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조사해야 될 항목의 적정성과 구체성
2) 조사항목 측정을 위한 척도의 적정성
3. 결론
2. 본론
1)조사해야 될 항목의 적정성과 구체성
2) 조사항목 측정을 위한 척도의 적정성
3. 결론
본문내용
첫째 항목은 코로나 이전 대비 재택근무 및 실업률이며, 둘째 항목은 코로나 이전 대비 반려동물용품 매출액 비율이다.
해당 조사 항목들은 절대적인 기준이 아닌 코로나 전, 후의 상황이 가장 중요한 부분이므로 중립점을 두지 않고 응답자들이 코로나에 대비해서 얼마나 늘어나고, 줄었는지에 대한 매출액을 척도점으로 두고 응답하도록 하면 보다 용이한 조사가 가능할 것이다. 또한, 코로나 전후로 많이 바뀌지 않은 경우가 있을 수 있으므로, 척도에는 중립점을 두는 것이 적절하다고 볼 수 있다.
중립점이 있을 경우, 질문에 명확히 답변하지 않고자 하여 중립점을 선택하는 부분, 설명이 붙지 않은 척도점을 선택하지 않게 되는 경향이 생기는 부분, 동일 척도점에 표시하여 측정값이 일관성있는 수준을 보이지 못 하는 등의 문제가 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척도의 종류와 척도점을 명확히 설정하여 정확한 측정값을 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점, 사전 테스트를 통해 수정하고 보완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인지해야 할 것이다.
3. 결론
필자는 애견시장의 확대에는 코로나 확산으로 인한 실내 활동 증가가 전제된다고 생각했고, 한 발 나아가 반려동물의 활동량을 높이기 위한 도구 및 건강 증진 제품에 대한 구매 선호도의 증가가 뒷받침된다고 보았다. 연구를 진행해보아야 알 수 있는 부분이나, 우선 연구의 틀을 잡는 데 그 의의를 두었고 충분한 인과관계가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또한, 척도에 중립점을 두었으나 매출의 부분은 손익계산서 등으로 확인이 가능한 부분이기 때문에 확인하고자 한다면 충분히 객관성과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해당 조사 항목들은 절대적인 기준이 아닌 코로나 전, 후의 상황이 가장 중요한 부분이므로 중립점을 두지 않고 응답자들이 코로나에 대비해서 얼마나 늘어나고, 줄었는지에 대한 매출액을 척도점으로 두고 응답하도록 하면 보다 용이한 조사가 가능할 것이다. 또한, 코로나 전후로 많이 바뀌지 않은 경우가 있을 수 있으므로, 척도에는 중립점을 두는 것이 적절하다고 볼 수 있다.
중립점이 있을 경우, 질문에 명확히 답변하지 않고자 하여 중립점을 선택하는 부분, 설명이 붙지 않은 척도점을 선택하지 않게 되는 경향이 생기는 부분, 동일 척도점에 표시하여 측정값이 일관성있는 수준을 보이지 못 하는 등의 문제가 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척도의 종류와 척도점을 명확히 설정하여 정확한 측정값을 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점, 사전 테스트를 통해 수정하고 보완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인지해야 할 것이다.
3. 결론
필자는 애견시장의 확대에는 코로나 확산으로 인한 실내 활동 증가가 전제된다고 생각했고, 한 발 나아가 반려동물의 활동량을 높이기 위한 도구 및 건강 증진 제품에 대한 구매 선호도의 증가가 뒷받침된다고 보았다. 연구를 진행해보아야 알 수 있는 부분이나, 우선 연구의 틀을 잡는 데 그 의의를 두었고 충분한 인과관계가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또한, 척도에 중립점을 두었으나 매출의 부분은 손익계산서 등으로 확인이 가능한 부분이기 때문에 확인하고자 한다면 충분히 객관성과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