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계획제도 연구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 86
  • 87
  • 88
  • 89
  • 90
  • 91
  • 92
  • 93
  • 94
  • 95
  • 96
  • 97
  • 98
  • 99
  • 100
  • 101
  • 102
  • 103
  • 104
  • 105
  • 106
  • 107
  • 108
  • 109
  • 110
  • 111
  • 112
  • 113
  • 114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 론
제 1 절 연구의 목적 및 의의
제 2 절 연구 범위 및 방법

Ⅱ. 광역도시계획에 대한 이론적 논의
제 1 절 지역협력계획으로서의 광역도시계획
제 2 절 전략계획으로서의 광역도시계획
제 3 절 지속가능한(sustainable) 개발과 광역도시계획
제 4 절 성장관리(growth management)로서의 광역도시 계획

Ⅲ. 우리나라의 현행 광역도시계획제도에 대한 분석
제 1 절 제도 도입의 배경
제 2 절 추진체계 및 계획의 성격
1. 계획체계상의 지위 및 성격
2. 수립 주체 및 절차의 적절성
3. 계획의 범위
제 3 절 계획내용의 포괄성
제 4 절 조정기제의 실효성
제 5 절 유사법령과의 연관성 : 도시기본계획, 도시계획, 수도권 정비계획 등

Ⅳ. 광역도시계획제도의 사례분석
제 1 절 해외사례 분석
1. 포틀랜드 도시권
2. 런던 대도시권
3. 토론토 대도시권
4. 해외사례의 평가
제 2 절 광역도시계획 사례분석 : 수도권을 중심으로
1. 협력계획 관점에서의 광역도시계획제도에 대한 평가
2. 전략계획으로서의 광역도시계획에 대한 평가
3. 지속가능한 개발의 관점에서 본 광역도시계획의 평가
4. 성장관리 수단으로서의 광역도시계획에 대한 평가

Ⅴ. 결 론

본문내용

던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지적에도 불구하고,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이 계획은 우리의 도시 계획제도에서 중요한 시금석으로 남을 것이며, 현실적으로 대도시들을 비롯한 여러 자치단체의 미래를 결정하는 중요한 기준이 될 수밖에 없다는 것은 분명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언급되었던 여러 가지 점들이 앞으로 이루어질 도시계획제도의 수립과 제도의 변경에 반영되어 보다 발전적인 계획제도의 형성에 일조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1. 국내문헌
건설교통부 (2001), "광역도시계획수립지침" 건설교통부.
경기개발연구원(2001), 「광역도시계획 수립에 따른 수도권정비계획의 위상재정립 및 개선방안 연구」, 경기개발연구원.
국토연구원,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2000), "국토이용 계획체계 개선에 관한 정책 토론회 "
권오혁 외(1998), "산업경쟁력 강화를 위한 도시간 협력체제 구축방안" 「한국지방행정연구원」
권용우(2000), "광역도시계획 수립의 필요성과 방향" 「도시문제; 대한지방행정공제회」
김문현 외, (2000) "광역도시계획의 수립절차와 수도권의 공간구조 진단" 「광역도시계획과 관리에 대한 국제비교연구」 국토연구원.
김용운, 차미숙 (1997), "국토개발분야에서 중앙과 지방의 기능배분 실태와 배분방안-도시 및 지역개발분야를 중심으로-" 「도시문제」 1997. 2.
김용운 외(1993), "지방화시대에 대비한 지역계획제도 개선방안연구" 국토개발연구원.
김재국 (2000), "광주권의 광역도시계획 과제와 방향," 「도시문제」 2000. 6.
김천영(1991), "정부간 협력관계의 모형정립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김철수 (2000), "대구권의 광역도시계획 과제와 방향," 「도시문제」 2000. 6.
김현식 외(1998), "대도시권 계획과 효율적 관리방안 연구" 국토개발연구원.
박무익 (1999), "도시계획법의 개정내용 및 향후대책," 「도시문제」, 1999. 4.
박수혁 (1998), "都市計劃法의 문제점과 개정방향", 「토지공법연구 제 6집」
박우서(1988), "광역행정과 지역개발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논집 제19집, 연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1988,
박재길 외 (1999), 「광역도시계획 수립방안연구」, 국토연구원.
신대순 (2001), "우리 나라 도시계획의 체계와 수립절차에 관한 연구," 「경희행정논총 14」
안용식.김천영(1995), "지방정부간 협력관계론"「 대영출판사」
안태환 (1996), "전략계획의 관점에서 본 한국도시계획체제의 문제점과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환경계획학과 행정학 박사학위논문」.
오덕성 (2000), "대전권의 광역도시계획 과제와 방향," 「도시문제」 2000. 6.
윤철현 (2000), "부산권의 광역도시계획 과제와 방향," 「도시문제」 2000. 6.
이덕복 (2001), "우리 나라 도시정책의 성장관리 이슈와 방향," 「21세기 한국지역개발의 방향」, 한국지역개발학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이동우(1999), "외국의 광역계획 수립사례조사" 국토개발연구원.
이동현 (1999), "광역도시권 계획과 과제," 「시정연구 11권」.
이승일 (2000), "지속가능한 개발과 도시계획법 개정", 「국토연구」, 국토연구원.
이우종 (1996), "경기도 도시계획의 실태와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경기연구 제1권」.
이재원(1995), "지방공공서비스 공급의 광역화에 관한 연구: 청주권 광역서비스에 대한 재정분석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이태일(1997), "세계 각국의 도시계획규제 동향과 그 시사점"「도시문제; 대한지방행정공제회」
정순오 (2001), "21세기 지속가능한 지역개발의 방향: 「지속가능한 개발」이념의 실천논의 와 그 전망," 「21세기 한국지역개발의 방향」, 한국지역개발학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조용준 (1998), "지방자치시대 도시계획과 도시개발의 과제와 전망", 「정책과 지역발전」
진영환·김동주(2000), "한국의 광역도시계획과 관리," 「광역도시계획과 관리에 대한 국제비교연구」 국토개발연구원.
차미숙 (1998), 「지역협력계획방안 도입 연구」, 국토연구원.
최막중 (2000), "국토이용 계획체제의 문제점과 발전방향", 「국토이용계획체제 개선에 관한 정책토론회 발표논문」, 국토연구원.
최상철 (2000), "광역도시계획에 대한 외국의 최근 동향과 교훈," 「광역도시계획과 관리에 대한 국제비교연구」 국토개발연구원.
한상훈·김호철 (2000), "광역도시계획의 기능 및 역할에 대한 연구," 「대구경북포럼」 2000.12
한표환(1996), "공공시설의 공동설치 및 관리방안" 「한국지방행정연구원」
______(1997), "광역개발사업의 효율적 추진을 위한 자치단체간 협력방안"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 해외문헌
Bailey, N. et. al., Partnership Agencies in British Urban Policy, UCL Press, 1995.
Bryson, John M. (1981), "A perspective on planning and crises in the public sector,"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Vol. 2.
Healey, P. et.al.(ed), Managing Cities: The New Urban Context, John Wiley & Sons, 1995.
Healey, P., Collaborative Planning: Shaping Places in Fragmented Societies, Macmillan Press, 1997.
Sorkin, D. L. et.al. (1984), Strategy for Cities and Counties: A Strategic Planning Guide, Public Technology Inc.: Washington D. C.
The Cascadia Institute and the Discovery Institute, Cascadia Metropolitan Forum Data Book, Seattle Books, W.A. 5, 1996.

추천자료

  • 가격3,300
  • 페이지수114페이지
  • 등록일2002.10.16
  • 저작시기200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669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