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 신경근 압박소견이 없는 퇴행성 팽윤소견이라도 현재 작업의 제한을 받으며, 치료(물리치료 등)를 요하고,
- 퇴행성 변화는 이 근로자의 나이와 작업으로 보아 자연경과에 의한 것으로 보기 힘들어 업무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됨
( 남/30세, 운반공, 직업관련성 있음)
Ⅲ. 결론
우리는 이번 레포트를 통해 다양한 작업 관련성 질환을 조사하였고 그에 대한 관리 또한 알아보았다. 이를 통해 작업성 질환의 원인, 분류와 종류, 특징 등에 대하여 알 수 있었고 유기용제, 물리적 인자, 주요 중금속, 분진, 직업성 암, 근골격계 질환으로 분류를 하여 질환에 대해 더 자세히 공부해 볼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느낀 것은 작업성 질환에는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그만큼 산업장 직원들이 이런 많은 위험요인에 항상 노출되어 있을 수 있고 이렇게 다양한 질환에 걸릴 위험이 있다는 것이었다. 그러므로 기업에서는 산업장 직원들의 작업성 질환 발생위험을 줄일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하며 산업장 간호사 또한 소임을 다해 직원들의 건강증진에 힘을 써야 한다고 생각을 하였다.
Ⅳ. 참고문헌
- 조순자 외(2012), 지역사회간호학 분야별(제6판), 서울 : 현문사, pp. 1153~1172
- 김정남 외(2013), 지역사회간호학, 경기 : 수문사, pp. 167~199
- 한국간호과학회 지역사회간호학회(2013), 지역사회간호학 간호사 국가시험 대비 문제집(8판), 서울 : 대한간호협회, pp. 273~278
- 안전보건공단, 근골격계 질환이란?, http://www.kosha.or.kr/content.do?menuId=1479
- 안전보건공단, 산업재해통계-국내재해사례, http://www.kosha.or.kr/board.do?menuId=541
- 고용노동부, 2014. 12월말 산업재해 발생현황

추천자료

  • 가격1,500
  • 페이지수28페이지
  • 등록일2016.10.18
  • 저작시기2016.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1187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