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요상설 국악공연 참고자료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9월 14일 대려형(大呂型) 공연 참고자료!!

10월 5일 협종형(夾鐘型) 공연 참고자료..!!

본문내용

때 특별히 장구에 능한 상장구나 그 밖의 장구잽이들이 한명, 혹은 여러명이 나와 자신의 기예를 마음껏 뽐내던 것을 일컫는데 사물놀이는 이를 무대화하여 음악적으로 다시 정리하였다.
연주자들의 호흡을 한껏 끌어올려 신명을 다져나가는 '다스름', 고요한 평정의 상태에서 가락을 감고, 풀고, 몰아치는 다양한 흐름이 있는 '굿거리', 어깨춤 들썩이는 넉넉함으로 이루어내는 '덩덕궁이', 여유와 건들거림이 멋지게 조화되어 있는 '동살풀이', 불꽃처럼 격하게 타오르다가 다시 평온함으로 마무리되는 '휘모리'까지 펼쳐지는 무궁무진한 변화는 연주자들 뿐 만 아니라 보는 이들까지 무아의 경지로 휘몰아 간다.
보통 사물놀이 연주자들의 가락은 호남의 김만석선행, 전사습 선생, 영남의 조판조 선생, 그리고 남사당의 양도일 선생의 가락을 기본으로 짜여져 있고 연주자의 재량에 따라 다른 가락들이 덧붙여지곤 한다.
③ 삼도농악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는 가장 일반적인 사물놀이의 모습이 이 '삼도농악'에 담겨 있다. 각 악기의 개상과 조화가 두드러지는 이 작품은 '호남우도가락', '영남농악', 그리고 '웃다리풍물'을 토대로 짜여져 있다. 오채에서 질굿 - 굿거리 - 양산도 - 덩덕궁이에 이르는 유장한 흐름은 호남우도의 것이고, 활달하고 남성적인 별달거리, 구음 등은 영남지방의 농악에서 그 원류를 찾을 수 있으며, 자진가락에서 짝쇠로 이어지는 경쾌하면서도 화려한 연주는 바로 웃다리 농악에서 볼 수 있는 특징이다. 이와 같은 바탕위에서 쇠와 가죽이 서로 경연하며 밀고, 당기고, 모이고, 흩어지는 다채로운 연주와 절묘한 호흡을 보여주는 것이야말로 바로 '삼도농악'이 지금껏 대중의 많은 사랑을 독차지해온 이유이다. 특히 자진가락 - 짝쇠로 이어지는 격렬한 에너지의 분출은 앉은반 사물놀이의 모든 예술성이 집대성된 하나의 정점을 이루는 것이다.
④ 판굿
본래 판굿이란 대보름, 정월초하루 같은 절기에 풍물패가 집집마다 지신밟기를 하여(이것은 대개 며칠씩 계속된다) 마을의 신명을 엮어낸 다음 마지막날 온 마을 사람들과 함께 한 판의 신명나는 굿을 이루어내는 것으로 판굿에서는 음악적인 측면보다는 사람들과 함께 어울릴 수 있는 놀이성이 강조되며, 풍물의 온갖 기예와 보는 이들이 흥에 겨워 내지르는 소리, 구경꾼과 예인(藝人)이 너나없이 흐드러지게 어울리는 춤판, 이 모든 것이 하나로 모아져 한 무리의 엑스터시로 승화되는 것이다. 사물놀이의 일반적인 형태는 역시 4인의 구성과 4개의 악기이며 웃다리농악을 기본으로 하는 판제를 보여준다. 웃다리의 종이부포와 호남의 털부포가 결합된 상쇠의 부포놀음, 장고의 넘실거리는 춤과 가락, 북의 무거운 소리와 어깨춤, 징의 깊은 음과 삼도의 상모놀음을 다 섭렵하여 그를 재정리한 상모놀음으로 앙상블을 만들어냄으로써 풍물기예의 결정판과도 같은 종합예술을 선보인다.
* 참고자료 *
www.cbesr.or.kr
www.hongkgb.x-y.net/gojon/unmun/gasa/백발가
www.gayagum.co.kr/
장사훈. 『최신 국악총론』. 세광음악출판사.1985
대한민국예술원. 『한국음악사』. 대한민국예술원.1985
동아출판사백과사전부. 『동아원색세계대백과사전』. 동아출판사.1991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소 編,『한국민속대관 제5권 - 농악』, 고려대민족문화연구소, 1982
권희덕,『농악·선예굿·악기놀이』, 후반기출판사, 1981
김광언,『민속놀이』, 대원사, 1989
김기수,『국악입문』, 한국고전음악출판사, 1972
김명곤 外,『명인명창』,「김봉열,김병섭」, 동아일보사, 1984
김성배,『한국의 민속』, 집문당, 1980
김영탁,『지방문화재보호협회 총서 제1집 - 한국의 농악』, 1981
『한국의 농악』, 정진, 1981
김우현,『농악교본』, 세광음악출판사, 1984
김원룡,『한국문화사 대계』, 1964
김천흥·박헌봉·홍헌식,『호남농악』, 문화재관리국, 1965
김철준·최병헌,『사료로 본 한국 고대사』, 일지사, 1987
김택규,『한국 농경세시의 연구』, 영남대출판부, 1989
김헌선,『사물놀이란 무엇인가』, 귀인사, 1988
『풍물굿에서 사물놀이까지』, 귀인사, 1990
깃발 編,『풍물교실』, 민맥, 1990
노동은·이건용,『민족음악론』, 한길사, 1990
대한민국예술원 編,『한국음악사전』, 예술원, 1986
맹인재,『한국민속』, 양서출판사, 1979
박금애,『국악』, 교단사, 1972
박진태,『탈놀이의 기원과 구조』, 세문사, 1990
박헌봉·유기룡,『농악 12차와 가락』, 문화재관리국, 1965
사회과학원 역사연구소 編,『조선고대사』, 한마당, 1989
성병희 外,『한국민속연구 논문선(1)(2)(3)(4)』, 일조각, 1982~1986
『한국민속학의 과제와 방법』,정음사, 1986
송지영 編,『민속예술사전』, 한국문화예술진흥원, 1979
신기남,『어떻게 하면 똑똑한 제자 한놈 두고 죽을꼬』, 뿌리깊은나무사, 1981
신용하,『공동체 이론』, 문학과 지성사, 1986
신현숙,『한국불교사』, 민족사, 1986
심우성,『안성농악』, 문화재관리국, 1972
『민중문화와 민중의식』, 동문선, 1985
『남사당패 연구』, 동문선, 1989
유동식,『한국무교의 역사와 구조』, 연세대 출판부, 1989
이강렴,『음악통론』, 국민음악연구회, 1958
이건용,『한국음악의 이론과 논리』, 세광출판사, 1987
이두현,『한국의 가면극』, 일지사, 1989
이보형·유기룡,『시나위』, 문화재관리국, 1971
이성재,『재미있는 국악 길라잡이』, 서울미디어, 1994
이성천,『음악통론과 그 실제』, 음악예술사, 1971
이태진,『한국사회사』, 지식산업사, 1986
임동창(한국전통예술보존회),『사물놀이 (1)(2)(3)』, 삼호출판사, 1992~1995
장사훈,『한국음악사』, 세광출판사, 1984
『한국음악의 이해』, 서울대학교 출판부, 1989
정경태,『국악보』, 전주고등학교, 1955
정병호,『춤사위』, 한국문화예술진흥원, 1981
『농악』, 열화당, 1986
『한국의 민속춤』, 삼성출판사, 1992
조동일,『탈춤의 역사와 원리』, 홍성사, 1990
최익환,『풍물놀이 교본』, 도서출판 풍물, 1995

키워드

  • 가격2,3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2.10.09
  • 저작시기200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596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