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세 국어 문법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중세 국어 문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와 같은 곡용을 보이는 체언은 대체로 80여 단어가 있다.
이와 같은 'ㅎ'종성 체언의 곡용은 16세기 말까지의 문헌에서는 15세기 문헌과 별 차이가 없었는데 근대국어에서 종성 'ㅎ'의 소실로 차차 사라지게 되었다. 그러나 15세기의 문헌에서도 일부 명사에서는 'ㅎ'이 소실된 곡용이 보이기도 한다. (예 : 하다링, 하다래, 하다와)
③ 모음 탈락에 의한 형태 바꿈
'아힝, 여힝'의 형태 바꿈
- 명사의 어말음절이 '힝/힝'인 '아힝'(弟), '여힝'(狐) 등은 단독형이나 자음으로 시작하는 조사 앞에서는 '아힝, 여힝'로 나타나지만 모음으로 시작하는 조사 앞에서는 명사의 어말음절 모음이 탈락되면서 'ㅿ'은 앞음절의 종성이 된다.
④ '링/르'의 형태 바꿈
- 명사의 어말음절이 '링/르'인 '노링(獐), 다링(津), 까링(紛), 시르(甑)' 등의 명사가 모음으로 시작하는 조사 앞에서는 명사의 어말음절 '링/르'가 탈락하고 'ㄹ'은 앞음절의 종성이 된다.('ㄹㅇ'형태) 한편 '밑링(宗), 힝링(日)' 등의 명사는 모음으로 시작하는 조사 앞에서는 명사의 어말음절 '링/르'가 탈락하고 'ㄹ'은 앞음절의 종성이 되며 'ㄹ'이 덧생긴다. ('ㄹㄹ'형태)
⑤ ㄱ곡용어
- 어말모음의 명사 가운데 모음으로 시작하는 조사 앞에서는 명사의 어말음절 모음이 탈락하고 'ㄱ'이 덧생기며, 'ㅅ'어말자음 가운데 모음으로 시작하는 조사 앞에서 'ㄱ'이 덧생긴다.
조사
- 중세어의 조사에는 몇가지 특징이 발견되는데 그것은 다음과같다. 첫 번째, 주격조사는 체언 어간의 말음이 자음일때는 '-ㅣ', 모음일때는 그 모음과 하향 이중모음을 형성하였다. 둘째, 속격 조사에는 '-잎'와 '-ㅅ'(소위 사이시옷)이 있었다. 셋째, 처격 조사에는 '-에', '-잎'가 있었으며 넷째, 대격조사는 '-ㄹ'이었다. 다섯 번째 '-로'는 조격과 향격의 조사였다. 자음으로 끝나 체언 뒤에는 연결 모음이 삽입되었다. 여섯 번째, 공동격 조사는 '-와/과'가 있었고 마지막 일곱 번째로 호격조사로 일반적인 것이 '-하'와 '-아'였다.
대명사의 곡용
① 인칭 대명사
1인칭 : 나
2인칭 : 너, 그듸
3인칭 : 뎌, 누, 아모
통 칭 : 녀느, 남, 저, 짜갸
② 지시 대명사 : 이(근칭), 그(중칭), 뎌(원칭)
③ 의문 대명사 : 므스, 어느, 어듸
이 외에도 용언의 활용, 시제, 첨삭 등에 관한 것이 있으나 이는 중세국어문법 시간에 배울 것으로 생각하고 자세히 다루지는 않겠다.
3. 맺으며
- 이상으로 중세 국어의 특징(그 중에서도 후기 중세국어)과 시대적 배경이 (후기)중세인 드라마 '대장금'의 대본과 배우들의 연기에 있어서 발음상의 문제등을 살펴보고 이를 수정하는 작업을 해보았다. 국어사에 있어서 중세는, 특히 훈민정음이 창제된 후기 중세국어는 처음으로 전면적이요 정확한 국어 표기를 가능하게 해 주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실상 훈민정음이 없었다면 단편적이요 부정확한 국어 표기를 할 수밖에 없었을 것이고 이에 의해 우리의 국어사 서술은 심히 빈약하기짝이 없었을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후기)중세어를 공부한다는 것은 우리나라 문자의 역사를 알아보는 의의를 가지면 시대적 배경이 비슷한 텔레비전 드라마나 영화, 또는 책등에 나오는 언어를 중세시대에 사용된 언어로 설명하고자 하는 노력은 그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나의 소감
- 정말이지 힘들고도 힘든 작업이 아닐 수 없었다. 시간상으로도 촉박했고 중세어에 대한 기본적인 기초지식이 없었던 나였기에 분명 한국말로 씌어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도저히 이해할 수 없는 듯한 느낌! 마치 한국어에 낯선 외국인마냥 중세의 언어를 공부한다는 것은 너무 어려운 일이었다. 그리하여 인터넷 검색을 하고 교수님께서 참고자료로 제시해주셨던 '국어사개설'을 참고하고, 또 강의계획서에 나온 참고 문헌인 '중세국어문법론'을 여러번 뒤지고 뒤진 끝에야 그나마 이번 레포트를 작성할 수 있었다. 하지만 그래도 아직까지 불분명하다. 잘 알지 못하고 내가 이해한 만큼의 지식만을 가지고 대장금의 언어를 분석했기에 아마도 맞는 부분보다는 틀린 부분이 훨씬 많이 있지 않을까 싶다. 그래서 조금은 완성된 레포트가 아닌 듯한 미심쩍은 생각도 드는 것 같다.
드라마나 영화는 이러한 것을 보는 사람을 주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일반 대중들에게는 낯선 중세어나 고어(古語), 한문투의 언어를 시대적 상황에 맞게 현대어로 고쳐서 대사를 꾸미는게 사실이다. 왜냐하면 고도의 전문적인 지식을 요하는 내용의 대사나 시대적 배경은 일반 대중에게는 퍽이나 낯설고 또한 이해하는데에도 많은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감독이나 연출자들의 의도가 잘 전달되지 못할 경우가 생기기 때문이다. 따라서 대부분의 드라마, 영화의 대본을 쓰는 사람들은 우리가 쉽게 이해할 수 있는 현대어로 글을 쓸 수밖에 없는데 교수님께서 '대장금'에 쓰인 언어를 중세어로 바꾸어 보라고 하신 것은 너무 우리들에게 무리가 아닌가 싶기도 했다. 하지만 모르는 것을 하나하나 찾아가면서 스스로 한편의 드라마에 쓰인 언어를 분석해본다게 이러한 작업을 끝마친 상황에서는 얼마나 기쁜지 모르겠다. 마치 나 스스로가 무엇인가 튼 일을 해냈다는 일종의 자부심! 이라고나 할까? 그래서 서툴지만 뿌듯하고 기쁘다.
고진감래(苦盡甘來)라고 했던가! 힘든 노력의 끝에 무언가 큰 일을 해냈다는 자부심, 감동이 이번 레포트를 준비하면서 자주 들었던 생각이다. 많이 힘들기도 했고, 무엇이 무엇인지 몰라 당황하기도 했지만 끝까지 해보자는 생각! 아마 그것이 이번 레포트를 완성하게 한 원동력이 아닌가 싶다.
한 시대에는 그 나름의 시대적 배경에 어울리는 사람들의 생각이 있고 삶의 방식이 있다. 마찬가지로 언어에도 그 시대를 반영하는 어떠한 요소가 있다는 것은 당연한 결과일 것이다. 중세시기이기에 요즈음의 시대와는 다른 언어적 특징을 지닌다는 것! 그것이 바로 한 나라의 언어가 변화해 간다는 과정이고, 또 그러한 언어적 변화를 연구하는 사람들-예를 들면 국문학자, 언어학자, 국문과 학새...등-의 연구대상이 아닌가 생각하면서 이번 레포트를 준비하면서 느낄 수 있었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4.06.18
  • 저작시기2004.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5592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