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초기 기년문제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신라초기기년연구의 필요성
1)신라사적 관점
2)초기기록의 사료적 가치문제
3)한국고대사회사 연구의 선행작업의 하나
2.삼국사기 초기기록상의 문제점
1)신라본기
2)백제본기
3.연구사
4.신라초기 기년에 관한 연구성과
1)불신론
2)긍정론
3)수정론
5.백제본기를 통한 백제사의 연구성과
1)불신론
2)긍정론
3)수정론
6.신라기년에 관해 우리가 보는 입장
1)불신론의 한계
2)긍정론의 한계
3)수정론의 입장
4)상고기년의 조정
7.결론

참고문헌

<자료1> 한국고대국가기원론의 현단계
<자료2> 『三國史記』紀年에 의한 新羅 上古期 王의 재위기간 및 재위년수
<자료3> 수정론에 의한 上古期 王들의 추정 재위 年代
<자료4> ꡔ三國史記ꡕ 新羅 上古期 王의 계보

본문내용

하는 견해를 비쳤다.
최몽룡씨는 전남 나주 화순지역의 지석묘에서 나온 유물을 구체적으로 검토하여 지석묘사회가 Chiefdom단계라는 것을 입증하려고 했다. 지석묘사회는 탁석과 그 운반을 담당할 만한 전문이이 출현사회일 뿐 아니라, 토기를 공동제작하는 기술을 가지고, 지역간에 그 제작 및 전파를 담당하는 전문가가 역시 출현하여 지역간의 전파와 교역을 촉진하던 사회였다는 것이다.
이종구씨는 Chiefdom이론을 적극 원용하고 있다. 사로국가의 전사를 복원하려고 했다. 사로국이 형성되기 이전은 지석묘사회로서 당시 6촌의 정치체제는 Chiefdom단계에 해당한다는 것이다. 이 단계에서 한걸음 더 발전된 ‘소국’으로서 출현한 것이 사로국으로 출현 시기는 B.C.2세기말에서 B.C.1세기 중엽사이일 것이다. 이 사로소국은 A.D.1세기에 들어와 진한의 주변의 소국들 가운데 맹주국으로 성장하여 주변지역을 정복하는 단계로 들어서게 된다. 이에 이종구씨는 사로국의 정치발전 단계를 제1기=사로 6촌시대(B.C. 7~2세기), 제2기=사로 소국시대(B.C. 2세기말~A.D. 1세기 중반), 제3기=진한 소국 정복기(A.D. 1세기 후반~3세기 말)로 구분한다.
지석묘사회를 Chiefdom단계에 적용시키는데 반론
김정배
-『三國志』 東夷傳에서 삼한사회에 내용을 보고 Chiefdom단계를 설정하고 있다. 최근 한국고고학계의 통설은 남한지역에서의 지석묘의 소멸시기를 기원 전후시기로 보고 있다. 지석묘사회를 곧바로 Chiefdom단계에 적용시키는 것은 壞疑的이며, 오히려 石槨墓와 土壙墓를 만들어 쓰던 단계가 합당하다고 있다.
- 斯盧社會가 Chiefdom단계에서 벗어나는데 있어서 중국군현 당국과의 교섭 접촉의 의의를 강조하고 있다.
삼한사회가 Chiefdom단계가 되는 근거
- 삼한사회의 제술장으로서 천군과 일종 신전으로 볼 수 있는 소도의 존재이다. 고대 도시의 성립에 끼친 종교적 역할을 강조한 것이 지난 세기의 꾸랑쥬였거니와, 천군이 소도에서 농경의식을 주재하는 등 종교행사를 전담하고 있었다고 논단했다.
- Chiefdom과 State가 엄연히 다르다. 三韓社會를 Chiefdom단계, 또는 準國家 성립단계라고 한다.
국가발달단계설의 적용 State 단계 ===>고조선 관련 부분.
프리드의 국가기원론
국가사회에의 네 단계 발전성을 주장한다. 최초의 평등사회(egalitarian Society)에서 서열화된 사회(ranked society), 계층사회(stratified society)를 거쳐 국가사회(state society)로 이행한다.
『三國史記』 紀年에 의한 新羅 上古期 王의 재위기간 및 재위년수 강종훈, 신라상고사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2000 p.8
王代數(왕대수)
王名(왕명)
재위기간
재위년수
즉위년 간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赫居世(혁거세)
南解(남해)
儒理(유리)
脫解(탈해)
婆娑(파사)
祗摩(지마)
■聖(일성)
阿達羅(아달라)
伐休(벌휴)
奈解(내해)
助賁(조분)
沾解(첨해)
味鄒(미추)
儒禮(유례)
基臨(기임)
訖解(흘해)
內物(내물)
實聖(실성)
訥祗(눌지)
慈悲(자비)
炤知(소지)
智證(지증)
B.C.57∼A.D.4
A.D.4∼A.D.24
24∼57
57∼80
80∼112
112∼134
134∼154
154∼184
184∼196
196∼230
230∼247
247∼261
262∼284
284∼298
298∼310
310∼356
356∼402
402∼417
417∼458
458∼497
479∼500
500∼514
60
20
33
23
32
22
20
30
12
34
17
14
22
14
12
46
46
15
41
21
21
14
甲子
甲子
甲申
丁巳
庚辰
壬子
甲戌
甲午
甲子
丙子
庚戌
丁卯
壬午
甲辰
戊午
庚午
丙辰
壬寅
丁巳
戊戌
己未
庚辰
수정론에 의한 上古期 王들의 추정 재위 年代 강종훈, 신라상고사연구,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0,page46
王代數
王名
삼국사기의 재위기간
재위 추정 연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赫居世(혁거세)
南解(남해)
儒理(유리)
脫解(탈해)
婆娑(파사)
祗摩(지마)
聖(일성)
阿達羅(아달라)
伐休(벌휴)
奈解(내해)
助賁(조분)
沾解(첨해)
味鄒(미추)
儒禮(유례)
基臨(기임)
訖解(흘해)
內物(내물)
實聖(실성)
訥祗(눌지)
慈悲(자비)
炤知(소지)
智證(지증)
B.C.57∼A.D.4
A.D.4∼A.D.24
24∼57
57∼80
80∼112
112∼134
134∼154
154∼184
184∼196
196∼230
230∼247
247∼261
262∼284
284∼298
298∼310
310∼356
356∼402
402∼417
417∼458
458∼497
479∼500
500∼514
3세기 초
3세기 전반
3세기 전반의 후엽
3세기 중엽(250년대 이후)
3세기 후반(26~270년대)
3세기 후반
3세기 후반
3세기 말~4세기 초
4세기 전반(310년대)
4세기 전반(310년대 말 이후)
4세기 전반
4세기 중엽
4세기 후반
4세기 후반
4세기 후반
4세기 후반
4세기 후반(370년대 말 이후)
5세기 초(400~410년대 후반)
5세기 전반(410년대 후반 이후)
5세기 후반(450년대 말 이후)
5세기 후반(470년대 말 이후)
6세기 초(500~510년대 중반)
왕의 계보 선석열, 신라국가성립과정연구, 도서출판 혜안, 2001, page46
1赫居世王

2南解王 勢漢
│ │
3儒理王 阿道 4脫解王
│ │ │
5婆娑王 ?? 首留 仇鄒
│ │ │ │
?? 6祗摩王 7逸聖王 旭甫 9伐休王
│ │ │ │
?? 女 8阿達羅王 仇道 骨正 伊買
│ │ │
阿道 13味鄒王 玉帽 11助賁王 12沾解王 女=10奈解王

勿品 18實聖王 阿留 保反=17奈勿王 光明14儒禮王 乞淑 阿兮 于老
│ │ │
朴堤上 ? 述 阿老 19訥祗王 習寶葛文王 15基臨王 16訖解王
女 20慈悲王 鳥生 22智證王 阿珍宗 功漢
21昭知王 23法興王 立宗葛文王 ?? 吉升
只召 24眞興王 異次頓
  • 가격2,0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04.12.19
  • 저작시기2004.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7936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