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배식물육종학 ) 자식성 식물집단의 유전적 특성과 타식성 식물집단의 유전적 특성을 비교 설명하시오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재배식물육종학 ) 자식성 식물집단의 유전적 특성과 타식성 식물집단의 유전적 특성을 비교 설명하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서론
2.본론
(1) 자식성 식물집단의 유전적 특성
(2) 타식성 식물집단의 유전적 특성
3.결론
4.참고문헌

본문내용

용하는 방식이다. 이렇게 과정을 계속해서 반복하면, 육종 목표에 맞는 근교계 집단을 발견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근교계들이 특정하게 가지고 있는 특정한 형질을 개량시키기 위해선 선발되었던 최조의 근원, 그리고 선발 개체들을 통해서 재배했던 자식 종자와 근교계간의 상호 교배를 계속하여 되풀이하는 재배 방법이다. 계속해서 되풀이하기에 기본 기간을 2년, 그리고 1주기로 진행하는 방식이다. 모든 집단 개량 방법에도 사용할 수 있으며, 최종 달성으로는 특정 형질이 완전 개량된 작물을 육성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는 교배 육종법이다. 특히나 재래종 집단에서 우량 유전자 개체들을 선별할 수 없을 때 인위적인 교배를 통해서 교배시켜줘야 하는 것이다. 이러한 인공 교배를 통해서 애초에 유전이 변이된 개체들을 만들어서 재배하는 것이 모두 교배 육종법이라고 말할 수 있다.
잡종 세대의 선별 방법에 따라서 자식성 식물 집단에서 보았던 계통 육정, 그리고 집단 육종으로 나눌 수 있다. 계통 육종 인공 교배의 경우에는 계속해서 과정을 반복하면서 최후에 우량 유전자 순계를 재배하는 방법이다. 계통 육종의 경우 잡종의 초기부터 계통을 단위로 두고 선발하기 때문에 조금 목표에 빨리 달성할 수 있으며, 단기간 목표가 필요한 경우 이 방법을 사용하곤 한다.
타식성 식물 집단에서도 간혹 가다가 자식성 수분을 진행하는 경우가 있다. 자가수분이 안되어도, 그리고 결실률이 높게 관찰되어도 자가 수정에 따라서 자식 약세, 그리고 근교 약세와 같은 약세가 일어날 수 있다. 이미 확보되어 있는 기본집단이 유전적으로 다양성이 있어야 쉽게 시도해볼 수 있다. 이 기본 집단에서 좀 더 우수한 개체들을 선발해내고, 여기서 선발된 개체들을 또 분리하는 것을 계통이라고 말한다.
이 계통들 안에서 분리 여부, 각각의 특성을 관찰한 후 유망한 계통과 도태 계통으로 구분, 그리고 유망한 계통에서만 우수한 개체들을 또 선별하여 최종 선발해낸다. 선발한 개체들을 토대로 재배하여 다음 세대의 계통을 키우고, 계속해서 비교와 선발, 도태 계층의 분리 등을 통해서 최우수 집단을 얻는다.
마지막 방법으로는 하이브리드 육종이 있다. 하이브리드 자체가 두 양친 평균치보다도 더 우수한 생산양식을 띄는 것을 말한다. 자식성 식물 집단인 1대 잡종은 보통 아시아에서도 중국에서 재배되며, 인도에서도 재배되고 있다. 이러한 대규모 재배가 이루어지는 각 나라에서도 거의 1대 잡종으로 재배하고 있다. 잡종 강세 자체를 이용하며 단위 면적당 작물 수량을 증가시켜서 오히려 경지 면적을 줄이고, 또한 자연을 보존하며 생산량은 늘리는 시스템으로 활용하고 있는 것이다.
잡종강세가 일어나는 유전적 알고리즘 자체를 우성설이라고 말할 수 있다. 우성대립인자가 함께 성장하면서 불량한 종에 해당하는 열성 대립인자들을 억제시키기 때문에 오히려 좋은 우성 육종들만 살아남을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사실 이러한 우성설을 맞다고 인정해버리면 모든 유전자에서 우성 동형 접합체인 근교 계통이 관찰되어야 하고, 또한 이 부모 종자들과 같은 능력을 가지고 있는 품종들이 고정적으로 생산이 되어야 하는데, 사실상 이는 불가한 일이기 때문에 대부분의 방법으로는 사용되고 있지 않다.
3.결론
토마토, 가지, 고추, 포도와 같이 식물 암술이 같아서 그 안에서 꽃가루를 받아 인공적으로 수정이 이루어지는 것들은 자연 교잡율이 보통 4퍼센트 아래를 기록한다. 자가 수정 자체는 동일한 개체 내에서 수정이 가능한 것을 의미하며, 이 형태에 따라서 자식이라고 말하는 것이다. 자식성 식물 집단은 대부분 순계형으로 유지되기 때문에 각 육종 방법에 따라서 질에, 그리고 양에 강한 재배 방법을 채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현재 우리가 주식으로 섭취하는 벼, 쌀, 그리고 자주 먹는 보리와 밀의 우량 품종은 모두 자식성 식물 집단에서도 특히나 계통 방법으로 육성되며 유통되고 있다. 여기서는 또한 교잡을 위해서 양친 식물들을 선별하고, 잡종 식물들을 양성하며, 생산력 자체를 검증하고 계속해서 선발해나가는 과정을 거쳐야만 한다. 특정 형질을 목적으로 한다면 유전자 수를 적게 하게 된다면 보통 이러한 계통 방법을 사용하고 있으나, 보통은 기본 육종과 비슷한 형질을 이루어내기 위해서 유전 현상을 밝힐 수 있기 때문에 참고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사실 자식성 식물 집단은 자식을 계속해서 거듭할수록 동형접합체의 비율이 굉장히 높아지고,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유전자를 가지고 있는 식물들의 생존 비율이 높아지게 되는데 이렇게 사용하는 것이 바로 집단육종법이다.
위에 설명한 것과 같이 자식성 식물 집단의 유전적인 특징과 타식성 식물 집단의 유전적인 특징이 모두 특별하게 특징을 가지고 있다. 사실 용어 자체가 반대되는 개념이라서 자식성 식물 집단과 타식성 식물 집단이 육종 방법 자체도 굉장히 반대된다고 생각할 수 있는데, 육종 방법 자체는 완전히 반대되는 개념이 아닌, 서로의 육종방법 자체를 서로의 개체에 모두 적용하여서 육종해낼 수도 있다.
사실 재배 식물 육종 자체는 대한민국처럼 농업용 부지가 아주 한정되어 있으며, 농가의 역할이 점차 줄어들고 있고 또한 토종 종자 자체도 부족하며 소실되는 곳에서는 하나의 희망이라고 말할 수 있다. 농가들은 대부분의 외국 종자에 대해서 로열티를 지불하고 농사를 지어야 하는데, 이는 우리나라 토양과 맞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괜한 자원 낭비가 되는 셈이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특히나 우리나라 환경과 딱 맞는 종자를 개발하고 또 키울 수 있기 때문에 한국에서는 꼭 필요한 아주 과학적인 농업 방법이라고 말할 수 있다. 하지만 육종을 재배하기 위해서 걸리는 시간, 그리고 계속한 시도들에 비해서 성공한다는 확실한 보장이 있어야 널리 사용하고 또 좀 더 기술이 발전하듯이 농업도 발전하여서 충분한 자원을 생산할 수 있을 것이다.
4.참고문헌
- 강성구, 한국농수산대학 과수학과, 작물개량, 2013
- 고희종, 향문사, 신고 식물 육종학, 2010
- 박순직 외 2명,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재배식물육종학, 2002
- 이선용, 전라북도 국립민속박물관, 호남평야 벼농사 이야기, 2008
  • 가격4,5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22.09.02
  • 저작시기2022.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8299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