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상문 쓰기 자료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성북동(城北洞) 비둘기` 시 감상문 쓰기 자료 1

2. `성북동(城北洞) 비둘기` 시 감상문 쓰기 자료 2
1)시 감상의 길잡이
2)이해와 감상

3. `성북동(城北洞) 비둘기` 시 감상문 쓰기 자료 3

4. 감상의 길라잡이

5. `울음이 타는 가을 강` 시 감상문 쓰기 자료 1
1)시구 연구
2)감상의 맥잡기
3)`강` 과 `바다` 의 이미지

6. `울음이 타는 가을 강` 시 감상문 쓰기 자료 2
1)감상의 길잡이

7. `울음이 타는 가을 강` 시 감상문 쓰기 자료 3
1) <울음이 타는 강> 이해하기

8. `타는 목마름으로` 시 감상문 쓰기 자료 1
1)시구연구
2)감상의 맥잡기

9. `타는 목마름으로` 시 감상문 쓰기 자료 2
1)감상의 길잡이
2) 이해와 감상

10. `타는 목마름으로` 시 감상문 쓰기 자료 3
1)[이해와 감상의 길잡이]
2)[김지하와 민주주의]

11. `추일서정(秋日序情)` 시 감상문 쓰기 자료 1
1)시구연구
2)감상의 맥잡기

12. `추일서정(秋日序情)` 시 감상문 쓰기 자료 2
1)감상의 길잡이
2)이해와 감상

13. `눈` 시 감상문 쓰기 자료 1
1)시구 연구
2)감상의 맥잡기
3)`눈`에 나타난 도덕적 순결

14. `눈` 시 감상문 쓰기 자료 2
1)감상의 길잡이
2)감상

본문내용

, '밤'이 나타내는 독재 치하의 어두운 현실에서 숨죽이고 살면서 생긴 가슴 속의 '가래', 즉 화자 자신의 나약한 소시민성, 더러운 속물 근성, 일상에 안주(安住)하려는 타성을 버리고자 하는 노력을 상징한다.
감상의 맥잡기
이 시는 '눈은 살아 있다'와 '기침을 하자'라는 단순한 두 개의 문장을 반복하고 있다. 이 두 문장에 계속해서 다른 요소들을 덧붙여 감으로써 점차 주제를 뚜렷하게 나타내 보이는 것이다. 이 시에서 대립적 이미지를 가지는 핵심적인 시어는 '눈'과 '기침'(또는 '가래')이다. 1연과 3연이 '눈'을 대상으로 하고 있는데 반해, 2연과 4연은 '젊은 시인' 즉 화자 자신을 대상으로 '기침을 하자'고 다짐한다. 이 시에서 '눈'은 독재 치하의 정의롭지 못한 사회 현실과 대비되는 순수함의 표상이며, 나약하고 무력감에 빠진 화자에게 용기를 주는 끈질긴 생명력의 표상이다. 이 시의 화자인 ;젊은 시인'은 마당에 떨어져 쌓여 있는 눈을 보며 자신의 삶을 돌아보고 용기를 가져 보는 것이다. 그는 '눈'같이 살아 숨쉬는 인생을 살고자 하는데, 이는 어두운 시대를 향한 저항 의지로 나타난다. 또한 그는 '눈' 같이 순수한 삶을 살고자 하는데, 이는 어두운 시대를 살아가면서 자신에게도 생겨나 점차 굳어져 온 나약하고 속물적인 근성을 버리겠다는 의지로 나타난다. '기침'을 하는 행위는 바로 이렇게, 자신이 살아 있음을 확인하고 선언하는 행위인 동시에 '가래'를 뱉어내는 자기 정화의 행위이다.
'눈'에 나타난 도덕적 순결
한 시인에게 있어 모든 작품은 그 시인을 드러내게 마련이지만 그의 작품 세계에 대해서 극히 상징적인 대응 관계를 가지고 있는 시가 있다고 생각한다. 가령 윤동주의 '자화상'을 그러한 시로 지적할 수 있을 것이다. 우물에 비친 자기 그림자를 통해서 은근한 자기 혐오와 자기 사랑의 동시공존을 노래한 이 작품은 윤동주 시의 내면 지향을 집약적으로 대표해 준다. 이육사에게 있어서의 '절정'도 비슷한 대응 관계를 드러내 준다. 김수영에 있어서 '눈'이 바로 그러한 관계를 보여주고 있다고 나는 생각한다.
일체의 비약된 논리, 현학적인 우회, 찍고도 자국 없는 수다가 배제된 채 단단한 단순성에 도달한 이 작품은 때묻지 않은 새 눈이 온 아침에 기침을 하자는 젊은 시인에의 권유를 반복하고 있다. 살아 있는 눈을 향해서 하는 기침은 살아 있다는 신호의 전달이고 그 공명의 동작이다. 그리하여 가슴의 가래라도 마음껏 뱉고자 할 때 그것은 도덕적 순결과 무구(無垢)함에 도달하기 위한 자기 정화의 의식에의 권유가 된다. 죽음을 잊어버린 나태하고 방자한 영혼, 삶의 엄숙성을 잊어버린 육체를 위해서 살아 있음을 일깨우는 깨어 있는 의식에의 권유이기도 하다. 사실 어떻게 보면 김수영의 시작 행위는 흰 눈을 열망의 바탕으로 한 자기 정화의 구토 행위였을는지도 모른다.
사사로운 감정과 사회적 감정도 도덕적 순결이라는 척도 아래 동원되고 방출된다. 그는 모든 것을 드러냄으로써 건강에 도달하려고 하는 스스로의 정신분석가이기도 하다. 자유로 자유의 행사로 건강에 이르는 방편이다. 사회의 건강 없이 개인의 건강도 있을 수 없지만 개인의 건강 없이 사회 건강도 있을 수 없다는 것을 그의 도덕적 급진주의는 시사한다고 볼 수 있다. 개인적 차원의 내면 개혁과 사회 개력의 동시적인 성취의 소망스러움이 그의 지속적인 자기 폭로와 자기 정화가 시사하는 함축인 듯이 보인다. 그의 도덕적 급진주의가 현실을 재는 척도가 되어 있음은 말할 것도 없다.
♧ '눈' 시 감상문 쓰기 자료 2
감상의 길잡이
번뇌와 욕망에 사로잡혀 가식과 허위로 가득찬 현실을 살아가면서 살아있는 눈처럼 순수하고 정의로운 삶을 갈망하는 시인의 자세가 그려진 시이다.
'눈'은 살아있다, 젊은 시인이며 기침을 하자, 그래서 밤새 고인 가래를 뱉자'라는 내용이 암시적으로 쓰인 시어다
'눈'은 생명력 있고 순수한 것을 상징하며, '기침을 하자'은 일상 생활에서의 더렵혀진 자신의 순수한 영혼을 찾자의 의미이며, '가래'는 더러운 것, 무가치한 것들을 암시한다
어구의 반복과 점층적인 운율의 효과로 시적 긴장미가 뚜렷이 나타났다.
김수영의 초기 작품은 50년도를 전후한 당시의 모더니스트들의 일반적인 경향과 같이 도시 문명에 대한 비판과 암울하고 불안했던 시대의 흐름 같은 것을 노래하고 있다. 하지만 그는 56년, 이 작품을 발표할 무렵부터 관념성과 생 경성에서 탈피하여 지성과 감성의 조화를 이루는 새로운 서정의 세계를 보여 주었다.
이 시는 그 대상에 의해 크게 둘로 나누어진다. 1연과 3연이 자연물로서의 '눈'을 대상으로 하고 있음에 비해, 2연과 4연은 '젊은 시인'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시인은 그 대상이 지니고 있는 '속성'을 통해 자신의 의도를 상징적으로 드러낸다. 먼저 이 작품에서 '눈'은 순결한 생명력의 상징으로 나타난다. 그리고 나날의 고통에 시달리고 있는 시인에게 '눈'의 '살아 있음'은 자신의 삶을 돌아보는 계기를 마련한다. 다음으로 '젊은 시인' 또한 '살아 있음'을 갈망한다. 그러한 갈망은 '기침하다'라는 행위를 통해 드러난다. 그러므로 '가래'를 뱉는 행위는 바로 시인 자신을 둘러싼 현실의 모든 부정적인 것을 극복하고자 하는 시인의 의지적인 삶의 자세를 나타내는 것이다. 한편 이 시는 시구의 반복과 확대, 선명한 이미지, 대칭 구조 등에 의해 서정성이 강하게 드러나고 있다.
감상
'눈'을 소재로 하여 순수한 생명과 불순한 일상성이라는 대립적 관념에 대한 지적(知的)인 추구를 보이는 주지주의(主知主義)적인 시이다. 따라서 이 시의 의미는 매우 암시적이지만, 한편으로는 현실에 대한 울분의 토로와 날카로운 비판 정신이 살아 있기도 하다. 특히 일상적 생활의 굴레 속에 드러난 존재성에 대한 자의식(自意識)은 이 시의 현대적 성격을 느끼게 해 주는 요소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시는 현실의 의미를 단순히 현상(現象)으로만 내면화하지 않고 살아 있는 역사 속에서 파악하고 잇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 즉 소시민적인 자신의 덧씌워진 모습을 털어버릴 수 있는 자세를 통해 현실을 통찰하려고 시인의 메시지를 전해주고 있기 때문이다.
  • 가격1,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03.10.20
  • 저작시기2003.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730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