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요,무가,판소리,민속극의 개념정리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민요,무가,판소리,민속극의 개념정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민요
1.개념, 역사
2.형식
3.내용

[2] 무가
1.개념, 역사
2.형식
3.내용

[3] 판소리
1.개념, 역사
2.형식
3.내용

[4] 민속극
1.개념, 역사
2.형식
3.내용

본문내용

戱說), 기악설(伎樂說), 절충설(折衷說) 등이 기원으로 전해진다. 조선시대 정조 때 유득공(柳得恭)은 그의 저서 《경도잡기(京都雜記)》에서 한국의 연극을 산희(山戱)와 야희(野戱)로 나누어 설명하였다. 산희는 사자, 호랑이, 만석(曼碩) 같은 것을 만들어 춤을 추는 것으로 지금의 꼭두각시, 인형극이 여기에 속한다. 야희는 당녀(唐女)와 소매(小梅)로 각각 분장하고 춤을 추는 것으로 지금의 가면극이다. 가면극의 가장 오래된 기록은 《삼국사기》에 나오며 고려의 산대희, 조선의 산대도감극으로 이어져 오늘날 양주 별산대놀이, 봉산탈춤, 통영 오광대 등이 전한다. 가장 대표적인 인형극은 꼭두각시극으로 지금까지 전해 오는 산대놀이와 함께 조선 중엽으로 각본의 역사가 거슬러 올라간다. 풍자의 특성 때문에 서민들의 인기를 모았고 꼭두각시놀음, 만석중놀이 등이 전한다.
민속극에는 그 외에도 그림자극, 판소리 등이 있으며 넓게 보면 농악, 굿, 난장, 잡색놀이 등도 이 범주에 넣을 수 있다. 문학성보다는 표현성에 더 치중되어 있으며 축제에서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부분이다.
2.형식
한국 민속극의 구성 원리는 서양 연극과는 다르다. 몇 개의 과장(科場) 혹은 거리가 엮어져서 각각 다른 주제를 표출해 낸다. 그리고 등장 인물의 대사뿐만 아니라 춤과 노래가 연극을 이끌어 가는 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한다
민속극은 크게 가면극과 인형극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①가면극의 형식
가면극에서 사용되는 가면의 명칭은 양반, 노장, 목중, 영감, 할미, 소무, 미얄, 초랭이, 이매, 말뚝이, 취바리, 영노 등 다양하다. 연희자들은 가면을 쓰는 것으로 분장이 이루어지며 고개를 숙이고 드는 각도에 따라 가면의 인상이 달라진다는 점에 착안해 등장 인물의 표정 변화를 기대한다. 하나의 극은 대체로 여러 과장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각 과장은 거의 독립적이다. 배우의 대사는 고정되어 있으나 즉흥적인 부연 창작도 가능하다. 특히 극중 인물이 관중을 대화의 상대로 끌어들이기도 하는데, 이같은 경우는 상황에 따라 대화의 내용이 달라진다.
-가면극에서 가장 보편적인 예로 우리의 탈춤을 들 수 있다.
우리의 탈놀이는 많은 사람들의 자발적인 참여와 의지에 의해 꾸며 진 독창적인 극 형식이며, 구경꾼들 스스로가 만들어 나가는 양식이기 때문에 만든 이와 즐기는 이를 엄격히 나눌 수가 없다. 아울러 탈놀이에는 고정된 틀이 없으며, 작품의 내용이 허구적이 사실을 꾸며서 보여 주는 것이 아니라 현실의 연장으로서, 현실 속에서 함께 놀이하는 가운데 만들어지는 것이므로 그만큼 여러 가지의 가능성과 창조적 인 생명력이 많은 것이 특징이다. 탈춤 속에 깔린 의식들로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벽사의식-귀신을 물리치는 의식 파계승에 대한 풍자-지배이념의 무너짐을 폭로 지배계급(양반)의 신분적 특권과 무능력을 풍자 처첩 사이의 갈등 묘사-남성의 부당한 횡포 고발 서민들의 삶과 애환을 담아냄)
-가면의 기능
말뚝이:자연적 재난(꿩)을 물리치는 포수의 역할이 사회적 재난(양반)을 물리치는 말뚝이의 역할로 전이됐다는 조동일 교수의 견해에 따르면, 양반 마당은 인격탈인 말뚝이가 인격탈인 양반을 퇴치하는 준벽사 마당으로 볼 수 있다. 말뚝이는 처용과 영노 같은 벽사가면의 성격과 기능을 계승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강령.봉산 탈춤과 양주.송파 산대놀이의 노장마당 또는 취발이 마당에서 노장과 대결하는 취발이는 가면이 벽사색인 붉은 색이고, 귀롱나뭇가지로 노장을 귀신 쫓듯이 물리치는 점 등에서 벽사 가면의 흔적을 지니고 있다.
②인형극의 형식
꼭두각시 놀음은 경기, 충청, 전라, 경상도 등 주로 남한 일대에서 남사당패(전문 연희 유랑 집단)에 의해 연희되었다. 전체 이야기의 구성은 제1마당 박첨지 마당과 제2마당 평양감사 마당으로 되어 있는데 전체적인 내용은 통일성이 없이 각 막이 독립된 별개의 이야기로 되어 있다. 등장하는 인형들은 박첨지, 꼭두각시, 홍동지, 돌모리집, 피조인, 상좌, 홍백가, 표생원, 묵대사, 영노, 귀팔이 등이며 장구, 북, 꽹과리, 호적 등의 악기를 반주 악기로 사용하여 타령곡, 굿거리곡 등을 연주한다. 꼭두각시 놀음은 그 자체로 공연되는 경우도 있지만, 당시에는 다른 공연과 함께 공연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예를 들어, 줄타기, 땅재주, 접시 돌리기 등이 공연되는 것이다. 한편 꼭두각시 놀음은 양반에 대한 풍자와 골계 의식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다른 민속극과 공통적인 내용을 지니고 있다고 할 수 있다.
3.내용
민속극은 민중을 주인공으로, 민중의 생활을 바탕으로 이루어지며 지배층 및 외세에 대한 비판이 핵심을 이룬다. 힘겨운 벽에 부딪혀서 더욱 진가를 발휘하는 해학과 함께 여러 사람이 참가하며 관중들이 적극적으로 극에 참여한다. 민요는 민중 스스로의 표현이기 때문에 양반에 대해 적극적인 공격을 하지 않으나, 민속극은 양반에 대해 강렬한 공격을 한다. 그러나 민속극을 양반과 상민의 대립 구도로만 이해하는 것은 그 아름다움을 충분히 감상하지 못한 것이다. 현실에서 고통받는 서민적 정서를 지니고 양반을 조롱하며 신랄하게 비판하지만 결국은 한데 어우러져 즐거움을 누리는 마당으로 보는 것이 바람직한 태도이다. 이러한 향유 방식은 탈(가면)이라는 극적 장치를 통해 가능하다는 점에서 이 민속극의 가장 중요한 특성이 드러난다. 탈을 쓰고 나면 익명성이 보장되기에 남녀 노소 신분상의 차이가 무의미해지고, 놀이마당은 그만큼 신명이 난다. 또 탈을 쓴다고 하는 것만으로 민중의 참여 의식과 예술적 감흥을 야기시키기에 족하며, 이 가면극을 보는 동안에는 현실 생활의 고뇌와 번민에서 해방되어 위안과 즐거움을 가지며 지배 계층, 즉 양반의 무지와 그들을 농락하는 피지배 계층 자신을 생각하며 대리 만족을 동시에 느낄 수 있다.
민속극은 농민이나 사당 등의 서민들에 의해 주도되었으며, 나아가서 서민들을 관중으로 삼기 때문에 서민들의 언어와 삶의 모습이 생생히 드러나 있다. 또한 관중들을 오락적으로 충분히 만족시킬 수 있어야 했기 때문에 자연히 거기에 알맞은 넉살이 있고, 신명이 있고, 또한 상류 계층에 대한 심리 보상적인 비판이 담겨 있다

키워드

민요,   무가,   판소리,   민속극,   개념,   역사
  • 가격2,3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3.12.03
  • 저작시기2003.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3604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