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각장애 지체 및 건강장애의 개념 원인 특성 판별 및 평가방법 교육방안을 논의하시오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청각장애 지체 및 건강장애의 개념 원인 특성 판별 및 평가방법 교육방안을 논의하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A. 청각장애
I. 청각장애아의 개념
II. 청각장애의 원인
III. 청각장애의 유형
IV. 청각장애아의 심리적 특성

B. 정신지체장애
I. 정신지체의 정의
II. 정신지체의 분류
III. 정신지체아의 특성
1. 신체 및 운동발달
2. 언어발달
3. 기억발달
4. 주의집중
5. 동기의 개념
6. 사회성 발달
IV. 정신지체아를 위한 중재
1. 심리치료적 중재
2. 환경촉진
3. 특수교육
4. 행동수정
1) 적응행동의 증가
2) 공포심의 감소

* 참고문헌

본문내용

로 타인의 주의를 집중시키려고 한다.
- 비판을 받을 때 방어적 태도를 취한다.
- 타인들로부터 호감을 받지 못한다는 의식을 가지고 있다.
V. 정신지체아를 위한 중계
정신지체아를 위한 중재에는 의학적 중재와 심리적 중재가 있다. 이 두 방법 중 여기에서는 심리적 중재에 대해서만 살펴보고자 한다.
심리적 중재에는 심리치료적 중재와 행동수정치료 중재가 있다. 이에 대해 간단히 검토해 보자.
1. 심리치료적 중재
정신지체아동들은 부정적인 자아개념 때문에 대인관계에 어려움이 많고 부모와 친구관계가 원만하지 못하다. 이런 문제들은 전통적인 심리치료방법을 통해서 정신지체증상을 다소 경감, 치유해 나갈 수 있다고 한다.
또 놀이치료, 집단치료를 통해서 정신지체의 심리치료가 보고되고 있다. Mowatt(1970), Slivkin & Bernstein(1970)에 의하면, 집단적으로 각 아동의 요구수준에 맞는 심리치료를 제공하였을 때, 사회적 기술과 의사소통 기술이 향상되었고 낮은 불안수준을 보였다고 설명하고 있다. 그리고 고립감과 무력감도 다소 감소되었고, 친구들에 대한 동료의식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고 보고하고 있다.
2. 환경촉진
정신지체아동에게 풍요롭고 적절한 환경자극을 제공하면 발달에 촉진을 가져올 것이라는 가정은 연구에 의해서 검증되었다. 시설 수용아를 가정 양육아로 변용시키고, 또 장기 시설수용을 단기 시설수용으로 변용시키고, 주위 사람들에게 장애아에 대한 인식과 반응방법을 달리하여 지도하였을 때 나타난 발달변화와, 환경을 바꾸었을 때 나타난 지체아동의 발달변화 가능성에 관한 Tizard(1964)의 연구는 유명하다.
Tizard는 시설체에 수용된 중증 지체아동에게 적절한 주의를 기울이고 사회적 자극을 제공하였을 때, 아동은 사회적 정서적으로 성숙하고 지능 및 대인관계 기술이 현저히 증가한다는 가정을 뒷받침하고 있다.
3. 특수교육
종래는 정신지체아동을 특수학교나 특수학급에서 정상아와 분리시켜 가르쳐야 한다는 주장이었다. 그러나 최근의 동향은 정상아동과 함께 생활하고 교육받는 통합교육이 다시 조명되어서 오늘날 중요한 논제가 되고 있다.
Johnson(1962)에 의하면, 학교성취수준은 통합교육을 받은 아동이 더 높았고, 사회적응력은 특수교육을 받은 아동이 더 높았다고 밝히고 있다.
Goodman, Gottlieb & Budoff(1973)의 연구에서도 교육가능급 정신지체아의 자아개념도 통합교육보다 특수교육 반에 있는 경우에 더 긍정적이었다는 연구들을 보여주고 있다.
일반학급에서의 통합교육은 장애아의 독특한 교육적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가장 적절한 교육환경을 조성하고, 분리된 특수교육기관의 역할은 가능한 줄이고 일반학급에서 대부분의 시간을 지낸다. 즉, 장애아동 교육에 있어서 제한적 환경의 극소화(least restrictive environment)를 도모하는 것으로, 모든 장애아동이 정상에 가깝게 교육받고 정상적 생활경험이 마련되어야 한다는 정상화의 원리를 보장해 주면서 가장 적절하고 효과적인 교육경험을 아동을 위해 준비하는 교육이라고 생각한다.
Ganpel(1974)은 통합교육을 받은 아동이 보다 더 적절한 사회적응행동을 보였다는 연구결과를 보고하면서 통합교육의 효과를 시사하고 있다.
4. 행동수정
Horner(1980), Van Biervliet, Spangler와 Marshall(1981)의 연구에서는 정신지체아동은 행동수정치료를 통해서 적응행동이 증가되고 불안감이 감소된다는 치료효과를 보여 주고 있다.
1) 적응행동의 증가
Horner(1980)은 공공시설체에 살고 있는 9세-13세의 중증 정신지체 여아 5명은 심각한 부적응행동을 보였다고 한다. 아동에게 증상에 따라 적절한 장난감과 물건들을 제공하면서 바람직한 적응행동이 나타나면 강화를 제공하도록 교사를 훈련시켰다.
장난감과 강화를 많이 제공받은 아동은 반응양식이 분화되었고 부적응행동은 감소되었다는 연구들을 보여주었다. 아동에게 물리적 자극뿐 아니라 인적인 환경에 변화를 줌으로써 손상된 아동의 적응행동을 높일 수 있다고 결론을 지었다.
또 시설체에서 단체급식의 식사방법을 식탁에 앉아서 대접받고 기도하고 음식과 음료 제공을 가정형의 식사방법으로 택하였을 때, 이 실험집단의 사람들은 단체급식을 하는 사람들보다 더 오래 앉아서 식사를 하고 서로 적절하게 상호작용하며 원만한 의사소통을 보였다고 한다.
실험대상인 성인들은 단체급식 집단보다 더 정상적이고 보다 타인의 요구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행동을 나타냈다고 분석하고 있다.
2) 공포심의 감소
Matson(1981) 연구에서는 정신지체아의 대인공포를 행동수정 방법으로 소멸시킬 수 있다는 점을 입증해 주고 있다. 8세-10세 정신지체 여아가 가족 이외의 성인에게는 극심한 공포경향을 나타낸다. 공포감 때문에 대인관계에 문제가 발생하고 외출 시에도 문제를 나타내 보였다고 한다.
문제행동을 해결하기 위해 그 행동에 대한 적절한 반응을 어머니에게 교수시켜 딸이 모방할 모델이 되도록 했다.
Baker, Heifelz와 Murphy(1980)는 그 후 딸이 바람직한 행동을 했을 때는 적절한 강화를 제공하였고, 처치 후에 아동의 공포행동, 문제행동들은 감소를 나타냈다고 밝혔다. 그리고 6개월 후의 후속검사에서도 처치효과는 그대로 남아 있었다고 하는 설명 등이 있다.
이 연구결과를 보면, 지체아동의 정서장애치료에 부모가 적극적으로 참여하면 효율적으로 문제행동을 감소시킬 수 있다고 제시하고 있다.
* 참고문헌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공중보건학 / 김낙상 저, 에듀팩토리, 2016
성장발달과 건강 : 김태임, 김희순 외 3명 저 / 2014 / 교문사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알기 쉬운 공중보건학 / 이련리, 조갑연 외 4명 저, 효일, 2017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 가격2,5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9.04.25
  • 저작시기2019.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9700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