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성인중기 신체변화
I. 외모
II. 감각기능
III. 신체 내부기관의 기능
IV. 갱년기
1. 여성의 갱년기
2. 남성의 갱년기
* 참고문헌
I. 외모
II. 감각기능
III. 신체 내부기관의 기능
IV. 갱년기
1. 여성의 갱년기
2. 남성의 갱년기
* 참고문헌
본문내용
년기
남성의 생식체계 및 그 밖의 신체체계와 관련된 생리 정서 심리적인 변화가 나타나는 남성의 갱년기는 일반적으로 여성의 갱년기보다 10년 정도 늦게 시작된다.
남성은 40대 중반~50대 초반이 되면 젊었을 때에 비해 상대적으로 남성호르몬 결핍상태에 놓이게 되는데, 이에 따라 여성에 비해서는 경미하지만 갱년기 증상이 나타난다. 남성의 경우는 30대부터 혈청 남성호르몬 수치가 해마다 1씩 지속적으로 서서히 감소하므로 개인차는 있으나 40대 중반 이후부터는 젊었을 때에 비해 상대적으로 남성호르몬 결핍 상태가 되는데, 이를 남성 갱년기(mate climacteric)라고 한다.
전신증상으로 피로감, 무감정, 소화장애, 식욕부진, 발한, 구갈 등을 비롯하여 순환기 장애로 현기증, 안면홍조, 열감증, 심계항진, 관절통, 혈압상승 등이 나타나며, 신경증상으로는 신경과민, 기억력 감퇴, 우울증, 정신집중력 상실, 불면증, 강박관념, 두통, 하복통, 요통, 이명 등이 나타난다. 또한 갱년기 남성들은 성기능과 배뇨기능의 약화로 우울증에 빠지기도 하며, 이러한 것들이 갱년기 증상을 더욱 악화시킬 수도 있다. 남자에게는 여성의 폐경기와 비교될 만한 정서적인 변화를 일으키는 갑작스런 생물학적인 사건은 없다. 그러나 남자도 여성이 폐경기에 느끼는 감정과 유사한 감정들(예: 우울, 불안, 짜증, 피로, 자신에 대한 연민 및 인생에 대한 전반적인 불행감 등)을 다소 겪는다.
이에 대해 Chiriboga(1997)는 중년기 남녀가 가장 스트레스를 많이 느끼고 있는 영역이 '건강'이라고 하면서, 중년 남성의 경우 일반적으로 여성보다 건강에 대한 염려가 더 많다고 하였다.
또한 남성의 갱년기 증상은 호르몬 변화보다는 감소하는 신체적 에너지와 함께 가정이나 직장의 스트레스 등에 기인한 심리적 적응문제와 더 큰 관련이 있다.
* 참고문헌
교육심리학 : 학습심리학 / 이웅 저 / 한국교육기획 / 2009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발달심리학 / 곽금주 저 / 학지사 / 2016
심리학개론 / 이명랑 저 / 더배움 / 2017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상담심리학 / 이수연 저 / 양성원 / 2017
성격심리학 / 권석만 저 / 학지사 / 2017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남성의 생식체계 및 그 밖의 신체체계와 관련된 생리 정서 심리적인 변화가 나타나는 남성의 갱년기는 일반적으로 여성의 갱년기보다 10년 정도 늦게 시작된다.
남성은 40대 중반~50대 초반이 되면 젊었을 때에 비해 상대적으로 남성호르몬 결핍상태에 놓이게 되는데, 이에 따라 여성에 비해서는 경미하지만 갱년기 증상이 나타난다. 남성의 경우는 30대부터 혈청 남성호르몬 수치가 해마다 1씩 지속적으로 서서히 감소하므로 개인차는 있으나 40대 중반 이후부터는 젊었을 때에 비해 상대적으로 남성호르몬 결핍 상태가 되는데, 이를 남성 갱년기(mate climacteric)라고 한다.
전신증상으로 피로감, 무감정, 소화장애, 식욕부진, 발한, 구갈 등을 비롯하여 순환기 장애로 현기증, 안면홍조, 열감증, 심계항진, 관절통, 혈압상승 등이 나타나며, 신경증상으로는 신경과민, 기억력 감퇴, 우울증, 정신집중력 상실, 불면증, 강박관념, 두통, 하복통, 요통, 이명 등이 나타난다. 또한 갱년기 남성들은 성기능과 배뇨기능의 약화로 우울증에 빠지기도 하며, 이러한 것들이 갱년기 증상을 더욱 악화시킬 수도 있다. 남자에게는 여성의 폐경기와 비교될 만한 정서적인 변화를 일으키는 갑작스런 생물학적인 사건은 없다. 그러나 남자도 여성이 폐경기에 느끼는 감정과 유사한 감정들(예: 우울, 불안, 짜증, 피로, 자신에 대한 연민 및 인생에 대한 전반적인 불행감 등)을 다소 겪는다.
이에 대해 Chiriboga(1997)는 중년기 남녀가 가장 스트레스를 많이 느끼고 있는 영역이 '건강'이라고 하면서, 중년 남성의 경우 일반적으로 여성보다 건강에 대한 염려가 더 많다고 하였다.
또한 남성의 갱년기 증상은 호르몬 변화보다는 감소하는 신체적 에너지와 함께 가정이나 직장의 스트레스 등에 기인한 심리적 적응문제와 더 큰 관련이 있다.
* 참고문헌
교육심리학 : 학습심리학 / 이웅 저 / 한국교육기획 / 2009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발달심리학 / 곽금주 저 / 학지사 / 2016
심리학개론 / 이명랑 저 / 더배움 / 2017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상담심리학 / 이수연 저 / 양성원 / 2017
성격심리학 / 권석만 저 / 학지사 / 2017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