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과정곡 》작품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 정과정곡 》작품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니라면 자신에게서 ‘님’이라 하면 그 첫째가 왕이 될 정도는 아니었을 것이다. 민중들은 이 노래를 평범한 사랑노래로 해석했을 것이다. 사랑을 주제로 한 노래는 예나 지금이나 많은 사람들에게서 인기를 얻는다. 특히 이 노래의 분위기는 슬프고 애절하다. 또한 다른 고려속요 작품들과 마찬가지로 표현이 솔직하고 직접적이다. 사랑과 이별을 경험해본 사람이라면 더욱 내용에 공감을 하고 감동을 느꼈을 것이다. 어려운 한자어를 사용하거나 중국의 고사를 인용하지도 않았다. 이는 민중들이 내용을 느끼고 또 부르기에 쉬웠고, 민중들 사이에서 빨리 퍼져나갔을 것이다. 당시에 이 노래는 듣고 부르던 사람들의 마음을 잔잔하게 울리며 때로는 누군가에게 위로를 주며, 누군가에게는 답답한 마음을 시원스레 터놓을 계기를 만들어 주며 건조한 일상생활에 한 방울의 이슬 같은 윤택함을 불어넣는 노래로서의 역할을 했을 것이다. 일반 민중들에게서 불리웠을 <정과정곡>은 위와 같았을 것 같다. 민중들은 노래의 이면의 의미를 찾으려하기 보다는 소박하게 있는 그대로, 들리는 그대로의 의미로서 받아들인 것이다. 이 말은 민중계층들에 대해 비하하려는 의미가 아니다.
문학작품은 같은 내용이라 하더라도 그것을 수용하는 사람에 따라 다양하게 해석되고 많은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정과정곡>도 어떤 상황에서 누가 불렀느냐에 따라서 위와 같이 해석될 수 있었으리라고 생각해본 것이다.
참고자료
1) 강명혜, 『고려속요 사설시조의 새로운 이해』, 북스힐, 2002.
2) 조윤제, 『한국문학사』, 탐구당, 1979.
3)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1』, 지식산업사, 1990.
4) 김석득, 『한국문학사』, 신아사, 1975.
5) 정병욱, 『한국고전시가론』, 신구문화사, 1982.
6) 장덕순, 『한국문학사』, 동화출판사, 1980.
7) 양주동, 『여요전주』, 을유문화사, 1971.
8) 김형규, 『고가주석』, 백영사, 1955.
9) 김동욱, 「고려기 문학의 개관과 그 문제점」,『고려시대의 언어와 문학』, 형설출판사, 1975.
10) 서재극, 「정과정곡의 신석 시도」,『어문학』6호, 문호사, 1960.
11) 강길운, 「정과정곡의 노래신석」,『현대문학』통권68, 현대문화사, 1960.
12) 권영철, 「정과정가 신연구」,『효성여대논문집』2집, 효성여자대학교, 1968.
13) 김상억, 「고려가사 연구」,『청대논문집』6집, 청주대학교, 1971.
  • 가격1,2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8.11.24
  • 저작시기2018.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7125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