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소설론] 원재길 『먼지의 집』을 읽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현대소설론] 원재길 `먼지의 집`을 읽고

1. 플롯의 구조
1) 발단부
2) 전개부
3) 위기 또는 정점부
4) 절정과 결말부

2. 인물
① 나
② 형
③ 먼지의 여자
④ 형수

3. 시간성과 공간성
① 시간성
② 공간성

4. 이 소설의 작품성

본문내용

해 을씨년스러울 정도로 큰 집을 배경으로 사용하여 실내극같은 느낌을 준다. 너무나 큰 집, 기본적인 의사소통마저 메모로 대신하는 형제, 그리고 이들 사이에 개입된 여자의 이야기가 이 소설의 핵심적인 공간인 집을 통해 표현되며 '가족'이라는 의미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해 볼 수 있게 한다. 여자의 공간인 중간방도 이 소설에서 핵심적인 부분인데 여자의 존재 공간인 이곳은 먼지에 대응하는 공간이라고 할 수 있겠다. 그러나 먼지와 침묵의 공포로부터 대항하는 장소인 집은 결국은 비극적인 결말의 배경이 되는 것으로 보아 아이러니한 공간성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4. 이 소설의 작품성
두 형제 사이에 개입한 한 여자의 이야기는 언제나 우리의 호기심을 자극하는 가장 강력한 테마 가운데 하나이다. 그것은 우리에게 원초적인 욕망과 인간적인 금기 사이의 갈등을 확인시키며 인류 문명이 은폐해온 침묵의 저편을 새롭게 응시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이층(아우-형)으로 보이지만 삼층(아우-여자-형)에 해당하는 이 '집'은 이 소설의 가장 핵심인 이미지이자 알레고리라고 할 수 있다.
가족의 일원으로 편입되면서 '스트레스에 짓눌릴 때마다 수음의 대상으로 삼았던 일류 모델'에서 형수의 자리로 옮겨온 여자는 결혼 칠 년 만에 '집'을 나가고 동생은 자신이 형과 '공모'하여 그동안 형수를 '학대'해온 것 같은 자격지심을 느낀다. 집을 유지시키는 것은 결국 구성원간의 결탁-계약-과 자기 내부의 자연-욕망-에 대한 억압에 다름아니었던 것이다.
'방문과 창을 꼭 닫아두어도 며칠만 지나면 방 전체에 얇게' 덮이는 '먼지'처럼 이 비열한 공모와 자기 기만은 사진작가로 대변되는 문화와 회사원으로 대변되는 일상의 이름으로 참고 견디지 않으면 안 되는 그런 것이다. 원재길의 '먼지의 집'은 형수가 집을 나간 후 화자와 형의 사이에 새롭게 개입해온 '먼지여자' 의 운명을 통해 도처에 미만해 있는 이 먼지를 견디지 못하는 자의 파국적인 운명을 보여준다. 먼지 알레르기가 심하여 조금이라도 바람이 부는 날은 외출할 엄두도 못내는 여자, 먼지가 쌓일 틈을 주지 않고 끝없이 집안 구석구석을 닦는 여자는 이 '집'에서 생존할 수 없는 것이다. 먼지에 대항하는 싸움은 결국 외로움과 공포를 낳게 되는 것이다. 가족의 토대를 형성하고 있는 문화와 일상이 야만과 폭력으로 모든 존재를 뒤덮고 있는 먼지처럼 그에 대항하는 것을 죽음으로 몰고 가는 것이다.

키워드

  • 가격1,2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3.06.06
  • 저작시기2003.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390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