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사상사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동양사상의 이해


1. 머리말
2. 性과 情에 대한 기존의 해석
순자는 性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정의하였다:
3. 도덕정서의 발견
4. 윤리적 정서의 개념규정, 그리고 그 기능과 성격-맹자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5. 기존 해석과의 모순점 해소
6. 맺음말
참 고 문 헌



제 1 장 공자의 교육사상
제 2 장 맹자의 교육 사상
제 3 장 주자의 교육사상

본문내용

에 잠기기보다는 배워서 실천으로 옮겨야 한다는 점을 강조함
·누구든지 마음의 작용으로 생각하고 깨닫는 과정이 있고 환경과의 관계에서 좋은 습관을 길러야만 선의 경지에 나아갈 수 있다.
·완전한 예는 마치 훌륭한 음악이 천지와 동화하는 것과 같이 천지와 조화를 이룬다고 말함
제 3 장 주자의 교육사상
1 신유학의 형성
1. 한나라의 유학
·진나라 때 법치주의가 실시 --> 유가가 반대하고 예에 의한 통치를 할 것을 촉구
·한나라 때 동중서가 유가사상을 한나라의 통치이념으로 삼고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는데 지도력을 발휘
·한나라에 유학은 관학으로서의 우위성을 확보하였고 유학을 중심으로 관리의 등용을 위한 시험이 유학을 중심으로 치뤄졌으나 다른 사상을 배타하지는 않음
-> 다른 여러 학파와 통합하여 '대통일의 도'를 달성하고자 함
·경전을 연구하는 경학이 크게 융성하였다.
·경학은 비교 연구의 방법을 채택하게 되었고 종합적인 해석을 가하려는 노력이 있었음
·유흠은 9개의 경전으로 확립
2. 수, 당의 유학
·불교의 융성으로 크게 발전하지는 못함
·불교 배척론과 불교 수용론이 일어남
·한유와 이고의 영향으로 유학이 다시 형성됨 --> 도가의 도피적 태도가 문제 해결을 해주지 못한 것이 원인
3. 송나라의 유학
·우주 만물이 생성하고 변화하는 근원과 과정의 원리를 밝히는 것에 관심이 있었음
--> 도가의 음양학적 해석에 영향을 받음
·주돈이의 우주론 : 태극이 음양을 낳고 음양은 이때에 음과 양의 변화 결합으로 5행이 생긴다
--> 주돈이는 '주역'에서 음양의 묘합, '중용'에서 우주의 생성과 조화를 인류 도덕의 기본으로 규정
·소옹의 우주론 : 태극이 양의 (음과 양)을 낳고 양의는 사상을 낳고 사상은 팔괘를 낳는다. --> 양의가 우주의 근원적 원리라면 사상, 팔괘는 그것이 작용하는 방식
·장재의 우주론 : 태극은 '기'이상의 어떤 것도 아니다. 그것은 만물을 생성하는 왕성한 기운의 모양을 하면서 운동을 하는 힘의 시초가 된다.
·주돈이, 소옹, 장재의 노력으로 신유학 형성 : 정호, 정이 두 형제가 시초
2 이학적 교육관
1. 주희의 이와 기
·이 : 비물질적인 것, 형상, 조직 구성의 원리 - 보편적 우주로서의 형상도 포함
·기 : 물질의 전반,
2. 아리스토텔레스와 주희의 기와 이의 개념차이
·아리스토텔레스에 의하면 형상은 사물에 실체를 제공하는 원인이 되지만 주희의 이는 기를 생성시키는 동인이 아니다. --> 이 부분에서는 주희가 다소 일관성을 잃고 있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질료는 형상을 채우고 있는 물질적인 요소를 의미하지만 이러한 의미의 질료는 주희의 경우에 기 한가지 뿐
·아리스토텔레스는 육체의 형상은 영혼이라고 하였으나 주희으 이는 영혼에 대해 시사하는 바가 없다.
3. 태극과 이와 기
·주희는 만물에 통합된 본체가 바로 하나의 태극이고 각기의 사물은 하나의 태극을 가지고 있다고 하였다.
·도는 개별현상으로 귀결될 수는 없지만 동시에 구체적 대상밖에 존재하는 것이라고 할 수도 없는 것으로 설명하면서 사물과 도를 구분하고 그 사물이 존재하도록 하는 원인이 도라고 하였다.
·사람과 만물은 태어날 때 이를 타고나며 그것으로 인하여 성(性)울 부여받고, 또한 기를 타고나서 그것으로 인하여 형(形)을 지니게 된다.
·하나의 이인 태극으로부터 구체적 사물에 주어진 이는 바로 그 개체의 성(性)이다.
4. 본연지성과 기질지성
·본연지성은 일종의 논리적 상징으로서 선악에 구별을 할 수 없다.
·기질지성은 개체적 실재와 더불어 사실상으로 존재하고 선악에 구별을 할 수 있다.
·성(性)은 그 본연의 것으로 말하면 순수한 이를 의미하고 기가 작용하지 않는 상태를 의미하지만 그것이 인간의 마음속에 있으면 기가 작용을 한다.
3 대학의 이해
1. 대학의 의미
·교육기관, 교육 수준의 명칭으로 사용
·학문의 수준 - 대인의 학문
·사서 중의 하나
2. 대학의 구성
·경문과 전문 두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희가 빠진 부분을 다시 배열하고 바로잡고 보충하고 주를 새롭게 달았다.
·삼강령과 팔조목 하나하나에 해석을 붙인 열 한 개의 장이 있다. - 본래 격물과 치지에 대한 내용은 없으나 주희가 새로 달음
·세 가지 궁극적인 목표 즉 명덕을 밝히는 일, 백성을 새롭게 하는 일, 최선의 경지에 이르는 일 가운데 첫째는 수기의 이념, 두 번째 것은 치인의 이념, 세 번째 것은 최고의 포괄적 이념이다.
·격물, 치지, 성의, 정심, 수신은 수기의 단계적 과제, 제가, 치국, 평천하는 치인의 단계적 과제
·궁리(窮理) 가 없는 이유 : 주희는 격물에 힘쓰다 보면 보편적 원리인 이가 있으므로 이를 잘 캐면 끝까지 도달할 수 이싼고 하여 궁리의 길에 이르는 길을 소개
4 주자학과 양명학
1. 주자학과 양명학
·왕수인은 육구연의 사상을 이어 (육구연은 고서에서 우주를 읽고 우주의 개념을 파악) 대인이라는 개념을 설정
·육구연 왕수인도 주자학에서와 마찬가지로 자연으로부터 그대로 받은 바를 性이라고 하였다.
·왕수인은 대학에서 명덕을 밝힌다는 것은 천지만물 일체의 본연을 회복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생각하였다. 또한 신민의 개념은 친민(親民)이라하여 마음을 회복하려는 실천적 노력으로서 백성을 가까이 함을 의미한다고 보았다.
·수신은 자신의 양지를 실천하고 옮기는 것을 뜻했으며 격물치지의 경우에는 주자학에서는 '선지후행(先知後行)'의 개념으로 파악하였으나 왕수인은 '지행합일(知行合一)의 개념으로 파악
·주자학이 실재론적 학문이라면 양명학은 관념론적 --> 그대로가 관념으로 존재하고 마음 안에 있지 않는 것은 존재하지 않는다.
2. 왕수인의 심학
·우리가 우주와 세계에 관해서 말한다는 것은 마음 안에 있는 것 이상의 어떤 것을 말하는 것이 아니다.
·우리의 마음은 피동적 사물의 실재로부터 오는 특성들을 수용하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우리의 마음은 활동하는 마음이며, 신체와 분리되어 신체를 지휘하는 마음이 아니라 신체와 함께 작용하며, 실천의 과정에 있다.
·마음에 내재하는 것의 인식만으로 세계를 이해한다면, 우리의 마음은 그 자체로서 '작은 세계'이며 또한 그 세계는 '큰 세계'를 대표해야 한다.

키워드

,  
  • 가격1,500
  • 페이지수36페이지
  • 등록일2002.11.27
  • 저작시기2002.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1335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