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랜드흥미에 영향을 미치는 감정 반응 (광고반응 구매유인 광고촉진)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1. 광고에 대한 감정 반응 연구
2. 브랜드 흥미
3. 연구 문제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1. 광고에 대한 감정 반응의 구조
2. 브랜드 흥미 척도의 구조와 신뢰도
3. 감정 반응과 브랜드 흥미의 관계

Ⅴ. 결론 및 논의
소비자의 감정 반응과 브랜드 흥미의 관계
광고 제작에의 시사점
연구 한계점
참 고 문 헌

본문내용

로 고려하지 못했다는 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상표 친숙도와 광고 친숙도가 모두 높거나 모두 낮은 경우를 비교하였는데, 상표 친숙도와 광고 친숙도의 영향은 서로 다른 양상을 띌 수 있다. 예를 들어, 소비자가 비록 특정 상표에 대해 매우 친숙하다 할지라도 광고 친숙도의 정도가 매우 낮아 거의 처음 광고를 본다고 가정하면 '독특성' 감정은 브랜드 흥미에 매우 강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친숙도의 조절 효과를 제대로 검증하고 광고 제작에 실제적인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많은 수의 광고와 상표를 대상으로 친숙도 수준을 점검하여 상표 친숙도와 광고 친숙도를 분류하고 이들 각각의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참 고 문 헌
김완석 (1990). 광고가 유발한 감정과 광고 효과 : 광고에 대한 태도와 감정 반응 연구 에 대한 개관. 광고연구, 7(여름), 67-105.
김완석 (1991). 광고 호소 유영과 소비자 특성이 광고 효과에 미치는 영향. 고려 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 논문.
성내경 (1991). SAS/STAT-회귀분석. 서울 : 자유아카데미.
성영신과 박은아 (1995) 광고에 대한 감정의 유형화 : 유발된 감정과 느낀 감정. 광고학연구, 6(2), 8-47.
Batra, R. & Holbrook, M. B. (1988). Toward a Standardized Emotional Profile Useful in Measuring Response to Nonverbal Components of Advertising. Nonverbal Communication in Advertising, Lexington Books.
Batra, R. & Ray, M. C. (1986). Affective Responses Mediating Acceptance of Advertising.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3, 234-249.
Berlyne, D. E. (1960). Conflict, Arousal, and Curiosity. New York : McGraw Hill.
Burke, M. C. & Edell J. A. (1987). The Power of Feelings in Understanding Advertising Effect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4, 421-433.
Burke, M. C. & Edell J. A. (1989). The Impact of Feelings on Ad-Based Affect and Cognition.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26, 69-83.
Holbrook, M. B. & Batra, R. (1987) Assesing the Role of Mediators of Consumer Response to Advertising.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4, 404-420.
Izard Carrol E. (1977). Human Emotions. New York : Plenum.
Liu, S. S. & Stout, P. A. (1987). Effects of Message Modality Appeal in Advertising Acceptance. Psychology and marketing, 4, 167-187.
MacKenzie, S. B., Lutz, R. J. & Belch, G. E. (1983). Attitude Toward the Ad as a MediatorAdvertising Effectiveness : Determinants and Consequences.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10, 532-539.
Machleit, Karen A., Thomas J. Madden & Chris T. Allen (1990). Measuring and Modeling Brand Interest as an Alternative Aad
Effect with Familiar Brand.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17, 223-230.
Machleit, Karen A., Thomas J. Madden & Chris T. Allen (1995). The Mature Brand and Brand Interest : An Alternative Consequences of Ad-Evoked Affect. Journal of Marketing, 57, 73-82.
Maloney, John C. (1990). Consumer Psychology's Potential Contribution to Social Science. Emotion in Advertising, Westport, CT : Quorum Books.
Mitchell, A. A. (1986). The Effect of Verbal and Visual Components of Advertisements on Brand Attitude and Attitude Toward the Advertisement.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3, 12-24.
Pluchik, Robert. (1980). Emotion : A Psychoevolutionary Synthesis.
Russel, James A. (1980). A Circumplex Model of Affec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9, 1161-1176.
Stayman, N. & Aaker, D. A. (1988). Are the All the Effects of Ad-Induced Feelings Mediated by Aad
?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5, 368-373.
Stout, P. A. & Leckenby, J. (1986). Measuring Emotional Response to Advertising. Journal of Advertising, 15, 35-42.

추천자료

  • 가격2,3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02.10.16
  • 저작시기200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667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