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화사상의 근대성에 대한 성격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 논

Ⅱ. 개화사상의 형성과 본질

1. 개화사상의 형성배경

2. 개화사상의 본질

Ⅲ. 개화사상의 전개과정

1. 개국에서 임오군란까지

2. 임오군란기

3. 갑신정변기

Ⅳ. 혁신적 개화파 의 근대 지향성과 개혁운동

1. 혁신적 개화파의 근대 지향성

2. 혁신적 개화파의 개혁운동

3. 개화사상의 의의와 한계

Ⅴ. 결 논

참 고 문 헌

본문내용

를 변혁시켜 보려는 開化思想이 內在的으로 形成되었음은 주위 정세의 반영임과 同時에 半封建, 反事大主義의 의식적 발전을 보여주는 主體的思想이었다. 그러므로 開化思想家들에 의해 주도되었던 政治的 革新運動은 歷史的인 必然性과 當爲性을 가진 愛國的인 것이었다. 改革없이는 國家의 독립을 유지할 수 없고 獨立自由없이는 資本主義的 發展을 할 수 없다는 현실적 상황하에서 움직인 것이 그들이었다. 그리하여 外國의 先進科學技術을 주체적 입장에서 능동적으로 수용하고 인민들의 社會的地位를 높여 국민국가를 만들려고 하였다. 또한 新知識을 注入하고 新技術을 채용함으로써 政府나 一般社會의 구습을 탈피하여 하였던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의의를 지닌 開化思想도 몇가지 限界性을 드러내고 있는데 이러한 한계성으로 말미암아 運動의 結實을 맺는 데 있어서 추진력을 상실하고 있다. 여기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하자.
첫째로 對日關係에 있어서의 問題點이다. 본래 개화사상이 당시의 朝鮮現實을 파악하는 기준은 西洋내지 日本의 資本主義秩序였다. 그것은 開化思想과 衛政斥邪思想 및 東學思想의 특질적 비교에서도 잘 나타난다. 衛政斥邪思想이나 東學思想은 질적 차이는 있으나 다 같이 列强에 대하여 위기감을 느끼고 帝國主義에 대하여 격렬하게 저항하였으나 여기에 비해 開化思想은 서구적 가치관을 인정하고 그 器를 수용하려는 思想이었으므로 자연히 열강들에게 소극적 자세를 취할 수밖에 없었다.
두번째로는 近代的 改革에 있어서 가장 기본적이고 핵심적인 과제인 地主佃戶制의 타파는 등한시하였다는 점이다. 封建體制의 핵심인 地主佃戶制는 溫在한 채 상부구조로서의 권력구조와 하부구조로서의 流通秩序의 近代化만으로 資本主義化를 기도하였다는 것은 開化派의 身分的 性格에 말미암은 것이다. 市民階級의 미성숙으로 말미암아 일부 先進관료층과 先進的 知識人層이 開化運動의 주체로 될 수밖에 없었으며, 이들의 신분적 성격은 봉건지주였던 것이다. 이러한 한계가 결국 운동의 방향을 自己中心的이며 관념적인 쪽으로 이끌어 간 것이었다.
세번째의 한계는 그들의 政治수준이 역시 封建的인 忠君思想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물론 開化思想속에 民權伸長을 위하여 君權의 制約같은 것이 다소 있는 것 같지만 크게 보아 기조 테두리를 떠나지 못하고 있다. 그들은 國王에 대한 忠識을 한갖 政治的수단으로 여기지 않고 진심으로 숭배하고 國王이라는 존재가치를 인정함으로써 王을 中心으로 하는 中央集權的 君主制의 신봉자 노릇을 한다는 것이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近代的思想이 일부 上層elite들에게만의 思想으로만 그치게 되어 일반 民衆들에까지 침투시키지 못하였던 점이다. 그리하여 민중들은 왜 開化가 火急한 것인지 왜 近代的 改革運動을 단행하여 富國强兵을 이룩하지 않으면 안되는지를 이해하지 못하였다. 무릇 모든 思想이나 政策은 民衆化가 절실하다고 보겠다.
Ⅴ. 結 論
지금까지 개화사상의 近代 志向性을 革新的 開化派에 초점을 두고 고찰해 보았다.
개화사상은 조선조 말 봉건적 사회구조의 동요와 淸國으로부터의 多數文獻의 流入, 日本의 계몽사상가 후쿠자와 유키치로부터 새로운 문명관에 기초한 근대적 자유사상과 독립정신을 자극받는 등 외래사상의 영향과 서양의 충격에 의한 동아시아 국제질서의 변화라는 발생요인이 있지만, 內發的 思想形成의 決定的 端緖는 실학사상에 그 淵源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18세기 이후 조선조는 한계수정적인 전통체제의 補修만으로는 도저히 해결할 수 없는 사회·경제적 모순이 누적되었으며, 이것은 性理學의 空虛와 爲政者에 대한 批判과 더불어 利用厚生를 표방하는 實學을 잉태시켰다. 이 같은 발생사적 의미를 지닌 實學이 綿綿히 이어져 19세기 말 開化思想에 傳承된 것이다.
開化思想의 系派는 淸의 洋務運動을 모델로 하는 守舊的 開化派와 日本의 明治維新을 모델로 하는 革新的 開化派로 구분되며, 혁신적 개화파가 수구적 개화파에 비해 휠씬 더 近代 指向的이었다.
병자수호조약이 체결된 다음 해(1877년) 개화사사의 선구자였던 박규수가 사망한 후 개화파 사이에 근대화 모델의 지향을 두고 의견 대립이 생겨 마침내 수구적 개화파와 혁신적 개화파로 구분되었다. 수구적 개화파는 유교적 윤리질서와 전통적 사회제도는 고수하고 서양의 군사기술 및 과학기술만 수용하여 한국사회가 漸進的으로 개량되어야 한다고 보았고, 혁신적 개화파는 서양의 정치·경제·사회제도 및 윤리질서와 종교까지고 전면적으로 수용하여 急進的으로 개혁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前者는 김윤식, 어윤중, 김홍집 등 당시의 집권세력이었고, 後者는 김옥균, 박영효, 서광범 등 소장 관료그룹이었다.
김옥균을 비롯한 혁신적 개화파 인사들은 그들의 階級的 制限性과 당시 우리 나라의 社會·歷史的 條件의 制約性에서 비롯된 思想的 未成熟으로 인해 철저한 근대적 개혁을 제창하지는 못하였다. 하지만 甲申政變에 나타난 그들의 개혁이념은 일정한 제약성을 수반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보다 근대적인 국가를 지향한 先進的인 理念이었다. 개화사상을 실천운동으로 주도한 혁신적 개화파의 사상을 가치롭게 평가하는 것은 그들의 理想이 韓民族이 나아가야 될 方向을 옳게 明示하였기 때문이다. 비록 甲申政變이 일반 국민들에게 충분히 수용되지 못하고, 外勢의 歷史에 의하여 挫折되었지만 10여년 후 獨立協會의 愛國啓蒙運動으로 이어져 근대화 운동이 널리 확산되었다는 점에서 歷史的 先進性을 찾을 수 있으며 韓國 近代民族主義의 先驅的 思想體系로서 評價되어야 할 것이다.
◆參考文獻◆
1. 姜萬吉, 『고쳐 쓴 韓國近代史』, (서울 : 創作과 批評社, 1995)
2. 姜在彦, 『近代 韓國思想史 硏究』, (서울 : 한울, 1983)
3. 朴忠錫, 『韓國政治思想史』, (서울 : 三英社, 1982)
4. 白鍾基, 『韓國近代史硏究』, (서울 : 傳英社, 1985)
5. 李寬宇, 『初期開化思想硏究』, (서울 : 民族文化社, 1989)
6. 千寬宇, 『韓國의 開化思想』, (서울 : 三省出版社, 1978)
7. 崔永浩, 『甲申政變論』, 李基白 編, 『韓國史 市民講座』, 제7집, (서울 : 一潮閣, 1990)
8. 李昞林, 「개화사상의 형성에 관한 연구」, (博士學位論文, 東亞大學校 大學院, 1989)
  • 가격3,300
  • 페이지수26페이지
  • 등록일2002.07.06
  • 저작시기2002.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812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