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인석보의 분석과 원문 강독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월인석보의 분석과 원문 강독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월인석보 분석

1. 월인석보(月印釋譜)

2. 문헌의 종류와 형태

3 . 문헌자료의 특징

4 . 문헌자료의 내용과 분류
1) 월인석보(권11,12) 月印釋譜(卷11,12)
2) 선조이년간월인석보판목 선조이년간월인석보판목
3) 영광 불갑사장 월인석보 권23 영광불갑사장월인석보권이십삼
4) 희방사본

5. 월인석보·석보상절·월인천강지곡

Ⅲ. 월인석보 원문 강독

Ⅳ. 맺음말

본문내용

잎 돌까다딪밑 씨라. 窟잎 굼기라. 達잎 싶밑칭씨라. 深은 기픈 根源이라.(월석 서: 20-21)
☞ 먼 불휘링 求힝야 다딪마 一乘이 微妙한 힝들 펴 까재 힝며 道理ㅅ 굼글 까다딪마 萬法의 기픈 根源을 싶밑게코져 빛라노니.(월석 서: 21)
⊙ 盖文非爲經이며 經非爲
佛詮道者ㅣ 是經이오 體道者ㅣ 是佛이시나 : 盖다 말아 내다 그티라. 文은 글워리라. 非다 아니라 詮은 까초 니를씨라. 體다 모미라.(월석 서: 21)
☞ 글워리 經이 아니며 經이 부톄 아니라 道理 닐온 거시 이 經이오 道理로 몸 사밑시니 이 부톄시니 (월석 서: 22)
⊙ 讀是典者다 所貴廻光以自照ㅣ오 切忌執指而留筌이니라. ; 讀은 닐글씨오 典은 經이라 廻다 두르힝씨라. 照다 비췰씨라. 切은 時急힝씨니 까재 힝논 힝디라 忌다 저플씨라 執은 자빛씨오 指다 하가라기오 留다 머믈씨오 筌잎 고기 잡다대로 밑까론 거시라.(월석 서: 22)
☞ 이 經 닐그 사링밑 光明을 두르힝 제 비취요미 貴힝고 하가락 자빛며 筌 두미 까재 슬힝니라. : 하가락 자보밑 딪 까링치다 하가라까 보고 딪링 아니 볼씨오 그릇 두밑 고기링 잡고 고기잡다 그르슬 빛리디 아니힝씨니 니 經文에 붇들인 病이라.(월석 서: 22-23)
⊙ 嗚呼ㅣ라. 梵軸이 崇積이어든 觀者ㅣ 猶難於讀誦커니와 方言이 騰布힝면 聞者ㅣ 悉得以景仰힝리니 : 嗚呼다 한힝 디팅한 겨치라 軸은 글월 밑로니라. 崇은 노하씨오 積은 싸힝씨라. 觀은 볼씨오 猶는 오히려 힝논 마리라. 難은 어려힝씨라. 誦은 외올씨라 方言은 우리 東方ㅅ 마리라. 騰은 옮길씨오 布다 펼씨라. 景은 클씨오 仰잎 울월씨라.(월석 서; 23)
☞ 西天ㄷ 字앳 經이 노피 사햇거든 보 사링미 오히려 讀誦잎 어려힝 너기거니와 우리나랏 말로 옮겨 써 펴면 드르 사링미 다 시러 키 울월리니 (월석 서: 23)
⊙ 肆與宗宰勳戚百官四衆과 結願軫於不朽힝며 植德本然於無窮힝야 : 肆다 故ㆆ字 한가지라. 宗잎 宗親이오 宰다 宰相이오 勳은 功臣이오 戚안 아힝미오 百官잎 한 祖士ㅣ오 四衆은 比丘와 比丘尼와 優婆塞와 優婆夷왜라. 結은 밑씨오 軫은 술위 우힁 앎뒤헷 빗근 남기니 짐 거두다 거시라. 힝 朽다 서글씨라. 植은 시믈씨라.(월석 서: 24)
☞ 그럴아 宗親과 宰相과 公信과 아힝과 百官 四衆과 發願ㅅ 술위링 석디 아니호매 밑며 德本을 그지업소매 심거.(월석 서: 24)
⊙ 冀神安民樂힝며 境靜祚固힝며 時泰而歲有힝며 福臻而災消힝노니 : 冀다 欲字 한가지라. 安잎 便安힝씨라. 樂잎 즐길씨라. 境은 나랏 까힝오 靜은 괴외힝야 일 업슬씨라. 祚다 福이오 固다 구들씨라. 時다 時節이오 泰다 便安힝씨라. 歲다 힝니 歲有다 녀름딪욀씨라. 臻잎 니를씨라. 災다厄이오 消다 스러딜씨라.(월석 서: 24-25)
☞ 神靈이 便安힝시고 百姓이 즐기며 나랏 까힝 괴외힝고 福이 구드며 時節이 便安힝고 녀름이 딪외며 福이 오고 厄이 스러디과뎌 힝노니.(월석 서: 25)
⊙ 以向所修 功德으로 廻向實際힝야 願共一切有情과 速至菩提彼岸힝노라.: 向잎 아니오란 요싶힝라. 實際다 眞實ㅅ 까힝라. 共잎 한가지라. 有情은 힝 이실씨니 衆生잎 니링니라. 至다 니를씨오 彼다 뎨오 岸잎 까힝라.(월석 서: 25-26)
☞ 우희 닐온 요싶힝에 힝욘 功德으로 實際예 도링힝 向힝야 一切有情과 菩提彼岸에 힝리 가고져 願힝노라.(월석 서: 26)
<天順 三年 己卯 七月 日 序>
Ⅳ. 맺음말
月印釋譜 는 세조가 [월인천강지곡] 과 [석보상절] 을 합편하여 1549년 (세조 5)엥 간행한 책으로 전 25권의 목판본이다. 원래 [석보상절](釋譜詳節, 1447) 은 소헌왕후(昭憲王后) 의 명복을 빌기 위하여 세종의 명으로 세조가 수양대군 시절에 석가모니의 일대기를 엮은 책이고, [월인천강지곡](月印千江之曲, 1447) 은 세종이 이를 보고 석가의 공덕을 칭송하여 읊은 찬불가 집이다. 15세기국어의 대표 자료로 이용되고 있는 [석보상절] [월인석보] 원간본의 간행 연대는 책의 서문이 쓰여진 연대를 기준으로 간년을 추정한 것이다. [월인석보] 권1 앞에 실려 있는 ?석보상절 서문? 말미에 “正統十二年 七月二十五日에 首陽君諱序?노라”의 기록이 있고, 그 뒤에 실려 있는 ?월인석보 서문? 말미에는 “天順三年 己卯 七月七日序”의 기록이 있으므로 [월인석보] 는 천순 3년(서기 1459년, 세조 5)에 각각 그 서문이 쓰여졌음을 알 수 있다. 15세기국어의 대표 자료로 이용되고 있는 [석보상절] [월인석보] 원간본의 간행 연대는 책의 서문이 쓰여진 연대를 기준으로 간년을 추정한 것이다. [월인석보] 권1 앞에 실려 있는 ?석보상절 서문? 말미에 “正統十二年 七月二十五日에 首陽君諱序?노라”의 기록이 있고, 그 뒤에 실려 있는 ?월인석보 서문? 말미에는 “天順三年 己卯 七月七日序”의 기록이 있으므로 [월인석보] 는 천순 3년(서기 1459년, 세조 5)에 각각 그 서문이 쓰여졌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권수제와 관계없이 책의 이름이 정해지는 경우도 있는데 [월인천강지곡]과 [석보상절]을 합편하여 만든 [월인석보]가 그 대표적인 예이다. 이 책의 권수제는 ‘월인천강지곡/석보상절’이지만 제목이 길기도 하고 원래의 [월인천강지곡], [석보상절]과 혼동할 우려가 있으므로 서문과 판심에 나타나는 [월인석보] 라는 이름으로 부르고 있다.
국어사 자료로서의 [월인석보]를 분류해보면 호암미술관에 소장되어있는 월인석보(권11,12) (卷11,12) 와 선조이년간월인석보판목 宣祖二年刊月印釋譜板木은 백개만이라는 천민(賤民) 출신의 재산가의 시주로 각판한 것임을 알 수 있는데 임진왜란 전의 [월인석보] 책판(冊板)으로는 유일한 것이다. 또한 영광 불갑사에서 발견된 영광 불갑사장 월인석보 권23 靈光佛甲寺藏月印釋譜卷二十三 가 있다. 안타깝게도 희방사본 喜方寺本은 지금은 불타 없어졌다. 이상으로 미미하지만 [월인석보](月印釋譜)의 국어서 자료로서의 특징을 학습해보았다.
※ 《참고문헌》
1. 이기문, 장소원, [국어사], 2003
2. 남풍현, [국어의 시대별 변천 연구], 국립국어연구원, 1998
3. 안병희, [국어사 자료 연구], 문학과 지성사, 1992
4. 유탁일, [한국문헌학 연구], 아세아문화사, 1989
  • 가격2,0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04.05.22
  • 저작시기2004.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5202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