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화연} 연구현황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경화연

본문내용

약간의 연구가 진행되었다. 여기서는 자료의 한계로 몇 편만을 소개하는 데 그친다. 먼저 영문을 보면 임어당은 Feminist Thought in Ancient China'( T'ien Hsia Monthly , 1935)에서 『경화연』을 중국 최초의 남녀평등을 주장한 소설이라 보았다. Yu Wang-Luen은 Knowledge of Mathematics and Science in Ching-hua-yuan'( Oriens Extremus 21, 1974)에서 소설 중에 묘사된 많은 흥미있는 수학유희와 수수께끼를 탐토하였고 이여진을 수학에 정통한 사람이라고 여겼다. 姜台芬의 The Allegorical Quest: The Problem of Meaning in The Pilgrim's Progress and Ching Hua Yuan"에서는 『경화연』과 『천로역정』의 우언적 요소를 탐색하였다. 그는 『경화연』을 언어소설로 간주하고 40여개 해외이국에서 나타난 유학자와 여성인물들의 모습을 언어적 측면에서 분석하였고, 『경화연』의 緣을 불교와 연관시켜 설명하고 있다.
) 姜台芬, The Allegorical Quest: The Problem of Meaning in The Pilgrim's Progress and Ching Hua Yuan", 國立臺灣大學校 外國語文學硏究所 博士學位論文, 1989, 180-231쪽.
러시아의 斯科羅包加托娃는 세 편
) 斯科羅包加托娃의 논문은 「李汝珍長篇小說『鏡花緣』中對若干儒家敎條的批判」(『遠東文學硏究的理論問題』, 莫斯科, 1970), 「李汝珍小說與斯威夫特小說實例比較」(『遠東文學硏究的理論問題』, 莫斯科, 1972), 「李汝珍小說中的中國與其他民族」(『遠東文學硏究的理論問題』, 莫斯科, 1977) 등이다.
의 문장을 발표하여 『경화연』과 『걸리버여행기』의 내용과 예술풍격이 유사함을 주장하였으며, 『경화연』 중의 해외이국에 대한 묘사와 중국사회와의 관계를 연구했다. 日文 역시 5편
) 倉田淳之助, 「新鏡花緣的故事」, 『學藝』四~七, 1947
小原一雄, 「小說鏡花緣所具有的特点--特別以婦女問題爲中心」, 『松山商大論集』 17-3, 1966
太田辰夫, 「鏡花緣考」, 『東方學』48輯, 1974
駒林麻理子, 「鏡花緣--婦女問題與女性」, 『東海大學紀要』7號, 1976
湯淺幸孫, 「對于鏡花緣的記錄」, 『說林』第3卷 第8, 9號, 1951
내외의 문장이 발표되었는데, 太田辰夫는 「鏡花緣考」에서 북경어 문법 특점과의 비교와 해주지역 방언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국내의 연구는 총 9편의 논문이 있다. 何正玉의 『경화연연구』(성균관대학교 박사논문, 1983년)는 이여진의 생애와 그의 저작, 『경화연』의 시대배경, 『경화연』의 書誌的 문제, 『경화연』의 소설적 구조, 『경화연』의 주제와 내용, 『경화연』에 표현된 儒道釋 사상 등 비교적 폭넓게 다루었으나, 대부분 대만자료를 참고하였고 현실을 반영한 풍자예술과 근대성 등 이여진의 창작정신을 심층적으로 분석해내지는 못했다. 李甲男의 『경화연의 주제의식과 풍자예술』(영남대학교 석사논문, 1993년)과 文惠貞의 『경화연에 나타난 여권의식 연구』(숙명여자대학교 석사논문, 1993년)는 해당 부분에 대해 비교적 깊이 있는 연구가 이루어졌다고 볼 수 있으나, 신화를 운용 현실을 반영한 낭만적 풍격의 현실풍자소설이라는 점을 파악하기엔 미흡하다. 그러나 이갑남의 풍자수법 분석은 국내외의 연구 중 처음 시도하는 것으로 의의가 크다하겠다. 이외 단편논문 6편이 있는데, 이들 중 하정옥의 「이여진의 생평과 저작」(1983년), 「경화연연구사」(1983년), 「경화연의 소설적 구조」(1983년), 「경화연에 반영된 儒道釋 사상」(1984년), 「경화연의 주제와 내용」(1985년) 등 5편은 대부분 그의 박사학위 논문과 중복되는 것이다. 丁奎福의 「第一奇諺에 대하여」(1984년)는 조선조 洪羲福의 『경화연』 한역본인 『第一奇諺』에 대한 소개논문이라 할 수 있다. 이 논문은 원작 『경화연』의 개황, 『제일기언』의 書誌的 사항, 홍희복의 생평과 소설관, 번역동기 및 방법, 『제일기언』의 국어사적 의의 등을 다루고 있다.
(4)
이상 시대순에 따라 기존의 『경화연』 연구 과정을 검토했을 때 드러나는 특징은, 기존 연구는 주로 작품에 대한 고증과 주제사상·인물·구조 등에 관한 분석 외에도 다른 작품과의 비교, 어학 방면 등 문학외적 연구 등 다양하게 전개되었다는 점이다.
) 참고로 이를 편수로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고증방면의 연구로 작가와 판본의 연구가 30편 내외, 작품 내적연구로 주제 및 사상 관련 연구 25편 내외, 인물연구 2편, 『유림외사』.『홍루몽』.『걸리버여행기』 등과의 비교연구 10편 내외, 구조연구 2편 등이 있으며, 어학방면의 연구로 방언연구 4편과 경화연에 보인 음운학연구 1편이 있으며, 작품외적인 연구에는 경화연에 나타난 해주지역 풍속연구 4편, 의약방면의 연구 2편 등이다. 또한 내용전반에 걸친 종합적인 연구가 20편 내외, 기타 20편 내외 등이다. 이 가운데에는 석사학위논문 3편과 박사학위논문 2편이 포함되어 있다.
특히, 『경화연』의 소설 갈래 규정에 관한 시각의 경우, 초창기에는 호적의 '부녀문제를 토론한 소설'이라는 견해와 노신의 '자신의 才學을 드러내려는 소설'이라는 견해가 주도적이었으나, 1949년 이후 점차 『경화연』은 반봉건사상을 내포하고 있고 사회의 각종 불합리한 현실을 반영한 풍자소설이라는 점이 강조되었다. 또한 『경화연』은 근대의 전야에 『금병매』.『유림외사』.『홍루몽』 등을 이어 받아 후대의 소설에 영향을 주었음을 인식하고 있다.
이상에서 검토한 결과를 종합하면, 중국의 십대소설의 하나로 꼽히는 『경화연』은 여타소설의 연구활동에 비하면 아직 미미한 수준이며, 특히 작품 내적연구인 인물연구와 구조연구가 극히 미약함을 알 수 있다. 또한 『경화연』을 풍자소설로 분류한 논자가 많았음에도 불구하고 풍자수법에 대한 밀도있는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고, 근대문학의 직전 작품임에도 단편적인 언급외에는 이와의 연계성을 조명한 논문은 많지 않으니 향후 이에 대한 보완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o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27페이지
  • 등록일2003.01.02
  • 저작시기2003.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1736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