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한국의 누드열풍에 관한 소고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최근 한국의 누드열풍에 관한 소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1.1.최근 한국의 누드열풍
1.2.한국 연예계의 누드와 사회반응
1.3.연구 방향과 목적

2. 본론
2.1.누드열풍의 원인
2.1.1. 몸에 대한 관심과 미디어의 발달
2.1.2.성의식의 변화
2.1.3. 포르노그라피의 범람
2.2. 최근 누드의 특징
2.2.1. 유명연예인의 누드
2.2.2. 인기를 얻기 위한 새로운 시도
2.2.3. 상업성을 추구
2.2.4. 인터넷, 모바일과 결합
2.3. 누드 열풍에 담긴 의미
2.3.1. 예술로서의 누드
2.3.2. 포르노그라피로서의 누드
2.3.3. 포르노그라피로서의 최근 한국의 누드 열풍
2.3.4. 한국의 누드 열풍에 의한 사회 변화

3. 결론

본문내용

치적, 사회적 목적을 인식하게 된다.
) 황필홍, \'개인의 권리와 포르노그라피\', 철학연구회, 철학연구 56, p.370, 최근 이루어지는 페미니즘에 대한 논의도 성장한 시민의식 속에서 관심사가 증대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아직 이렇다할 규제가 마련되지 않은 한국이지만 논쟁의 과정을 통해 규제를 만들어 갈 수 있고, 사회의 입장도 정리되어 갈 것이다. 현재의 누드 열풍이 이는 것은 물론 상업적인 측면이 강하지만, 한층 성장한 시민의식이 누드 열풍에 대해 논의하고 판단하게 했다는 것은 간과할 수 없다.
최근의 누드 열풍은 가져올 사회 변화는 포르노그라피 논쟁을 통한 시민의식의 성장만이 아니다. 미국의 유명 남성 취향의 월간잡지 \'플레이보이\'는 발간 당시에는 성을 상품화한다는 이유로 많은 질타를 받았고, 지금까지도 그 야유는 계속되고 있지만, 오늘에 이르러서는 미국의 섹슈얼리즘을 표면화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처럼 최근의 누드 열풍은 당분간 그 열기를 계속하면서, 한국 사회의 성의식과 문화를 변화시키는 영향력을 발휘할 것이다. 이는 가부장제의 색채를 띠고 있던 프랑코 정권이 해체된 이후, 과거 프랑코 정권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을 표현한 많은 영화감독 중의 하나인 알모도바르 감독의 영화가 스페인의 현대 문화 형성에 끼친 영향을 보아도 알 수 있는 일이다
) 지금부터 30여년 전, 1975년 독재자 프랑코가 죽을 때까지만 해도 프랑코 치하의 스페인은 \'스페인은 다르다\'를 외치며 보수적인 카톨리시즘 문화의 수호자로서 유럽과 분리된 국가 정체성을 유지하고 있었지만 프랑코의 사망 이후, 스페인 사회는 급격히 변화한다. 특히 스페인 정부는 문화 산업의 발전의 일환으로 문화사업에 자금을 지원하였는데, 가장 많은 지원을 받은 사람 중의 하나가 바로 알모도바르 감독이다. 그는 포스트모더니즘을 표방하였는데, 그의 영화의 주제는 대부분 욕망, 모성, 젠더 등 이었다. 그리고 그의 영화는 이후의 스페인 문화 형성에 많은 영향을 끼친 것으로 평가된다. 짧은 시간동안 스페인은 과거의 가부장적이고 종교적인 색채를 버리고, 자유롭고 향락적인 문화 색채를 띠게 되었다. 임호준, \"포스트모던 로칼리즘 - 뻬드로 알모도바르 영화의 역사적 사회적 배경.\" 문학과 영상 2권 1호, 2001, 145-171.
. 물론 성의식의 변화가 최근의 누드 열풍을 몰고 온 주요한 원인의 하나가 되었지만, 동시에 이러한 문화 형상이 또한 계속해서 성의식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최근 누드 열풍이 가지고 있는 포르노그라피적 요소를 신중하게 분석해야 한다.
3. 결론
최근 한국 사회의 화젯거리인 누드 열풍은 사람들의 몸에 대한 관심의 증가, 포르노그라피의 유포에 따른 성적 자극에 대한 무뎌짐, 그리고 사회 전반적인 성의식의 변화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누드 컨텐츠는 위에서 열거한 여러 특징을 갖고 있는데, 이것은 이러한 컨텐츠가 대중에게 주는 메시지와 연관지어 생각할 수 있다. 물론 각각의 누드에 대해 예술이냐 포르노그라피냐를 구분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지만, 최근 대중에게 공개된 많은 누드 컨텐츠를 분석해 볼 때, 그 다양한 컨텐츠가 천편일률적으로 같은 이미지를 만들어 제공하고 있다는 점, 그리고 그것을 대량으로 많은 대중에게 제공하고 있다는 점에 있어서 최근의 누드 컨텐츠는 예술보다는 포르노그라피에 가깝다. 그리고 이런 누드 컨텐츠가 지니고 있는 내용 또한, 포르노그라피의 본질, 즉 성행위와 섹슈얼리즘에 치중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메시지는 대중을 끊임없이 자극하여, 포르노그라피에 대한 논쟁을 일으킬 것이며, 이러한 논쟁은 시민의식의 변화를 꾀할 수 있는 장이 될 것이다. 또한 한편으로 이러한 누드 컨텐츠의 메시지는 계속해서 한국인의 성의식을 변화하는 영향력을 발휘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최근의 누드 열풍은 앞으로 대중문화의 일부로서 연구할 가치가 있다.
참고 문헌
단행본
심정순, 섹슈얼리티와 대중문화, 서울: 동인, 1999
윤정민, 누드 비즈니스, 서울: 리즈앤북, 2003
이재호 역, 누드의 미술사, 서울: 열화당, 1982
조한욱 역, 포르노그라피의 발명(린 헌트), 서울: 책세상, 1996
논문
성동규 김왕성, \'인터넷 포르노그라피, 그 표현의 자유와 한계\', 한국언론학보 42-2, 1997
우지숙, \'포르노그라피 규제에 대한 담론을 통해 본 사이버스페이스와 여성문제\', 한국언론학 보 44-1, 1999
황필홍, \'개인의 권리와 포르노그라피\', 철학연구회, 철학연구 56, 1992
신문기사
김동식, 누드 비즈니스, 서울: 주간한국 2003. 06. 03
김성덕, 연예계 달구는 누드…다음엔 에로열풍, 서울: 동아일보, 2003. 06. 020
김준술, 연예인 누드집 경쟁 어떻게 볼 것인가, 서울: 중앙일보 칼럼. 2003. 10. 30.
노정용, 디지털시대 성공코드 \'누드\', 서울: 파이낸셜뉴스, 2003. 11. 06
배현정, 연예인 누드열풍 \"벗으면 돈 된다\", 서울: 주간한국, 2003. 04. 02
이영재, 포르노시대에 누드쯤이야, 서울: 뉴스 메이커, 2003. 11. 13.
전원경, 아시아권 스타들의 누드 사진-\'산타페\' … \'엔젤 하트\' … 누드 금기 하나 둘 사라져, 서울: 주간동아, 2003
정명철, \'누드여왕\' 하영은씨, 화끈한 \'예술론\', 서울: 굿데이 2003. 10. 08
정현상, 발가벗는 코리아 \"나는 벗는다\", 서울: 주간동아, 2003. 06 .05
정현상, 발가벗는 코리아-조만간 공공장소 알몸시위 누드비치 생길 수도, 서울:주간동아 2003. 06. 05
정현상, 발가벗는 코리아-작품 위한 \'이브의 중노동\', 서울: 주간동아, 2003. 06. 05
정현상 발가벗는 코리아-앞모습은 예술, 뒷모습은 상술, 서울: 주간동아 2003. 06. 05
최민우, 누드 열풍 괜찮나: 누드 바람 어디까지…, 서울: 중앙일보, 2003. 10. 17.
최민우, 누드 열풍 괜찮나: \'음습한 性\' 숨기기만 하면 안 된다, 서울: 중앙일보, 2003. 10. 17.
황인원, 산업이 누드를 부추긴다, 서울: 뉴스 메이커, 2003. 11. 13
  • 가격1,5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4.05.22
  • 저작시기2004.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5206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