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불교사상의 사회교화적 접근(Ⅰ)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서 언
Ⅱ.사회교화의 개념
1.사회를 대상으로하는 교화
2.민중지향의 교화
3.사회적 방법에 의한 교화
Ⅲ.원불교 교리의 사회성
1.일원상의 진리
2.개교의 동기
3.최초법어
Ⅳ.원불교 교리의 사회교화적 해석
1.진리적 신앙으로서 사은사요
2.사실적 도덕으로서의 삼학팔조
Ⅴ.결 어

본문내용

시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부모 보은의 조목을 살펴보면 「공부의 요도 삼학 팔조와 인생의 요도 사은 사요를 빠짐없이 밟으면서」 아울러 「부모가 생존하시거나 열반하신 후나 힘 미치는 대로 무자력한 타인의 부모라도 내 부모와 같이 보호함」
) 『정전』 부모은 「부모 보은의 조목」 참조.
은 곧 사회교화적 차원의 교리 해석 가능성을 얼마든지 가지고 있다고 본다. 다만 문제가 되는 것은 그것을 어떠한 방법과 경로를 통하여 실현하도록 하는가의 제도적 장치일 것이다. 나아가 동포보은의 조목에서는 「사농공상에 있어서 自利利他」
) 『정전』 사은 「동포보은의 조목」 참조.
의 방법을 쓰라고 하였는데 일체의 사회 소요와 분쟁의 각종 원인들은 바로 이 자리이타의 大法을 잘못 사용한 결과라고 보면, 이 방법 또한 교리의 사회교화적 해석을 얼마든지 가능하게 해준다고 보아진다. 법률보은의 조목에서도 「사회에 있어서는 사회 다스리는 법률을 배워 행할 것」
) 『정전』 법률은 「법률보은의 조목」 3조.
을 강조하고 있는데 같은 맥락의 차원에서 이해가 가능할 것이다.
특히 사요의 각종 실천 조목을 살펴보면 보다 적극적인 의미의 사회교화를 언급하고 있는데 가장 종교의 본질적 의미가 함유되어 표현된 항목은 공도자 숭배이다. 그 조목에서 「가정사업과 공도사업을 구분하여 같은 사업이면 자타의 국한을 벗어나 공도사업을 할 것」
) 『정전』 사요 「공도자숭배의 조목」 1조.
에 강점을 두었다. 사회교화는 이 공도사업을 염두에 두고 교단 안팎으로 두루 실행되어야 한다. 그를 위한 방법으로 첫째는 개인 보다 대중, 소집단 보다 대집단을 위주로 하는 공도사업의 직접적 실천일 것이며, 둘째는 「공도에 헌신한 사람에 대해서는 그 노력한 공적에 奉養과 治喪을 담당하며 그 영상과 역사를 보관하여 길이 기념」
) 『정전』 사요 「공도자숭배의 조목」 2조.
하는 일일 것이다.
2. 事實的 道德으로서의 三學 八條
사실적이란 형식적이거나 허위적인 것 그리고 공론적인 것을 배격하는 뜻으로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사실적 도덕이란 실재생활에 유용하며 국가사회에 유용한
) 소태산 대종사는 「불제자가 됨으로써 세상에 무용한 사람이 될 것이 아니라 그 불법을 활용함으로써 개인 가정 사회 국가에 도움을 주는 유용한 사람이 되자는 것」이 불법활용의 의미라고 해석하였다(『정전』 사대강령 참조).
인격을 만들자는 것이며, 그러한 도덕으로 낙원사회를 건설하자는 것이다. 사실적 도덕의 실천을 위해서는 무엇이 국가사회에 유용한 것인가, 즉 무엇이 고통의 사회를 만들고 있는가를 직시하고 그 원인을 제거하는 최선의 길을 찾고 실천하는 것이다. 그러한 사회 고통에 대한 직시의 힘과 그 원인 분석의 관찰력은 바로 사실적 도덕의 훈련, 이른바 삼학 병진과 팔조 실천을 통하여 가능하다.
정산종사는 「과거에도 삼학이 있었으나 계정혜와 우리의 삼학은 다르나니, 계는 계문을 주로 하여 개인의 지계에 치중하였지만 취사는 수신 제가 치국 평천하의 모든 작업에 빠짐없이 취사케하는 요긴한 공부며, 혜도 자성에서 발하는 혜에 치중하여 말씀하셨지마는 연구는 모든 일 모든 이치에 두루 알음알이를 얻는 공부며, 정도 선정에 치중하여 말씀하셨지마는 수양은 동정간에 자성을 떠나지 아니하는 일심 공부라, 만사의 성공에 이 삼학은 벗어나지 못하는 것이니 이 위에 더 원만한 공부 길은 없나니라」
) 『정산종사법어』 경의편 13장.
라고 하여 주목된다. 원불교의 삼학인 정신수양 사리연구 작업취사는 불교의 삼학인 계정혜와 근본적으로 그 입각지를 달리한다는 말이다. 곧 수양은 禪定에만 편중하지 않고 動靜간에 自性을 떠나지 아니하는 一心 공부이며, 연구는 자성에서 발하는 慧에만 치중하는 것이 아니라 모든 일 모든 이치에 두루 알음알이를 얻는 공부며, 취사는 계문에만 치중하는 것이 아니라 수신 제가 치국 평천하의 모든 작업에 빠짐없이 취사케하는 공부라고 하였다.
원불교의 사실적 도덕이란 이처럼 靈肉이 쌍전되고 理事가 병행하는 不二의 공부라는 점에서 공부와 사업 모든일들이 하나로 개인은 물론 사회도 같이 교화해야 함을 일관되게 설하고 있다고 보아진다.
Ⅴ. 結 語
원불교는 교단초기부터 저축조합운동과 방언공사 등 수도와 생활, 종교와 사회의 일치와 조화를 추구하여 이른바 사회교화를 전개하였다고 볼 수 있다. 원불교 교단은 교화 교육 자선 등 교단의 삼대 목표로 삼고 있다. 이 삼대목표는 불법의 時代化, 生活化, 大衆化라는 생활불교 또는 현실응용의 불교로서의 이념을 실현하려는 노력과 함께 전개해 왔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실적으로 원불교 교단은 지금까지는 내적 교세확장에 주 관심을 두어온 듯한 느낌이 든다. 그러나 이제 국제화 세계화라는 한울안 한가족의 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自他를 초월하여 범교단적으로 사회교화에 전력해야 할 때가 왔다고 보아진다.
본고는 이러한 관점에서 「원불교사상의 사회교화적 접근(Ⅰ)」이라는 제하에 원불교 사회교화의 교리적 근거와 사회교화적 해석을 가하고자 하는 의도하에 집필되었다. 필자는 논고를 정리함에 먼저 社會敎化의 개념을, 「社會를 대상으로 하는 교화」, 「民衆指向의 敎化」, 「社會的 方法에 의한 敎化」라는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이러한 바탕하에 그 다음으로 一圓相의 眞理와 開敎의 동기 그리고 最初法語를 중심으로 원불교 교리의 社會性을 논구하였고 이에 근거하여 「眞理的 信仰으로서의 四恩 四要」, 「事實的 道德으로서의 三學 八條」를 근간으로하여 원불교 교리의 社會敎化的 해석의 타당성을 입증하였다.
이러한 논술에도 불구하고 원불교 社會敎化의 이념정립, 목표 설정 또는 현행 과제 등은 언급되지 못하였다. 원불교의 사회교화의 기본 이념 및 목표로는 원융회통의 세계, 보은상생의 세계, 원만평등의 세계, 人道正義의 세계의 지향 및 건설을 들 수 있다. 아울러 분단단체제의 극복 이른바 통일 문제와 생명과 환경의 문제, 가치의 공유를 바탕으로 이룩되어야 하는 각종 협력과 상부상조의 문제 이른바 자리이타의 公道社會 건설문제 등은 현안의 당면 과제들이다. 이들은 논고를 달리하여 「원불교사상의 사회교화적 접근(Ⅱ)」라는 이름으로 연구하기로 한다.

키워드

  • 가격2,3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2.05.22
  • 저작시기2002.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483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