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미술의쟁점 )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전반까지 다양한 예술사진(혹은 사진으로서의 예술)의 경향들을 살펴보았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현대미술의쟁점 )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전반까지 다양한 예술사진(혹은 사진으로서의 예술)의 경향들을 살펴보았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알프레드 스타글리츠의 삼등선실
1) 알프레드 스타글리츠의 작품세계
2) 알프레드 스타글리츠의 삼등선실
3) 알프레드 스타글리츠의 스트레이트 포토그래피
2. 에드워드 웨스턴의 누드
1) 에드워드 웨스턴의 작품세계
2) 에드워드 웨스턴의 누드
3) 에드워드 웨스턴의 이질동상과 스트레이트 포토그래피
3. 알렉산더 로드첸코의 라이카를 멘 젊은 여인
1) 알렉산더 로드첸코의 작품세계
2) 알렉산더 로드첸코의 라이카를 멘 젊은 여인
3) 알렉산더 로드첸코의 구축주의
Ⅲ. 결론
Ⅳ.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참여를 강조하는 정치적 내용을 중요시했다.
2) 알렉산더 로드첸코의 라이카를 멘 젊은 여인
알렉산더 로드첸코의 라이카를 멘 젊은 여인은 로드첸코가 구축주의를 표현하면서 활용한 대표적 스타일인 로우앵글의 부감을 활용해 대상을 과감하게 표현하고 있다. 이것은 긴 의자에 홀로 앉아있는 여인을 사진 왼쪽 위에 위치하게 하여 소실점이 없는 구도를 이루고 있다. 이로 인해 이 작품은 원근법이 해체되고 공간감을 잃게 되는 대신 회화에서와 같은 평면성을 얻게 되었다.
또한, 격자무늬가 반복적으로 나타나고 채광이 표현되는 사진 중심의 대각선은 반원근법적인 모자이크 무늬를 환기한다. 여기에서 모자이크 무늬는 중심이 없이 무한 반복되는 것을 통해 서구의 회화적 시각을 재현하는 것을 거부하며 대상의 본질적 성질에 대해 의심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3) 알렉산더 로드첸코의 구축주의
알렉산더 로드첸코는 시각적 형식을 통해 우리에게 익숙한 대상을 낯설게 만들어 환기한다. 또한, 대각선 구도 등의 활용을 통해 대상을 보는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고 새로운 사회에 대한 역동적 이미지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근대 회화가 발달시킨 재현적 리얼리즘 대신 기하학적이고 추상적인 이미지를 통해 부르주아 예술을 타파하고 새로운 이념을 제시하고자 했던 것이다.
로드첸코의 구축주의는 사진예술이 인간의 삶을 반영하는 것일 뿐만 아니라 인간의 이념을 지배할 수 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사진을 통해 이전까지의 사회가 가진 낡은 관습에 대한 비판을 표현하고 새로운 사회가 나아가고자 하는 이상을 드러내는 것이다. 또한, 로드첸코는 여기에 그의 정치적 이념을 더하고 사진은 물론 문자, 포스터, 가구, 실내디자인과 무대 디자인 등의 총체적 예술을 통해 더 큰 시너지를 만들어낸다.
Ⅲ. 결론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예술사진은 그 시대의 인간의 삶을 반영한다. 그리고 그것이야말로 사진이 회화와 구별되는 예술적 정체성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알프레드 스타글리츠는 스트레이트 포토그래피를 통해 카메라 렌즈가 인간의 일상을 향할 때 그것이 사실성을 가지는 예술이 된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에드워드 웨스턴은 클로즈업과 정밀묘사를 통해 우리가 사물을 바라보는 새로운 시선을 제시하며 대상에 객관성을 부여했다. 이렇게 생겨난 사진예술의 사실성 또한 스트레이트 포토그래피의 대표적인 특징이라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러시아의 구축주의의 선두라 할 수 있는 알랙산더 로드첸코는 인간의 삶과 현실을 객관적으로 표현하는 것을 넘어서 그것을 통해 일깨우고자 하는 이념과 이상적인 새로운 사회를 담고 있다.
나아가 이제 20세기를 넘어 21세기의 새로운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예술사진은 그를 통해 변화한 시대의 삶을 담아내기 위한 고민이 필요하다 하겠다. 가령 에드워드 웨스턴의 누드에서 표현되는 여성의 신체는 객관화된 대상으로서의 피사체로 활용되는데, 이때 작가의 뮤즈이자 피사체인 대상으로만 존재하는 여성성은 새로운 시대에 적합한 것인지에 대한 진지한 성찰이 이루어져야 한다. 티나 모도티는 에드워드 웨스턴의 뮤즈로 기억되기보다 훌륭한 모델이자 사진작가였고 혁명가였으며 자유로운 삶을 살았던 여성으로 기억되는 편이 더 적합한데 이것은 뮤즈라는 신화 속 개념이 여전히 남아있는 모더니즘적 예술경향에서의 고정된 젠더에 어울리지 않기 때문이다.
Ⅳ. 출처 및 참고문헌
Alfred Stieglitz 사진작품의 표현기법에 관한 고찰 (강택수, 2004)
Edward Weston의 Straight photography에 관한 연구 (심현희, 2001)
혁명의 사진, 사진의 혁명: 로드첸코 사진 (알렉산더 로드첸코 전, 아트스페이스 J 2017)
  • 가격2,8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9.05.17
  • 저작시기2019.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9961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