맹자 그는 누구인가? (생애와사상)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서론
1.맹자의 생애

본론
-맹자의 교육사상
1. 유가(儒家)
2. 성선설(性善說) 교육관
3. 귀족주의적 왕도정치
4. 맹자와 순자
5. <<맹자>>에 나타난 효

결론
1. 맹자(孟子)를 마무리하며

본문내용

의 정의로만 보지 않고, 유혹이나 불의를 이겨내는 힘의 원천이라고 여긴 점이다. 옛날에 순왕이 만인을 통치 하는 자리에 있으면서도 어버이의 기쁨을 사지 못하면 사람의 도리를 다하는 것이 못된다고 여기 고, 부모 섬기는 도리를 다하여 마침내 완고한 아버지를 기쁘게 할 수 있게 되었다. 순왕의 이러 한 효도는 온 세상을 감화시켰고 부자간의 도덕이 바로 잡히게 된 것을 가리켜 맹자는 이를 大孝 라고 하였다.
유교의 이상적인 왕을 뜻하는 순왕이 요왕에게 발탁되기 전에 어느날 밭에서 일을 하다가 멈추 고 하늘을 향해 부모를 불러 소리치면서 울부짖었다는 설화가 있다. 맹자의 한 제자가 순왕이 부 모를 원망하여 운 까닭을 물었다. 그 제자는 자식된 사람은 부모로부터 사랑을 받든지 못받든지 간에 일념으로 부모를 섬기는 일만을 하면 될 것인데 왜 순왕이 부모를 원망하였는가를 물은 것 이다. 맹자는, 자식이란 자기의 책무만 다하면 그만이고 부모가 나를 사랑하느냐 않느냐를 생각할 필요가 없다고 한다면 순왕의 효심을 이해할 수 없는 셈이라고 하면서 이렇게 설명하였다. 순왕 은 부모의 환심을 사지 못하는 것을 무엇보다도 슬픈 일로 여겼다. 훌륭한 임금인 요왕의 인정을 받아 그의 아홉 아들을 신하로 삼게 되고 그의 두 딸을 아내로 맞으면서 왕위를 물려받게 된 순 왕이지만 부모의 사랑을 받을 수 없는 상태에서는 즐거움이 있을 수가 없었다. 누구에게나 최대 의 욕망인 부귀와 영화, 그리고 더 바랄 것이 없을 만큼 물질적 퓽요를 누릴 수 있었지만 순왕은 부모의 기쁨을 사지 못했기 때문에 마치 궁한 사람이 귀의할 곳이 없어 하는 것과 같았다. 천하 의 선비들이 그를 따르고자 할 때 이는 누구에게나 기쁜 일이지만 이것으로 그의 근심을 풀 수는 없었다. 여자를 좋아하는 것은 누구에게나 마찬가지이지만 요왕의 두 딸을 아내로 맞았으되 이것 으로 그의 근심을 풀 수가 없었다. 재산은 세상의 모든 사람이 원하는 것이나 온 천하의 재산을 다 차지 하였으되 이것으로 그의 근심을 풀어낼 수는 없었다. 누구나 높고 귀한 자리를 바라지만 귀하기로는 으뜸인 왕이 되었지만 그것으로 그의 근심을 풀 수는 없었다. 남들이 즐겨하는 것만 으로는 족히 근심을 풀 수 없고 오직 부모에게 기쁨을 사는 것만이 그의 근심을 풀 수 있었기 때 문이었다.
"사람은 어려서는 부모를 사모하고, 여자를 좋아 할 나이가 되면 예쁜 여자를 애모하고, 처자가 생기면 처자를 생각하고, 벼슬을 하면 임금을 받들고, 임금의 마음에 들지 못하면 온갖 열성을 다 하여 노력한다. 그러나 대효는 죽을 때까지 부모를 경모한다. 오십이 되어서도 부모를 경모한 이 를 나는 순왕에게서 보았다."
천자의 대효와 사람의 小孝는 근본적으로 같은 것으로 설명되지만 전자는 통치자의 도덕성인데 반하여 후자는 피치자의 도덕성이다. 통치자와 피치자가 하나의 도덕 원리에 의하여 인류의 질서 를 전개하려는 것이 전통적인 유교의 이상이었다.
이런 유교의 전통을 세운 맹자는 세 가지 불효가 있다고 말한다. 阿意曲從하여 부모로 하여금 불의에 빠지게 하는 것, 가정이 가난하고 어버이는 늙었음에도 불구하고 국녹을 받는 벼슬살이를 하지 않는것, 혼인하지 아니하여 자녀를 두지 않음으로써 선조의 제사를 끊어지게 하는 것인데, 이 세 가지 중에서도 가장 큰 불효가 자녀를 두지 않는 것이라고 한다. 이처럼 자녀를 두지 않는 것이 커다란 불효이기 때문에 순임금이 부모에게 허락을 받지 아니하고 혼인한 것도 자녀를 두기 위한 것이므로, 군자들은 순임금이 부모의 허락을 받은 것이나 마찬가지라고 인정한다는 것이다.
불효에 관한 서술은 離婁章句下에서 다시 계속된다. 즉 세속에서 흔히 말하는 불효에는 다섯가 지가 있으니, 그 사지를 게으르게 하여 부모 봉양하기를 돌아보지 않는 것이 하나요, 도박하고 바둑두고 술마시기를 좋아하여 부모 봉양하기를 돌아보지 않는 것이 그 둘이요, 재화를 좋아하고 처자만을 알아서 부모 봉양을 돌아보지 않는 것이 그 셋이요, 이목의 욕심에 좇아서 부모를 부끄 럽게 욕되게 하는 것이 그 넷이요, 싸움하기를 좋아하여 부모를 위태롭게 하는 것이 그 다섯이라 고 하였다. 이 다섯가지 불효에서 처음부터 세 가지는 모두 부모 봉양을 돌아보지 않는 것이고, 나머지 두 가지는 부모를 부끄럽고 욕되게 하는 것과, 부모를 위태롭게 하는 행위이다.
결론
1. 맹자(孟子)를 마무리하며
 맹자는 공자의 사상을 이어받아 그 사상을 가지고 당시(전국시대)의 제자백자들을 비판하고 유가의 사상의 뼈대를 세운 사람이다. 사람들이 공자 다음으로 꼽는 아성(두번째 성인)이라 하는 것도 이런 맥락에서이다. 제자백가중에서 맹자가 가장 배척한 것은 묵가와 양주의 사상으로서 묵가의 겸애설(고루사랑함)과 양주의 위아(자기를 위함)가 현실 생활과 부합되지 않는다는 이유에서이다. 「맹자」는 현실 생활에 바탕을 두고 기존의 질서를 긍정하면서 자신의 사상을 발전시켰는데 이것이 성선설이다. 맹자는 모두 7편 260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편명은 큰 의의가 없다.
 첫머리에 나오는 양혜왕편은 맹자가 여러 나라를 돌아다니면서 유세한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공손추편은 공손추의 고향인 제나라의 이야기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맹자」가 강력한 주장과 논리 그리고 적절한 비유로써, 온건한 표현인「논어」에 비교될 수 있는 것은 시대적 특성에 기인한 것이라고 생각된다. 공자의 시대가 춘추시대라면 맹자의 시대는 전국(戰國)시대라는 점이 그렇다. 중국의 근대화 과정에서 유교가 점점 힘을 잃어가고 있는 가운데서도 「맹자」는 「논어」와 함께 유교의 경전으로서 온고이지신(溫故而知新)의 의미와 가치가 있는 것이다.
 오늘날 동양 문화에 대한 향수가 날로 고조되어 가고 있는 현실에서 「맹자」에 대한 「논어」를 깨닫는데 도움이 되며 독서는 우리 인생에 교육적인 자양분을 제공하리라고 믿는다. 공자의 온건한 가르침보다 맹자의 날카로운 지적이 훨씬 더 받아들여지기 쉽기 때문이다. 「맹자」를 읽으면서 「논어」를 생각하면 그 참 뜻을 이해하기가 쉬워질 것이다. 그러나 「맹자」에는 「논어」의 포괄적이고도 평범한 가운데 진술된 진리가 다 표현 될 수는 없었다고 생각된다.

키워드

  • 가격8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2.08.19
  • 저작시기2002.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165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