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2학기 방송통신대 재배학원론 기말과제물)밀의 게놈(genome)조성을 예로 작물의 분화발달과정을 설명 토양수분의 종류와 pF(potential force)와의 관계 작물의 수확 후 관리 요인을 품질 설명 지구온난화의 원인과 농업생태계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2022년 2학기 방송통신대 재배학원론 기말과제물)밀의 게놈(genome)조성을 예로 작물의 분화발달과정을 설명 토양수분의 종류와 pF(potential force)와의 관계 작물의 수확 후 관리 요인을 품질 설명 지구온난화의 원인과 농업생태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밀의 게놈(genome)조성을 예로 작물의 분화발달과정을 설명하시오. (10점)

2. 토양수분의 종류와 pF(potential force)와의 관계를 설명하시오. (10점)

3. 작물의 수확 후 관리 요인을 품질과 관련하여 설명하시오. (10점)

4. 지구온난화의 원인과 농업생태계에 미칠 영향들을 논하시오. (20점)

5. 참고문헌

본문내용

하다. 지구표면에서 나온 열을 흡수하는 대기 중에 있는 가스를 온실가스라고 부른다. 수증기나 이산화탄소 · 메탄 등과 자연에 존재하는 가스도 있고, 염화불화 탄소(chlorofluorocarbon : CFC) 같은 합성가스도 있다. 이 중에 공기의 0.03%를 차지하는 이산화탄소가 가장 중요한 온실가스이다.
그런데 산업혁명 이후 석탄 · 석유 같은 에너지의 대량사용은 이산화탄소 등 온실가스를 대기 중에 너무 많이 방출시켰다. 온실가스는 온실효과를 증가시켜 지구가 우주로 방출하는 열량을 줄임으로써 지구의 온도는 지난 100년 동안 0.5~1°C 정도 상승되었다. 여기서 온실효과란, 지구를 둘러싸고 있는 대기층에 존재하는 이산화탄소를 포함한 여러 가지 가스가 태양복사인 단파장 복사열은 지구로 잘 투과시키지만 지구에서 방출하는 장파장 복사열은 흡수 · 차단함으로써, 이들 대기층 하부에 열이 저장되어 열평형을 이루지 못해 지구의 온도가 올라가는 것이다.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와 수증기가 마치 유리 온실의 유리와 같은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지구의 평균기온은 19세기 이후 0.3~0.6°C 상승하였으며 기상의 변동성이 커진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앞으로 100년 후에는 1.5~4.5°C 상승될 전망이다.
이산화탄소는 온실효과에 기여하는 비율이 가장 높다. 이산화탄소는 석유 · 석탄 등 화석연료의 사용증가, 산림파괴 등에의 하여 대기 중에 배출되고, 이 중 약 48%가 대기 중에 축적되고 있다.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 농도는 산업화 이전인 18세기 중반에는 약 280ppm이었지만, 1958년에는 315ppm, 1994년에는 358ppm으로 증가하였고, 현재 매년 약 1.5ppm씩 증가하고 있다.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증가의 주원인은 석탄, 석유 등 화학연료의 사용증가이고, 다음이 산림파괴에 의한 지구생태계의 이산화탄소 고정력의 감소이다. 21세기 말에 이산화탄소 농도가 두 배 증가하여 평균온도가 약 2°C 상승할 것으로 보고 있다.
염화불화탄소(CFCs)는 염소 · 불소 · 탄소를 함유한 합성화합 물질로서 이들의 결합형태에 따라 여러 화합물이 존재한다. 염화불화탄소는 매우 안정된 화합물로서 불연성이고, 독성과 자극성이 없으며, 열적 · 화학적으로도 안정되어 있고 가격도 싸다. 이 밖에도 끓는점, 어는점, 증발잠열, 점도, 표면장력 등 물리 · 화학성이 양호하여 냉장고용 냉매, 단열재, 세정제, 분사제 등에 두루 사용되고 있다. 염화불화탄소는 ‘프레온’이란 상품명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이처럼 지구온난화는 인구의 증가와 인간의 경제활동에 의해서 야기되는 산림의 파괴, 대기의 오염 등으로 야기되는 온실효과에 의해 점점 심각해지고 있다. 온도는 생명현상을 지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지구표면에 도달한 태양에너지는 토양이나 식물 등에 흡수되어 열로 변한다. 지구상의 기온이나 지온의 지리적 분포, 계절적 변화는 생물의 생존에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 생물의 생명 현상은 복잡한 생화학반응과 연쇄되어 온도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 세포분열, 생장, 양분의 흡수, 동화, 호흡 등의 대사작용은 온도의 함수로 표현된다. 그러나 일정한 한계보다 낮은 온도와 높은 온도는 대사작용을 크게 쇠퇴시켜 죽게 한다. 모든 이화학적 반응은 온도에 의해 그 속도가 크게 지배되므로 온도는 식물의 생장 · 발육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온도는 광합성, 동화물질의 전류, 호흡, 양분의 흡수·이동, 수분흡수, 증산 등에 영향을 미친다. 온도계수(Q10)는 어느 한계온도까지 온도가 10°C 상승함에 따르는 이화학적 반응이나 생리작용의 증가배수를 말한다. 생육 최저온도·최적온도·최고온도를 주요 온도라고 하며, 생육기간 중 0°C 이상의 일평균기온을 합산한 것을 작물의 적산온도라고 한다. 최근에는 생육이 가능한 온도(10°C) 이상의 일평균기온의 합계를 유효적산온도라고 한다. 기온의 일중변화(일교차, 변온)는 작물의 생리작용에 큰 영향을 미친다. 고온장해, 즉 열해는 유기물의 과잉소모, 질소대사의 이상, 철분침전, 증산작용의 과다 등의 현상을 나타낸다.
지구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생물의 호흡량이 늘어날 뿐만 아니라 온도상승으로 인해 토양과 숲속에 저장되어 있던 탄소가 이산화탄소 또는 메탄의 형태로 배출되면서 대기 중에 이들의 가스가 더욱 많아지게 되어 생태계 패턴에 큰 변화를 준다. 대기 중 이산화탄소의 증가와 이에 따른 온난화는 농업생산에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이 모두 있으므로 일률적으로 평가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지구의 온도상승으로 초래될 가뭄, 홍수, 태풍, 한파, 폭설 등의 다양한 이상기후 현상이 농업생태계와 농업생산에 부정적으로 작용할 것은 분명해 보인다. 우리나라의 경우 대기 중 탄산가스의 농도가 2배로 증가하고 이에 따라 기후가 온난화될 경우, 쌀의 생산성이 30% 이상 감소할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지구온난화로 인해 기온은 상승하고 이산화탄소 농도는 증가하며 이상기후로 인한 가뭄과 홍수 등은 작물의 생산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작물의 생태계 자체를 바꾸게 된다. 우리나라는 기온의 상승으로 아열대 작물의 생산지역이 점차 북상하고 있다는 점에서 지구온난화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고 있다. 즉, 급속한 기후변화는 지구의 자연생태계에 영향을 줌으로써 식량생산에도 큰 위협을 주고 있는 것이다.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의 상승은 광합성 효율과 생산량을 높이지만, 온실 가스 상승으로 수반되는 기온 상승은 광합성 효율을 낮추고 결과적으로 생산은 줄어들게 만든다. 또한 기온 상승은 식물의 물 사용 효율을 떨어뜨려 같은 생산량을 위해서는 더 많은 물을 필요하게 한다. 이처럼 전 지구적인 이상기후는 결과적으로 식물의 생태계뿐 아니라 작물을 주요 에너지원으로 삼고 있는 인간에게 생존과 직결되는 문제를 야기한다는 점에서, 지속가능한 농업을 위해서서는 이산화탄소 등 온실가스의 증가로 인한 지구온난화로 초래되는 기온 상승 등의 기상변화에 대한 보다 적극적인 대처가 필요하다.
5. 참고문헌
류수노 외, 재배학원론, 2015,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 가격5,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22.10.25
  • 저작시기202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8820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