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의 어휘와 의미 - 공시적 어휘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국어의 어휘와 의미 - 공시적 어휘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공시적 관계
1.1. 의미와 의미 관계
1.2. 의미 관계 성립의 요인

2. 어휘소간의 의미 관계
2.1. 유의 관계
2.1.1. 유의 관계 개념
2.1.2. 유의 충돌
2.1.3. 유의 관계 유형
2.2. 반의 관계
2.2.1. 반의 관계 개념
2.2.2. 반의 관계 유형
2.3. 다의 관계
2.4. 상․하의관계, 부분-전체 관계

3. 어휘소의 대응 관계
3.1. 어휘소의 대응
3.2. 1: 다 대응 현상의 발생 원인

4. 의미장
4.1. 어휘 연구와 의미장 이론
4.2. 여러 가지 의미장 연구

본문내용

단어의 의미를 포함하고 있는 단어를 ‘상의어’, 다른 단어에 포함되는 의미를 표시하는 단어를 ‘하의어’라 한다.
< 그림4. 하 의 관 계 >
위의 그림에서 하의 관계(hyponymy)를 나타내자면 ‘생물’이 상위어 이며, ‘생물’을 기준으로 하여 ‘동물’과 ‘식물’이 하위어로 생물> 식물> 꽃> 장미> 흰 장미>…… 이런 기준을 제시한다. 이처럼 하위어는 한 쪽이 다른 쪽의 상위, 또는 하위에 있기 때문에 그 계층 관계에 따라 하의 관계가 성립한다.
상하의어의 의미적 영역이 매우 중시된다. 상위어는 하위어보다 일반적이고 총칭적인 의미를 가진 유이고, 하위어는 상위어보다 특수하고 개체적인 의미를 가진 유가 된다. 이는 상위어로 올라갈수록 그 일반성에 의해 의미 영역(semantic field)이 넓어지고, 하위어로 내려올수록 특수성 때문에 영역이 좁아진다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상위어로 존재할 수 있는 어휘의 수는 적으며, 하위어가 될 수 있는 어휘 수는 무수하게 많아진다. 하위어가 상위어보다 더 특수하고 개체적인 의미를 가졌다고 하는 것은 결국 하위어가 상위어보다 더 많은 의미 정보와 성분 요소를 가지고 있다는 설명이 된다.
부분- 전체 관계(part-whole-relation)는 단추: 소매: 옷, 손톱: 손가락: 손: 팔: 몸, 도림리: 청계면: 무안군: 전남: 대한민국: 아시아 의 관계를 나타낸다.
< 그림5. 부분 - 전체 관계 >
3. 어휘소의 대응 관계
3.1. 어휘소의 대응
어휘소의 대응(lexical correspondence)이라는 술어는 원래 하나의 개별 언어와 다른 하나의 개별 언어에 관한 대조 연구의 분야에서 사용되던 술어이다. 어떤 언어와 다른 어떤 언어의 어휘 체계를 대조하여 나가다 보면 한 언어의 단어 하나가 점유하고 있는 의미 영역(semantic range)이 다른 한 단어에서도 한 개의 단어에 의하여 동일하게 점유되어 있는 1:1 대응(one-to-one correspondence)이 나타나는가 하면, 한 언어에서는 한 개의 단어에 의해서 점유되어 있는 의미 영역이 다른 언어에서는 두 개 이상의 단어에 의하여 점유되는 1: 다 대응(one-to-many correspondence)이 나타나는 경우도 있고, 그 반대로 다:1 대응(many-to-one correspondence)이 나타나는 경우가 있기도 하다. 국어와 영어의 어휘소들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대응 관계를 예로 보면 다음과 같다.
(14) 1: 1 대응 (one-to-one correspondence)
동(東): east 봄: spring
서(西): west 여름: summer
남(南): south 가을: autumn
북(北): north 겨울: winter
(15) 1: 다 대응(one-to-many correspondence)
(16) 다:1 대응(many-to-one correspondence)
3.2. 1: 다 대응 현상의 발생 원인
국어의 1: 다 대응 현상은 동일 언어 내부에서 일어나는 1: 다 대응 현상은 또한 우리 국어에서 매우 광범위하며 현저하게 목격된다. 국어에서의 1:다 대응 현상은 주로 고유어 하나를 축으로 하고 거기에 둘 이상의 한자어들이 대응하는 양상으로 펼쳐진다. 이와 반대의 경우, 즉 한자어 하나에 여러 개의 고유어가 대응하는 경우도 없는 것은 아니나 그 분포가 매우 제한되어 있다. 반면에 고유어 대 한자어가 일대다로 대응하는 현상은 매우 보편적이다.
고유어와 한자어들이 1:다로 대응하는 현상이 발생하는 원인은 네 가지이다.
첫째, 국어의 어휘부가 기원과 기능을 달리 하는 고유어와 한자어에 의해서 이중체계를 형성하고 있다는 사실에 기인한다.
둘째, 고유어와 한자어들 하나하나가 개별적으로 다의 관계를 형성할 수 있다는 데 있다.
셋째, 국어에서 이중 체계를 형성하고 있는 고유어와 한자어의 기능이 각각 역사적으로 구별되어 왔었다는 사실에 있다.
넷째, 고유어와 한자어에 부하되어 있는 의미 영역상의 차이로 말미암아 상호 보완의 필요성이 컸던데 그 이유가 있다.
이처럼 고유어가 가지는 의미의 다의성과 그에 수반되는 모호성은 한자어가 가지는 의미의 엄밀성, 제약성 등과 더불어 동등한 가치를 가지는 것으로 이들 각각에는 그에 상응하는 용도가 주어져 있었던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4. 의미장
4.1. 어휘 연구와 의미장 이론
어휘론에서 어휘소들이 공시적으로 연관을 맺고 있는 양상을 바라보는 또 하나의 시각은 그것을 어휘장이라는 각도에서 살피는 일이다. 어휘장이론이란 흔히 장이론(field theory)이라고도 알려져 있는 것으로서, 어휘소들은 어떤 식으로든지 각각 개념적으로 또는 연상 관계에 의해서 다른 어휘소들과 더불어 어떤 장(또는 ‘밭’, field)이라고 부를 수 있는 하나의 구조를 이루고 있다는 개념을 가지고 어휘 구조를 관찰하는 이론을 말한다. 이러한 관점의 연구는 역시 어휘소간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 연구의 범주에 들어가며 따라서 이는 어휘론의 중요한 하위 연구 분야가 된다.
4.2. 여러 가지 의미장 연구
어휘장 연구는 크게 나누어 단어들의 세로 관계(paradigmatic re-lation)에 의거한 어휘장 연구과 가로 관계(syntagmatic relation)에 의거한 어휘장 연구의 두 가지로 대별할 수가 있다.
그 중에서 Saussure의 어휘장 연구를 살펴보자. Saussure의 어휘장은 언어의 두 구조, 즉 세로 관계와 가로 관계를 모두 고려한 어휘장을 제기하였다. 나아가 어휘소의 의미나 형식가지도 그것이 유사하다면 하나의 장을 이룰 수 있다고 보았다. 이는 의미뿐만 아니라 형식도 장이론에서 다룰 수 있음을 보여준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견해는 구조주의에서 형식을 중시했던 사실과도 통하며 또한 형식이 의미를 반영한다는 기능주의와도 관련된다.
< 그림 6 - 국어 어휘소 ‘믿음’의 의미장>
5. 참 고 문 헌
김광해, 1995, 국어 어휘론 개설, 집문당.
이광호, 2004, 국어 어휘 의미론, 월인.
이동석, 2005, 국어 음운 현상의 공시성과 통시성, 한국문화사.
홍사만, 2008, 국어 의미 분석론, 한국문화사.
  • 가격1,4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9.03.30
  • 저작시기201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9469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