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연구) 연구의 필요성, 선행연구 고찰, 연구 목적, 연구 방법, 연구 설계 연구 대상 연구 도구 4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간호연구) 연구의 필요성, 선행연구 고찰, 연구 목적, 연구 방법, 연구 설계 연구 대상 연구 도구 4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다.
① 일반적 특성 : 연령, 성별, 교육정도, 직업, 결혼, 종교, 흡연, 음주, 낮잠, 코골이, 수면제 복용, 조식유무, , 저녁 간식 섭취, 커피 섭취 , 통증 정도, 수면만족도, 진단명, 입원유형, 항우울제 복용, 입원 횟수 포함 20문항
② 통증 : 통증 부위 , ‘약간 아프다’ ‘ 전혀 아프지 않다’ ‘ 보통 아프다’ ‘많이 아프다 ’ ‘ 심하게 아프다’ 로 구성된다.
③ 수면의 질 측정도구 15문항
주관적인 수면의 질 평가 위해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PSQI) 참고해서 사용할 예정이다. 이 도구는 지난 한달 간의 수면의 질과 그 방해를 측정하는 것으로, 주관적 수면의 질, 수면잠복기, 수면시간, 습관적 수면효율, 수면장애, 수면제 사용, 주간 기능장애의 7개의 범주로 총 19개의문항으로 구성되었다. 가능점수는 0점에서 21점으로 총 수면점수가 5점 초과인 경우 낮은 수면의질을 의미하고, 5점 이하인 경우 좋은 수면의 질을 의미 한다.
④ 우울 BDI(beck depression inventory)
우울증을 측정하기 위해 자기보고식 검사로서 자신의 기분을 잘 기술하는 정도에 따라 0~3점까지 채점한다. 총 점의 범위는 0~63점까지로 점수가 높을수록 우울 정도가 심한것을 의미한다.
⑤ 환경
Paik과 Song이 개발한 환경적 장애요인 도구를 승인을 받은 후 사용할 예정이다.
이 도구는 4점 Likert 척도이며 ‘전혀 아니다’1점에서 ‘매우 그렇다’ 4점으로 총 18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설문 내용은 의료진의 야간방문, 병실 내외 소음, 병실 조명, 병실 온도로 구성되어 있고, 가능점수는 18점에서 72점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환경적 장애정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4. 자료 수집
본 연구는 J대학교 생명윤리심의위원회의 승인을 받은 후 시행될 예정이다. 연구 진행과 대상자선정 시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와 담당 주치의의 동의를 받는다. 자료 수집 기간은 2024년 6월부터 2025년 5월까지 예정이다. 대상자에게 설문지의 내용을 이해시키며 읽고 이해가 가능한 대상자는 자가 평가로 설문지에 답하도록 일부 대상자는 병동에서 근무하는 간호사가 설문지를 읽어주고 설명하여 답하는 형식으로 진행할 예정이다. 페쇄병동 내 면담실에서 자료수집을 수행할 예정이다.
윤리적 측면을 고려하여 대상자에게 직접 연구목적과 방법에 대해 설명하고 모든 자료는 비밀보장이 되도록 익명으로 처리할 것과 연구가 진행되는 동안 언제든지 참여를 중단할 수 있음을 설명.
대상자는 서명 동의서에 내용을 명시하고 서명을 받는다. 설문지와 동의서는 배포와 수거를 분리 진행하여 대상자의 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할 것이다. 설문지 완성하는데 30분 소요 예정이다.
5. 자료 분석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0.0 (IBM Corp. Armonk, NY United State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할 예정이다
① 대상자의 특성은 빈도,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를 사용하여 분석한다.
② 대상자의 통증, 우울, 환경 , 수면의 질은 평균과 표준편차를 사용하여 분석한다.
③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수면의 질 차이는 t-test, ANOVA로 분석한다. 사후 검정은 Scheffe test로 분석한다.
④ 대상자의 통증, 우울, 환경, 수면의 질과의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를 사용하여 분석한다.
⑤ 대상자의 수면의 질과 관련 요인은 다중 회귀분석을 단계적 (Stepwise)방식을 이용하여 분석한다.
참고문헌
김은주, 박정화 and 성경미(2017). 숲산책 프로그램이 폐쇄병동 조현병 환자의 입원스트레스와 회복에 미치는 효과. 동서간호학연구지, 23(1), pp.86-95.
김경중,배안, and 조남현(1997). 개방병동과 폐쇄병동의 치료환경에 대한 비교연구. 신경정신의학 36.4. pp.658-670.
박순영,강진상,윤보현,and 배안(1996). 개방병동과 폐쇄병동에 입원한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증상 호전도의 비교. 신경정신의학 35.6. pp.1259-1267.
안병탁,한성희,and 이충경(1997). 만성정신분열병 환자가 지각한 병실환경과 삶의 질 : 개방병동과 폐쇄병동의 비교. 신경정신의학 36.6. pp.1055-1065.
이현정, 김선희(2016). 폐쇄병동 정신질환자의 자아존중감, 대인관계 및 미술자기표현에 관한 사이코사이버네틱 미술심리치료 모델의 이론적 고찰. 심리치료 2016. Vol. 16(1). pp. 131-148.
서정석 외 6 인(2003). 정신과 폐쇄 병동 환경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임상변인: 치료의 질적 형성을 위한 예비적 연구. 건국의과학학술지 제 13 권. 서울.
김근태, 배효은, 배진곤 and 조용원(2020). 임신 중 수면의 질과 삶의 질. 대한신경과학회지, 38(3), pp.188-193.
정은자 and 이유미(2020). 간호대학생들의 피로, 스트레스와 수면의 질 관계. 문화기술의 융합, 6(4), pp.311-316.
서아름, 강성구, 신진희 and 송상욱(2009). 중년 남성에서 수면의 질과 주간 심박동변이.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9(4), pp.289-295.
신경림, 강윤희 and 신미경(2008). 남성 노인의 전립선 증상, 수면의 질, 삶의 질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28(4), pp.1041-1054.
오진욱, 고미애, 송후림, 홍민하, 김현수 and 김우정(2018). 소방공무원의 수면의 질에 대한 영향요인. 정신신체의학, 26(1), pp.19-25.
김영선 and 오진주(2021). 교대근무자의 수면의 질 구조모형. 대한보건연구, 47(3), pp.45-58.
정숙경 and 소애영(2017). 정신병원 입원 환자의 수면의 질과 우울 영향 요인. 정신간호학회지, 26(4), pp.374-381.
황지영(2017). 집단 미술치료가 폐쇄병동 정신 질환자의 우울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 논문. 한양대학교, 서울.
김근향(2011). 정신과 입원환자의 적응기능 향상을 위한 긍정심리치료 프로그램의 효과.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가격4,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24.01.10
  • 저작시기2024.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3562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