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2학기 한국복식과한복의역사 기말시험 핵심체크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제1장 한국복식 개설과 삼국시대 이전 복식
제2장 고구려 복식
제3장 백제, 신라, 가야 복식
제4장 통일신라, 발해 복식
제5장 고려시대 남자 복식
제6장 고려시대 여자 복식
제7장 조선시대 남자 관복
제8장 조선시대 남자 평상복
제9장 조선시대 여자 예복
제10장 조선시대 여자 평상복
제11장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의 직물
제12장 근대 복식의 변화
제13장 일생의례 복식
제14장 20세기 한복
제15장 21세기 한복

* 각 장별 출제예상문제 제공 + 해설포함 *

본문내용

제1장 한국복식 개설과 삼국시대 이전 복식

1. 한국복식 개설
1) 한국복식의 개념
① 복식에서 복은 의복, 식은 장식이라는 의미로 복식은 사람의 몸에 입는 옷과 머리부터 발끝까지 착용하는 장신구 전체를 포함하는 용어임
② 한국은 대한민국의 줄임말로도 쓰이지만, 한국의 역사’, ‘한국의 문화’와 같이 사용될 때는 역사상 우리나라에 존재했던 모든 나라와 영토를 대표하고 여기에 한민족이라는 민족적인 개념도 포함하는 용어임
③ 한국복식은 우리나라에 살았던 사람들이 역사상 착용해 온 모든 복식을 의미하므로 시대별, 신분별, 상황별, 성별에 따라 무수히 많은 종류와 형태로 존재하였다는 것을 추측할 수 있음
④ 시대적 관점에서 본다면 현대에 일상복으로 착용하고 있는, 서양복에서 발전한 복식도 한국복식으로, 정확하게 말한다면 현대의 한국복식이라고 할 수 있음
⑤ 한국복식의 의미를 양복이 들어오기 전까지 우리나라에서 착용되었고, 이후 양복과 함께 공존하면서 현대까지 발전해 온 전통적인 요소를 많이 가진 복식으로 한정한다면 이는 좁은 의미의 한국복식에 대한 정의함
⑥ 한국복식이라는 용어를 간혹 ‘한복’으로 줄여서 부르기도 함
⑦ 다만 개항 이후 양복이 도입된 시기부터 현대까지 착용하고 있는 전통 복식을 한복이라고 부르는 데는 대부분 동의하고 있음

2. 한국복식의 기본구조
1) 고대 한국복식의 기본구조
청동기시대에 복식을 착용한 모습은 남아 있지 않지만, 고구려는 부여의 유민이 세운 나라였고, 옥저의 의복은 고구려와 비슷하다고 하였음

2) 머리모양과 관모
① 머리모양
- 단군이 고조선 백성들에게 머리를 정돈하는 방법을 가르쳤다는 기록과 삼한의 상투 기록으로부터 고대 우리나라 남자는 머리카락을 모아서 상투를 틀었을 것으로 추측됨
- 여자는 머리카락을 그대로 늘어뜨리거나, 일부는 비녀로 틀어 올리고 나머지는 늘어뜨렸을 것으로 보임
② 관모
- 고대 우리나라 관모는 ‘변(井)’이라는 글자의 형태처럼 생긴 고깔형 모자였음
- 변형모는 머리카락을 덮고 위쪽을 뾰족하게 만든 형태로 턱 아래에서 끈을 맸음
- 변형모에 새 깃을 꽂아 장식하기도 하였다. 부여에서는 금과 은으로 모자를 장식하였음

3) 의복
① 유
- 유는 저고리를 의미함
- 우리나라에서 원래 착용 되었던 상의는 왼쪽으로 여미는 좌임이었으며, 곧은 깃을 교차해서 여미는 방식임
- 중국의 문화를 받아들이면서 오른쪽으로 여미는 우임으로 바뀌었음
- 동예에서는 남녀 모두 곧은 깃이 아닌 둥근 깃을 착용하였음
② 고
- 고는 바지를 의미함
- 활동적인 시대였기 때문에 남자와 여자 모두 착용하였는데, 여자도 바지를 겉옷으로 착용하였음
- 부여에서는 백의를 숭상하는 풍습이 있어 흰색 베로 만든 포와 함께 바지를 입었음
③ 상, 군
- 여자는 의례나 방한을 목적으로 바지 위에 치마를 입기도 하였는데, 이를 상 또는 군이라 함
- 저고리의 길이가 길었기 때문에 지금의 한복 치마와는 다르게 허리에서 묶어 입었음
④ 포
- 포는 오늘날의 두루마기와 같이 저고리와 바지 혹은 치마 위에 착용한 겉옷으로 방한용과 의례용으로 착용하였음
- 한반도 고유의 포는 당시 중국 한족이 착용했던 소매가 넓고 길며 길이가 바닥에 끌릴 만큼 긴 포와는 달리 소매도 좁고 길이도 짧았음

4) 대
① 저고리나 포를 착용할 때 옷을 여미기 위해 허리에 묶은 띠를 대라고 하였음
② 여러 개의 허리띠가 겹치면 불편하고 옷맵시도 나지 않으므로 저고리는 앞쪽으로, 포는 뒤쪽이나 옆쪽으로 매기도 하였음
③ 부여와 동예에서는 허리에 금과 은으로 장식한다는 기록이 있어서, 12 직물이나 가죽으로 만든 허리띠에 금속 장식을 부착하는 과대를 사용했다는 것을 추측할 수 있음

5) 신발
고대 우리 민족은 신발로 신목이 긴 화, 혹은 신목이 없고 운두가 낮은 이를 신었음

6) 장신구
목걸이, 귀고리, 팔찌, 반지를 주로 하였고, 마한에서는 구슬을 특히 선호하여 옷에 달기도 하였음


7) 근대 이후 한복의 기본구조
① 개항 이후 남자 한복은 바지, 저고리를 입고 그 위에 조끼, 마고자, 두루마기를 입는 구조로 재구성되었음
② 최근에는 조끼, 마고자 대신에 배자나 답호를 많이 입음
③ 여자 한복은 치마, 저고리를 입고 속옷으로 속바지, 속치마를 갖추며 버선, 신발을 신음
④ 최근에는 저고리 대신에 당의를 입거나 저고리 위에 배자를 덧입기도 함


- 중략 -
  • 가격12,000
  • 페이지수67페이지
  • 학년/학기4학년/2학기
  • 해당자료학과가정학과(가정관리)
  • 자료출간일2023.12.04
  • 파일형식아크로뱃 뷰어(pdf)
  • 자료번호#123155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