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민지 시대의 수탈과 개발의 재조명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들어가는 말

2. 식민지근대화론과 수탈론의 대립

3. 수탈과 개발의 공존 가능성에 대한 고찰

4. 두 입장에 대한 대안적 시각의 정립

5. 끝내는 말

본문내용

다는 것을 말했다. 그러나 이것은 또한 ’식민지배가 없었더라면 보다 건전한 형태의 공업화가 이루어졌을 가능성이 있다‘라는 주장으로 반문할 수 있다. 이것을 살펴보자면 내재적 발전론에서 말한 경영형 부농의 등장과 화폐제도 등의 자본주의의 맹아는 인정해야 마땅하다. 따라서 한국경제는 자본주의를 지향하여 계속 성장했을 것이라 생각된다. 그러나 일제 시대의 경제 성장률이 동시대의 다른 국가보다 월등히 높았음을 감안한다면 그 성장가능성을 인정한다 하더라도 성장률은 낮았을 가능성이 크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비판은 설득력이 없다고 할 수 있다. 다만, 성장률이 낮았을 가능성이 있다는 주장에 대하여 혹자는 증명될 수 없으므로 받아들이지 못 한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은 같은 논리로 ‘식민지배가 없었더라면 보다 건전한 형태의 공업화가 이뤄졌으리라는 반론’도 증명될 수 없으므로 받아들이지 못한다고 하는 것과 같다. 따라서 이 문제는 논의 대상에서 제외해야 마땅할 것이다.
5. 끝내는 말
위에서 말한 것을 다시 한번 정리해 보자면 다음과 같다. 일제 식민지 시대가 우리 역사에서 근대의 출발점인가라는 논의는 현대 한국사회를 올바로 보기 위해서 계속 이루어지고 있고 그 과정에서 식민지 근대화론과 수탈론이 일제시대의 성격에 대하여 개발이냐 수탈이냐를 놓고 팽팽하게 대립하고 있다. 그러나 수탈과 개발은 개념적으로 공존할 수 있고 식민지 시대를 놓고 보았을 때 서로 공존할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서로 공존하는 것에 머문 것이 아니라 상호보완적이었기 때문에 변증법적으로 통합되어 식민지시대의 총체성을 인식할 수 있다. 그러므로 수탈과 개발의 변증법적인 과정으로 도출된 두 입장에 대한 대안적 시각은 총체적 관점에서 제시될 수 있고 역사적 진실을 새롭게 재조명하고 새로운 역사인식의 필요성을 말하고 있다.
물론 근대화론과 수탈론은 나름대로의 진실을 담고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식민지시대에 수탈이 없었다는 것은 우리 민족의 고통을 외면해버리는 무책임한 태도가 될 것이며, 근대적 개발이 없었다는 것은 역사를 이념에 의해 일방적으로 안이하게 인식하는 실수를 저지르게 된다. 따라서 수탈인가 개발인가를 둘러싸고 논쟁하는 것은 중요한 일이다. 다만 그것이 한쪽에만 너무 치우쳐 자기자신의 논리만을 너무 앞세우다가 극단으로 나아가는 것이 ‘역사적 진실’에서 멀어질 수 있는 것임을 깨닫는 일이 선행되어야 하고 객관적이고 치우침없이 역사를 올바로 보려는 노력이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으로는 우리의 현재를 정확히 이해하고 우리가 나아갈 방향을 찾는 데 있어서 역사를 살펴보아야 한다는 점에서 보면, 이 근대화의 논쟁은 사소할 수 있다. 중요한 것은 ‘역사적 진실은 존재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우리들이 진실을 추구할 수 있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그 ‘진실에 가깝게 다가갈 수 있다’는 가능성을 믿고 제기되는 비판에 대하여 발전적으로 수용하여 ‘역사적 진실’에 다가갈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이런 점을 감안한다면 위에서 한 논의는 비판될 수 있음을 인정하고 그 과정을 거쳐 한단계 도약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 문제는 치열한 논의과정에 있으므로 그런 점에서 이 작업은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고 하겠다.
참고문헌
김용섭(1970), [量案의 硏究], {朝鮮後期農業史硏究} Ⅰ, 일조각.
김용섭(1984), [光武年間의 量田.地契事業], {韓國近代農業史硏究} 下, 一潮閣.
박현채(1989), {민족경제론의 기초이론}, 돌베개.
신용하(1982), {朝鮮土地調査事業硏究}, 지식산업사.
신용하(1997), ['식민지근대화론' 재정립 시도에 대한 비판], {창작과비평} 98.
안병직(1997), [한국근현대사 연구의 새로운 패러다임], {창작과비평}, 98.
유재건(1997), [식민지.근대와 세계사적 시야의 모색], {창작과비평} 98.
이영훈(1989), [光武量田의 歷史的性格], {近代朝鮮의 經濟構造}, 比峰出版社
조석곤(1997), [수탈론과 근대화론을 넘어서], {창작과비평} 96.
이기백(1997), {역사를 보는 눈}, {한국사 시민강좌 제 20집}, {일조각} 97.
박섭(2002), {수탈과 개발: 한국과 인도}, {식민지 근대화론의 재검토},
{http://todori.inje.ac.kr/~parksub/doc/exploi_devel.htm}
이만열, {일제 '식민지 근대화론' 문제 검토} {http://user.chollian.net/~ikch0102/y-1-8.htm}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5.04.03
  • 저작시기2005.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113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