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경 - 수원성 화성 성곽 조경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차 례-------

Ⅰ. 서론……………………………2

Ⅱ. 본론……………………………2

1. 한국의 전통조경……………………2
가. 한국조경의 특성-------------------2
나. 한국의 성곽-------------------------4
다. 한국의 정자-----------------------5
(1)정자의 역사---------------------------5
(가)정자의 의미
(나)정자의 시작
(2)정자의 기능----------------------5
(3)정자의 배치와 조경--------------------6
(가)배치
(나)조경

2. 수원 화성…………………………… 6
가. 화성의 성벽------------------------ 8
나. 화홍문--------------------------- 11
다. 용연과 방화수류정----------13

Ⅲ. 결론……………………………16

***참고문헌***……………………………17

------------------------

자료소개 : 집적찍은 사진이 무척 많이 포함되어 있고 그에 대한 설명을 자세히 서술해 놓았습니다.

좋은 결과 있으시길 바랍니다.

참~~ 다운로드하시고 꼭 자료평가 좋은 점수 부탁드립니다.

본문내용

용머리등의 초화류가 군락을 이루고 자라고 있는데 조경용으로 심었는지 자생하고 있는지는 알 수 없다.
용연에서 북암문을 통해 방화수류정으로 올라갈 수 있다.
북암문에서 방화수류정의 사이에는 베나무, 단풍나무, 수수꽃다리 등의 수목이 식재되어 있다. 수목의 흉고직경이나 수고로 보아 아주 오래전에 식재된 것으로 보인다.
그림 . 방화수류정
그림 . 용연에서 본 각루
방화수류정은 수원성의 동북각루인데 이 이름은 송대의 정명도의 시 "雲淡風經午天, 語花柳過前天"에서 따 왔다고 한다.
화홍문에서 성벽을 따라 동쪽으로 백여미터 거리의 성위에 있으며, 성 밖은 낭떠러지이고 그 밑으로 인공으로 연못을 파고 둥근 섬을 만든 용연이 있다.
중층 누각이며 땅에서 다섯 계단을 오르면 방형의 대가 형성되고 다시 다섯 계단을 오르면 누마루가 된다. 평면은 아자형이며 전면이 凸형으로 튀어나와 사방을 바라볼 수 있다. 아래층에는 전돌을 쌓은 홍예문이 있으며, 전쟁에 대비하여 전면에 총구를 몇 개 뚫어놓았다.
난간은 건물과 평행으로 계자난간을 둘렀고 북쪽에만 평난간을 둘렀다. 계자난간은 윗부분에 하엽을 두르고, 아래에는 구름무늬를 두어 채색하였다. 성의 망루로 전시용 건물이지만 정자의 기능을 더하여, 격리된 장소에서 밑의 연못과 더불어 특이한 공간구성을 하고 있으며 건물에 곱게 단청을 입혀 아름답다.
기능에 적합한 평면과 다양한 지붕의 조형은 비원의 부용정과 더불어 아름다운 정자로 뽑힌다고 한다.
이 지형은 전략상으로도 중요하고 경관도 빼어나다 화성성역의궤에 의하면 다음과 같이 서술한다.
"광교산의 한쪽 기슭이 남으로 뻗어 내려 선암산이 되었고 다시 서쪽으로 감돌아 수리를 내려가 용두에서 그치고 북쪽을 향하여 활짝 열렸다. 용두란 것은 용연 위에 불쑥 솟은 바위이다. 성이 이곳에 이르러 산과 들이 어울리게 되고, 물이 모여 아래로 흘러 대천에 이르게 되었으니 여기야말로 실지로 동북 모퉁이의 요해처이면서 장안문을 안에 안고 화홍문과 이어져 쇠뿔처럼 마주 서서 일면을 제압하고 있다."
용연과 방화수류정은 전통적인 누원의 예로 진주의 촉석루와 남원의 광한루와 같이 뽑히는데 누원(樓苑)의 조경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누(樓)란 기둥이 층 받침이 되어 청(廳)이 높이 된 다락집을 말한다. 누의 기능은 휴식하거나 연회나 시회도 하고 문루나 망루, 포루처럼 감시하거나 조망하는 군사 시설의 기능도 했다. 누를 분류해 보면 왕궁 안에 있는 문루나 경복궁의 경회루, 창덕궁의 주합루등이 있고 지방 관청에서 세운 남원 광한루(廣寒樓), 삼척 죽서루(竹西樓), 밀양 영남루(嶺南樓), 제천 한벽루(寒碧樓), 정읍 피향정, 강릉 경포대, 안동 영호루(映湖樓), 평양 부벽루(浮碧樓), 성천 강선루(降仙樓), 강계 인풍루(仁風樓), 안변 가학루(駕鶴樓)등이 있다. 그리고 성에 소속된 누로 진주성 촉석루(矗石樓)와 진남루(鎭南樓), 공주 공산성 공북루(拱北樓), 종성 수항루(受降樓)등이 있다. 사찰의 누로서 불국사 범영루, 선암사의 강선루(降仙樓), 선운사의 만세루(萬歲樓)등이 있다.
방화수류정은 누각식 건물이므로 2층의 구조를 이룬다. 상층은 마루바닥을 높게 올려 사방을 잘 조망할 수 있도록 꾸미고 그렇게 하기위해서 하층도 거의 사람 키높이 만큼의 기둥높이를 갖추고 있다. 이 하층의 벽면은 목조기둥을 세우고 2층바닥을 짜기위한 마루 장선이 기둥을 연결하는 전형적인 누각식 구조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하층의 기둥과 기둥사이 벽체에서 이 건물은 종전의 건물에서 구사하지 않은 새로운 방법을 도입하고 있다. 즉 기둥과 기둥사이 벽면을 전체 벽돌로 채우는 수법이다.
방화수류정은 몇 가지 건축적으로 뛰어난 점들을 갖고 있다. 우선 용연바로 곁의 절벽위라는 지형조건을 최대한 살린 점이 하나이며 평면의 형상을 단순히 네모진 것으로 하지 않고 정자에 올라서면 삼면의 경관을 제각기의 자리에서 음미할 수 있도록 변화시킨 점이 둘이며 목조의 누각식 건물에 벽돌재료를 적절히 살려 돌과 나무 그리고 벽돌의 세가지 재료가 서로서로 알맞은 조화를 이루도록 한점이 셋이다. 여기에 더하여 변화있는 바닥평면 덕분에 생긴 지붕의 형상이 또한 일품이다. 새날개가 겹겹이 겹쳐진 듯한 모습의 날아갈 듯한 지붕의 형상에 마음이 끌려 가까이 가보고픈 충동을 이기기 어렵게 만든다.
Ⅲ. 결론
우리나라의 성곽 조경 중 비교적 근래에 만들어진 수원의 화성을 통해서 우리나라의 성곽조경을 살펴보았다.
성곽의 경우 방어나 전쟁의 목적을 가지고 있는 관계로 조경적인 요소가 많이 포함되어 있지 않았다.
하지만, 수원성의 백미로 일컬어지는 화홍문과 용연, 방화수류정을 통해서 수원성에서 볼 수 있는 전통조경을 살펴보았다.
수원성의 경우 우리의 전통 조경의 특징과 꼭 부합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데 용연의 경우 방지가 아닌 원형을 가지고 있고, 조상들이 아끼고 즐겨심던 소나무등의 조경수목은 비교적 최근에 식재한 것으로 예전의 노송은 볼 수 없다.
물론 정조대왕의 명령으로 오래전에 식재한 소나무의 숲이 지금 수원에 노송지대로 남아있지만 수원성에서는 볼 수가 없다.
하지만, 수원성이라는 성곽에도 자연과의 어울림을 통해 우리의 조상들은 멋을 만들어냈고 전투목적의 건물에서도 방화수류정과 같은 멋진 누각을 완성했다.
이 화성을 통해서 우리는 조상들의 자연과의 어울림에서 완성되는 조경형식을 충분히 느낄 수 있었다.
참고문헌
김동욱. 1989. 수원성. 대원사
김동욱. 1996. 18세기 건축사상과 실천-수원성-. 도서출판 발언
박언곤. 1989. 한국의 정자. 대원사
윤상욱 외. 2000. 생활과 조경. 도서출판 문음사
이재근. 2000. 지형지세가 성곽축성 높이에 미친 영향 한국조경학회지 제 28권 1호
정재훈. 1990. 한국의 옛 조경. 대원사
http://city.suwon.kyonggi.kr/ 수원시청 홈페이지
http://my.dreamwiz.com/jabcho89/ 김규대의 홈페이지
http://my.netian.com/~lwt1/ 임원택의 홈페이지
http://www.womenpro.or.kr/topro/bluepaper/index.html 푸른도화지

키워드

조경,   화성,   수원성,   성곽,   유적
  • 가격1,3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03.05.20
  • 저작시기2003.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337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