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렌 에릭스, 이블린 톰린, 메리 앤 스와인 - 모델링과 역할 모델링 이론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헬렌 에릭스, 이블린 톰린, 메리 앤 스와인 - 모델링과 역할 모델링 이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이론의 배경
2.이론의 개요
3.간호학계의 수용
4.이론의 평가 및 전망
5.논문요약

본문내용

, p=.001)이었으며, 임상적 우울군에 포함된 대상자는 남성(15.4%)보다 여성(36.4%)의 비율이 높았으며, 배우자가 없는 대상자의 42.3%가 임상적 우울군에 포함되었다. 또한 무직인 대상자의 27.6%와,100만원 미만의 수입이 있는 경우의 33.3%가 임상적 우울군에 포함되었다.
질병관련 특성 중 운동 역량(F=12.67 p<.001), NYHA class
(F=24.49 p<.001) 및 기능 상태(F=25.82, p<.001)가 우울 수준
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운동 역량을 나타내는 6분 걷기거리는 임상적으로 우울한 군(309.32±125.10미터)이 임상적으로 우울하지 않은 군(393.58±66.60미터)보다 유의하게 짧았으며, NYHA class 수준에서는 임상적으로 우울하지 않는 군(1.32±0.59)과 우울한 경향이 있는 군(1.38±0.54)은 거의 차이가 없었지만, 임상적 우울군은 2.15±0.71등급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등급 차이를 보였다. 또한 기능 수행정도는 임상적으로 우울하지 않는 군이 54.00±16.48점이었으나, 임상적으로 우울한 군은 29.71±14.42점으로 우울수준에 따라 통계
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Table 2).
대상자의 우울수준에 따른 자가간호행위
우울수준에 따른 자가간호의 점수차이는 Table3와 같다.
자가간호행위는 임상적으로 우울하지 않는 군이 25.60±6.60점,
임상적으로 우울군이 27.79±8.73점으로 전체 자가간호행위는
우울수준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199). 자가간호행위는 다양한 하부행위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하부행위가 질병관리에 중요한 점을 고려하여, 대상자의 우울 수준에 따른 자가간호행위의 문항별 점수차이를 추가 분석하였다. 자가간호행위 문항 중 ‘만약 호흡곤란이 심해지면, 나는 의사나 간호사에게 문의할 것이다.’F=4.92, p=.008),‘0만약 나의 발이나 다리가 평소보다 더 부으면, 나는 의사나 간호사에게 문의할것이다.’F=8.13, p<.001), ‘만약 몸무게가일주일에 2kg이상 증가하면, 나는 의사나 간호사에게 문의할것이다.\'(F=5.18, p=.007), ‘나는 낮 동안에 휴식을 취한다.’(F=3.31, p=.039)의 문항이 우울수준에 따라 통계적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Scheffe 사후검정 결과, 임상적 우울군과 우울하지 않는 군 간의 이행도 차이를 보인 문항은 ‘만약 호흡곤란이 심해지면, 나는 의사나 간호사에게 문의할 것이다.’p=.010),‘0만약 나의 발이나 다리가 평소보다 더 부으면, 나는 의사나 간호사에게 문의할 것이다.’p<.001), ‘만약 몸무게가 일주일에 2kg이상 증가하면, 나는 의사나 간호사에게 문의할것이다.’p=.010)이었고, 우울하지 않는 군보다 임상적 우울군에서
호흡곤란, 부종, 체중변화에 대해 의사나 간호사에게 문의하지 않는 경향이 있었다. ‘나는 낮 동안에 휴식을 취한다.’
(p=.030) 문항은 우울한 경향이 있는 군과 임상적 우울군에서
이행도 차이를 보였으며, 우울한 경향이 있는 심부전 환자가
임상적으로 우울한 대상자보다 낮 동안 휴식을 적게 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 의
임상에서 심부전 환자의 취약 계층을 중심으로 우울증상에 대한 주의 깊은 모니터링이 요구되며, 우울을 경험하는 환자들의 증상변화에 대한 좀 더 면밀한 관찰이 필요하다. 우울을 경험하는 심부전 환자를 위한 우울중재프로그램 개발과 임상적 적용과 심부전환자의 자가간호역량향상, 원격상담의 활성화는 심부전환자들의 자가간호와 건강결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되며, 추후 다양한 프로그램의 적용과 효과검증이 필요하다.
결론 및 제언
연구결과는 심부전 환자의 우울 스크리닝의 필요성을 제시하며, 특히 우울한 심부전 환자들이 증상변화에 대해 의료진을 자발적으로 접촉하는 경향이 낮으므로, 잦은 감시와 의료진과의 접촉이 용이하도록 하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심부전 환자의 우울을 예방하고, 조기발견을 위한 정기적 스크리닝을 위한 임상적 전략개발이 요구된다.
둘째, 심부전 환자의 우울중재 프로그램 개발 및 그 효과를 규명하기 위한 연구를 제안한다
셋째, 우울을 경험하는 심부전 환자의 의료진과의 접촉을 증진시키기 위한 중재개발 및 그 효과를 규명하는 연구를 제안한다.
넷째, 심부전 환자의 자가간호역량강화를 위한 프로그램개발과 효과검증을 제안한다.
  • 가격2,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20.11.18
  • 저작시기2020.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4064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