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담 정시한 선생의 얼을 찾아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우담 정시한 선생의 얼을 찾아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 론

2. 본 론
(1) 우담 정시한
1) 생애 및 관로
2) 인 품
(2) 우담 정시한의 사상
1) 정시한의 사단칠정론
2) 정시한의 인심도심대대설
3) 정시한의 인물성동이론

3. 결 론

✍ 참고자료

본문내용

인성이라 할 때 물성이 아닌 것은 이의 국이다.
『愚潭全集』, 「四七辨證 42조」, pp.163. (원주시, 『원주시사(역사편)』, pp.471에서 재인용.)
우담의 이통기국설 비판은 이에도 통 국이 있고 기에도 통 국이 있다라는 것으로 정리할 수 있다. 여기서 통(通)과 국(局)은 시공을 넘어서는 보편성과 시공에 국한되는 개별성으로 해설할 수 있다. 그는 기의 국함에 의하여 부동의 이가 나타난다는 율곡의 이론에 대하여 이를 수동적인 것 또는 기의 명령을 받는 것으로 이의 위상을 추락시켰다고 비판한다. 우담은 율곡이 이가 주재자(主宰者)라고 말하였을지라도 기의 가림으로 인하여 분수의 이가 나타난다는 설명은 기가 가림의 원인이 된다는 점에서 이는 주재성을 상실하고 수동적인 것이 되었다고 이해한 것이다. 즉 구체적 현상 속에서의 이통의 가능성은 성립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다만 그가 이통의 가능성을 인정한 것은 인간의 경우인데, 그 이유는 인간에게는 본연의 성이 그대로 갖추어져 있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우담은 79세 때인 1702년 7월 외암 이식에게 인물성동이논변후를 보내고 인물성동이에 대해서 3, 4년 동안 만나서 토론하기도 하고 편지로 논변하기도 하였는데 서로 합치하지 못하였다. 여기서 주목할 만한 사실은 사단칠정론과 인심도심론에 대한 종합과 인물성동이론의 시작이 된 출발점이 다름 아닌 원주문화권이라는 점이다.
3. 결 론
우리나라의 사상사(思想史) 철학사(哲學史)에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사계(斯界)에 지대한 공헌(貢獻)을 함은 물론, 당시 일반 독서인(讀書人)들에게는 유림(儒林)의 상징(象徵)처럼 인식되었지만, 오늘날에 와서는 어쩐 일인지 일반 대중들에게 널리 알려져 있지 않은 분이 바로 우담 정시한 선생이다. 이러한 연유는 아마도 당시 조선왕조 정치 사회의 혼란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선생께서는 그러한 혼탁한 환경 속에서도 추호(秋毫)의 심중 동요 없이 평생을 맑고 바르고 부드럽고 꿋꿋하고 그리고 보람차게 마치셨다.
정시한 선생은 북인계 남인의 전형적인 인물로서 북인과 남인학문의 가교자 역할을 하였다. 이황의 주리론을 적극 옹호하고 발전시킴에 큰 역할을 하였으며, 율곡의 논의를 반박하였지만, 비판과 변증을 통하여 그만의 독특한 사상체계를 정립함으로써 조선성리학의 발전에 일조하였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그러한 그의 사상은 이익에게로 이어지고, 그것이 정약용에게까지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정시한 선생은 학문의 세계에서나 사회를 살아가는 행실의 영역에서나 그 명성이 천추만대(千秋萬代)에 길이 남을 위대한 인물로서 후손들에게는 실로 자랑이요, 특히 원주 주민에게는 긍지라 아니할 수 없다.
옛날이나 지금이나 어지러운 시대를 살아가는 한 지식인의 자세는 그 사회의 사표(師表)가 되어야 하고 등불이 되어야 함은 두말할 필요도 없다. 우담 정시한 선생이야말로 불의(不義)와 타협하지 않고, 성현(聖賢)의 말씀을 실천궁행(實踐躬行)하며, 공리(功利)를 탐하지 않았던 선비정신의 산 역사요 표상(表象)이었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 참고자료
김낙진, 「우담 정시한의 사단칠정론」, 『사단칠정론』, 서광사, 1992
김성찬, 「우담 정시한 선생 연보」, 『원주얼 제 8호』, 원주문화원 부설 원주 얼 심기 협의회, 1998
김성찬, 「우담 정시한 선생 묘비문 역주」, 『원주얼 제 8호』, 원주문화원 부설 원주 얼 심기 협의회, 1998
원주시, 『원주시사(역사편)』, 대양출판사, 2000
유명종, 「우담 정시한」, 『한국인물유학사3』, 한길사, 1996
이우성, 『한국 고전의 발견』, 한길사, 2000
김기열, 「우담과 다산에 대한 일연구」, 동국사학회, 1986

키워드

  • 가격2,5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4.05.30
  • 저작시기2004.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5346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