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말의병운동과 의병전쟁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말의병운동과 의병전쟁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의병운동이 시작되다, 갑오․을미 의병
이어지는 민중들의 저항
다시 불붙은 의병항쟁, 을사의병
전국적으로 확대된 의병전쟁, 정미의병
일제의 대대적인 탄압, 남한대토벌작전
한말 의병활동의 의의와 한계
-참고문헌

본문내용

따라서 유교적인 신분의식이나 명분론적인 관념에서도 서서히 벗어나고 있었다.
일제의 대대적인 탄압, 남한대토벌작전
일본군은 의병전쟁이 장기전으로 돌입하자 한국병탄의 큰 장애물로 여겨진 의병을 종식시킬 목적으로 1909년 남한폭도대토벌작전을 벌여 호남의병 대학살을 자행하였다. 이로 인해 의병장 심남일을 비롯하여 1,000여명이 전사하는 대타격을 입게 되었다. 이와 관련해 의병의 피해상황을 살펴보면 일제의 통계만으로도 1907년 3,627명, 1908년 1만 1,562명, 1909년 2,374명, 1910년 125명 등으로, 1907년부터 1910년까지 총 1만 8,000여명에 달하는 의병 희생되었다.
호남의병이 크게 탄압을 당한 이후 장기항전을 대비한 의병기지의 건설을 추진했다. ‘북계책(北計策)’을 추진하여 간도나 연해주에 항전의 근거지를 확보하고자 했으며, 지리산을 근거지로 삼아 의병들은 주로 강원·항해·함경도의 산악지대를 중심으로 전투를 수행하다가 만주와 연해주로 망명하여 독립군으로 전환하였다.
한말 의병활동의 의의와 한계
◎ 의의
- 구국 운동의 대표적 형태, 외세에 대한 가장 적극적인 민족의 저항
- 집권층의 부패와 무능과는 대비되어 국권 회복을 위한 자발적 무장 투쟁을 주도,
일제 식민지체제 하에서의 항일무장독립투쟁의 기반을 마련.
- 민족 운동사의 큰 줄기를 이룰 뿐만 아니라, 세계 약소민족의 독립운동사에서도 큰 역사 적 의미를 가지게 됨
◎ 한계
- 일본 정규군을 제압하기에는 무력적으로 열세.
(제대로 무장되지 못한 민병조직과 신식무기로 무장한 일본 정규군과의 싸움)
- 마지막 단계까지 봉건적 지배질서를 고집한 양반 유생층의 지도노선을 완전히 청산하지 못했고, 농민적·대중적 기반 위에서 새로운 지도노선을 확립하지 못함. (결속력 약화)
【참고문헌】
강만길 외, 한국사 12 - 근대민족의 형성(2), 한길사, 1994.
강만길, 고쳐 쓴 한국 근대사, 창비, 2006.
한국근현대사학회, 한국독립운동사강의, 한울아카데미, 2007.
한국근현대사학회, 한국근대사강의, 한울아카데미, 2007.
한국사연구회, 새로운 한국사 길잡이_下, 지식산업사, 2008.
송호정 외, 아틀라스 한국사, 사계절출판사, 2004.
김한종 외, 고등학교 한국근현대사, 금성출판사, 2005.
김유철 외, 고등학교 역사부도, 천재교육, 2004.
전국역사교사모임, 심마니 한국사Ⅱ-개항에서 현대까지, 역사넷, 2000.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8.04.02
  • 저작시기2018.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5173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