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동주의이론] 파블로프(Pavlov)의 고전적 조건형성이론, 스키너(Skinner)의 조작적 조건형성이론, 반두라(Bandura)의 사회학습이론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행동주의이론] 파블로프(Pavlov)의 고전적 조건형성이론, 스키너(Skinner)의 조작적 조건형성이론, 반두라(Bandura)의 사회학습이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행동주의이론

I. 파블로프의 고전적 조건형성이론
1. 파블로프의 생애
2. 주요개념
1) 고전적 조건반사와 고전적 조건형성
2) 강화와 소멸
3) 일반화와 변별화

II. 스키너의 조작적 조건형성이론
1. 스키너의 생애
2. 주요개념
1) 반응적 행동과 조작적 행동
2) 강화와 강화인
3) 소멸과 처벌

III. 반두라의 사회학습이론
1. 반두라의 생애
2. 주요개념
1) 모방
2) 관찰학습
3) 상호결정론
4) 자기효능감

* 참고문헌

본문내용

환경 간의 상호작용에 중요성을 두고 사람들이 자기 지시적 행동 변화를 할 수 있다는 것을 기본 가정으로 한다.
(2) 주요 개념
1. 모방
반두라가 사회학습에 있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한 과정은 모방(imitation)이다. 인간의 반응은 직접적 강화를 받지 않더라도 타인의 행동을 관찰함으로써 변화할 수 있다는 것이다. 즉, 이는 학습을 위해서는 실질적인 행동을 반드시 수행하지 않아도 되며, 반응을 위해서 즉각적 보상이 꼭 필요하지는 않다는 의미다. 오히려 사람은 모델을 관찰함으로써 특별한 반응을 학습하여 일단 반응이 획득된 후에는 사회적 힘(social forces)이 학습과정에 영향을 주기 시작한다고 반두라는 주장한다. 이를 모방 또는 모델링(modeling)이라고 한다.
이러한 모방 또는 모델링의 개념은 반두라의 실험인 '보보 인형 연구(bobo doll experiment)'에서 설명된다. 반두라는 4세 된 아동들에게 각각 한 남자 모델이 보보 인형을 향해 공격적 행동을 하고 있는 영화를 보여 주었다. 각 아동은 세 가지 다른 결말의 영화를 보게 되었는데, 첫 번께는 폭력 행사 후 모델이 칭찬을 받는 것, 두 번째는 모델이 별을 받는 것, 세 번째는 모델이 상이나 별 중 아무것도 받지 않는 것이었다. 영화 상영 후각 아동은 즉시 인형이 있는 방으로 안내되어 모델이 했던 공격적 행동을 얼마나 모방하는지 관찰되었다.
그 결과 모델이 칭찬받는 것을 본 아이들은 모방적인 공격적 행동을 나타내었고, 처벌받는 것을 본 아이들의 공격성은 가장 약하게 나타났으며, 중립 모델에 노출된 아이들의 공격성은 중간 정도였다. 즉, 칭찬받는 모델을 더욱 모방하고 상대적으로 처벌받는 모델은 별 모방한다는 것이다.
반두라(1963)는 이후의 실험연구에서 아동이 세상에 널리 알려져 있거나 사회적으로 명망 있는 이의 행동을 더 잘 모방하며, 또래집단이나 동성집단의 경우 모방의 정도가 강해진다고 추가적으로 밝혔다.
2. 관찰학습
반두라는 타인의 행동을 관찰함으로써 발생하는 관찰학습(observational learning)을 사회학습이론의 기본으로 보았다. 관찰학습에는 주의(attention), 기억(memory), 운동재생(motoric reproduction), 동기유발(motivation)의 네 가지 과정이 있는데, 이 중에서 하나라도 빠지면 성공적 모방이 이루어질 수 없다.
먼저 주의단계에서 사람은 모델을 관찰하는 것만으로는 불충분하며, 관련된 자극에 주의를 기울여 집중하면서 관찰된 행동을 배우고 중요하지 않은 것을 걸러내야 한다.
둘째, 기억단계에서는 한 사건을 내면화하고 나중에 그 순서를 회상, 재생하며 이용한다. 반두라는 상징적 대상물을 저장하고 회상하는 능력에 있어 언어발달이 중요하며, 기억의 연속성이 중요한 요소라고 지적했다. 이 단계는 유지(retention)과정이라고도 할 수 있다.
셋째, 운동재생 단계에서는 전 단계의 기억을 행동으로 전환한다. 여기에서는 행동의 신체적 수행능력, 운동동작의 실천을 위한 반복과 교정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동기유발 단계는 직접강화 또는 대리강화의 형태를 취한다. 직접 강화는 전통적 자극-반응 모형이나 관찰학습에서 제시하는 강화와 같은 형태다. 반면 대리강화는 사회학습이론적 접근에서만 나타난다. 예컨대, 자신의 행동에 대해서 직접적인 강화를 받지 않더라도 또 다른 잠재적 학습자가 보상이나 처벌을 받는 것을 관찰함으로써 간접적으로 강화를 받는 것을 대리강화라 할 수 있다.
3. 상호결정론
상호결정론(reciprocal determinism)이란 인간의 성격이 개인적 행동적 환경적 요소 간의 지속적인 상호작용에 의하여 발달한다는 주장이다.
환경이 아동의 성격과 행동을 조성한다는 스키너의 연구와 달리, 반두라는 개인, 행동, 환경 간 관계가 양방향적이라고 주장한다. 상호결정의 과정은 아래의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환경(environmental factors: E)은 사람이 행동하는 상황을 제공하고, 사람(personal factors: P)은 인지와 지각을 통하여 그 상황을 분석하고 어떤 행동을 선택할 것인지 결정하며, 행동(behavior: B)은 사람의 상황 분석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고 그 환경을 수정한다.
즉, 아동이 경험하는 환경은 아동에게 영향을 미치고, 아동의 행동 또한 환경에 영향을 미친다. 이것이 시사하는 점은 아동은 자신의 성장과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조성에 적극적으로 참여한다는 것이다.
<그림> 반두라의 상호결정모형
4. 자기효능감
자기효능감(self-efficacy)이란 자신이 바라는 목적을 이루기 위해 특정 행동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신념이다. 반두라는 개인이 주관적으로 개인적 효능감에 대하여 어떤 개념을 갖고 있느냐가 중요하다고 보았는데, 이 개념을 '인식된 자기효능감'이라고 하였다. 자기효능감은 어떤 행동을 모방할지 결정하는 데 도움이 되며, 자신의 능력 범위 내에 있는 활동은 시도하고 능력 범위를 벗어나는 과제나 활동은 회피하도록 한다. 자기효능감은 단일한 개념이 아니라 다양하게 사용되며 개개인마다 상이할 수 있다. 예컨대, 어떤 사람은 운동에서는 고도의 자기효능감이 있어도 사회적 관계에서는 낮은 효능감을 지닐 수 있다.
* 참고문헌
인간발달 / 박성연, 백지숙 저 / 파워북 / 2011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인간행동과 심리학 - 김청송/오세진 외3명 저, 학지사, 2015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현대사회와 가정 / 허혜경, 박인숙 외 1명 저 / 동문사 / 2017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성장발달과 건강 : 김태임, 김희순 외 3명 저 / 2014 / 교문사
아들러 인생방법 심리학/알프레드 아들러 저, 한성자 역/동서문화사/2017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 가격3,5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9.01.16
  • 저작시기2019.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7791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