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역사학계의역사인식비교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개화사상 - 문명개화론
1. 문명개화론의 성립과 구조
⑴ 문명개화론 구조
⑵ 임오군란이후 국내정세
2. 개화의 대립 - 동도서기
⑴ 문명개화론자들과 동도서기론자들의 경쟁
⑵ 갑신정변의 준비와 경과(삼일천하)
⑶ 갑신정변의 실패원인
⑷ 갑신정변의 역사적 지향

Ⅲ. 갑신정변에 대한 남북역사학계의 평가
1. 남한역사학계의 평가
2. 북한역사학계의 평가

Ⅳ. 맺음말

본문내용

오히려 개화파는 일본의 일관성없는, 그러면서도 조선내에 자기세력을 부식하기 위해 개화파를 이용하려 한 일본의 정책에 이용당한 것은 아닐까. 셋째, 흔히 갑신정변은 조숙한 부르조아혁명이었다고 평가된다. 즉 갑신정변은 아직 개화파를 지지해줄만한 사회세력이 충분히 갖추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너무 일찍 일어난 것이 아닌가 하는 지적들인 것이다. 실제 1882년 이후 각종 개화서적의 보급으로 일부 유생들 가운데 동도서기론자들이 등장하기 시작했지만, 아직 지식인들 사이에서도 개화파를 지지해줄만한 세력은 형성되어 있지 않았다. 하 설립 등물며 일반 민중들 사이에서는 말할 것도 없었다. 만약 개화파가 정변을 일으키는 대신 신문, 잡지의 발행, 근대적 학교의을 통해 지식인과 민중의 계몽운동에 먼저 손을 댔다면 어찌 되었을까. 계몽운동이 본격적으로 시작된 것은 1905년 이후였는데, 개화파가 이를 1880년대 중반에 시작했다면 한국 근대사의 양상은 상당히 달라지지 않았을까. 이런 점을 생각할 때 북한 역사학계가 갑신정변을 시의 적절한 것이었다고 평가하는 것은 재고의 여지가 있다.
Ⅳ. 맺음말
갑신정변은 지주·상인자본을 물적토대로 자본주의로의 이행에서 봉건지주가 부르조아로 전환하는 '위로부터의 개혁'을 추구했다. 그러므로 이들은 민중과 긴밀한 연대를 가질 수 없었고 개혁내용에서도 일부 반민중적 요소가 드러나고 있었던 것이다. 더구나 민족적 모순이 첨예하게 대두되던 시기에 반외세투쟁이라는 역사적 과제를 철저히 수행하지 못한 개화운동은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었다.
이 같은 한계는 당연히 비판대상이 되어야 하나 그 자체가 근대사회로의 이행이라는 역사발전의 과정을 반영하는 운동의 한 형태였다는 사실도 부인할 수 없다. 어쨌든 갑신정변은그 역사적 시기로 보아 대체로 일본의 명치유신과 청국의 변법운동이 중간적 시기에 위치하는 근대 한국의 부르조아 당시의 명치유신의 사상이나 19세기 말의 청국에서의 변법사상에 견주어 볼 때, 결코 손색이 없는 입헌적 군주정체의 형성을 목표로 한 혁신사상이였다. 따라서 이 정변을 친일, 친청 세력간의 충돌로 보는 기계적인 견해가 잘못된 것임은 말할 나위가 없다.
세계사에서도 위로부터 자본주의로의 길을 간 국가들의 변혁이 성숙한 부르조아적 토대에 근거했다기보다 부르조아적 변혁의 지향을 가진 선진적 개혁세력에 의해 주도되었던 점을 감안하면 개화운동의 부르조아적 개혁 역시 그 한계의 지적과 함께 역사적 의의에 대해서도 적극적 평가가 있어야 한다고 본다.
참고 문헌
강대민, 『한국근현대사의 해석』, 경성대출판부, 1992.2.20
임성렬, 『한국근대 개화사상과 개화운동』, 신서원, 1998.5.28
사회과학원역사연구소 박사 이종현, 북한학술서『근대조선역사』, 일송정, 1988.11.1
정용옥· 도진순외, 『남북한역사인식비교강의』,일송정, 1989
안병우·도진순외, 『북한의 한국사 인식』2, 한길사, 1990
강만길, 『고쳐쓴 한국근대사』, 창작과 비평사, 역사연구소
서울대학교 교수 한영우, 『다시찾는 우리역사』, 경세원, 2001.4.1
  • 가격1,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2.10.21
  • 저작시기200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756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